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우 보증씨수소 육종가의 정확도 및 순위검증 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EBV Accuracy and Corrected Phenotype Correlation in Hanwoo Korean Proven Bull(KPN))

1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3 최종저작일 2021.12
13P 미리보기
한우 보증씨수소 육종가의 정확도 및 순위검증 방법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동물유전육종학회
    · 수록지 정보 : Journal of Animal Breeding and Genomics / 5권 / 4호 / 157 ~ 169페이지
    · 저자명 : 손지현, 구양모, 정용호, 김성진, 최태정, 박미나, 이득환

    초록

    본 연구는 현재 후대검정을 통하여 선발하고 있는 보증씨수소의 선발체계를 개선하기 위하여 농가에서 직접 사육하여 출하된한우의 도체 등급판정 결과를 이용하여 보증씨수소의 육종가 정확도를 추정하여 이미 선발된 보증씨수소의 능력을 재평가하고2차 검증을 시행하여 한우 보증씨수소의 육종가 정확도 및 검정체계의 개선에 활용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추정된모수로부터 계산된 도체중, 등심단면적, 등지방두께 및 근내지방도의 유전력은 각각 0.23, 0.23, 0.20 및 0.27로 추정되었다. 후대의 도체성적을 가지고 있는 씨수소 643두에 대한 농장 도축자료로부터 추정된 육종가의 정확도는 도체중, 등심단면적, 등지방두께 및 근내지방도에서 각각 0.89, 0.85, 0.89 및 0.90으로 나타났으며 검정소 후대검정을 통하여 추정된 육종가 정확도 0.78, 0.78, 0.78 및 0.79 보다 약 10∼11% 높게 추정되었다. 후대검정에서 약 20두의 후대가 있으면 0.90 이상의 육종가 정확도를 기대할 수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후대검정에서 수집되는 후대표현형 자료는 평균 8두로 약 0.70∼0.75 수준의 정확도를 보이며, 0.9 이상의 정확도를 추정한 씨수소의 비율은 도체중, 등심단면적, 등지방두께 및 근내지방도에서 각각 4.8%, 3.6%, 3.3% 및 4.2%에 불과했다. 농장에서 출하된 도체성적을 통해 추정된 육종가의 정확도는 98% 이상의 씨수소에서 0.7 이상의 정확도를 보였으며, 0.9 이상의 정확도를 추정한 씨수소의 비율은 도체중, 등심단면적, 등지방두께 및 근내지방도에서 각각 56.6%, 56.8%, 55.4% 및58.8%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농장의 출하된 도축성적에서 씨수소 당 평균 후대 두수가 2,455두로 비교적 많았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또한 한우 보증씨수소 선발을 위하여 추정된 형질별 육종가가 실제로 이들 개체로부터 태어난 자손에서 추정 육종가만큼의 능력을 발현하였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자손들의 도체성적을 조사하고 농장 및 도축년도-계절에 의한 편의를 제거한 보정표현형(Corrected Phenotype) 성적을 보증씨수소 선발 시 추정된 육종가와의 순위 상관 분석을 시행하였다. 또한 같은 방법으로 농가의 도축성적을 이용한 2차 검증 육종가도 Corrected Phenotype 성적과 순위 상관 분석을 시행하였다. 후대검정 육종가와의 비교에서 순위 상관은 0.62, 0.57, 0.54, 0.52로 추정되어 이론적인 육종가 정확도 추정치인 0.78에 못 미치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원인으로 도축개월의 차이와 검정을 하기에 부족한 후대검정 두수를 들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보증씨수소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하여 후대검정 전문 농가의 확대를 통한 후대검정 두수의 증가와 신규형질로써 농가 도축 시점(30~31개월)에 출하하는 후대를 생산할 필요성이 대두된다. 단, 이러한 문제는 예산 확보 및 농가 참여의 어려움을 안고있어서 장기적으로 해결해야 할 목표가 될 것이며, 기존의 보증씨수소의 순위를 일정량의 후대를 생성한 시점(3년 후)에 현장 데이터를 이용한 2차 검증으로 정액을 재평가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보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어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olve the problem of Korean Proven Bull (KPN) currently being selected by progeny test. The Estimated Breeding Values (EBV) accuracy of KPN was estimated using the carcass traits data of Hanwoo that was raised and slaughtered directly in the farm, and the ability of KPN was re-evaluated and verified to determine whether it could be used to improve the EBV accuracy and test system of Hanwoo KPN. The heritability of Carcass Weight (CW), Eye Muscle Area (EMA), Backfat Thickness (BF), Marbling Score (MS) calculated from the estimated parameters were evaluated to be 0.23, 0.23, 0.20, and 0.27, respectively. The accuracy of EBVs estimated from farm slaughter data for KPN 643 animals with progeny's carcass traits data was 0.89, 0.85, 0.89, and 0.90, respectively, and the EBV accuracy estimated through the station progeny test was approximately 10~11% higher than farm progeny. In the progeny test, the progeny phenotypic data collected from the progeny test showed an accuracy of about 0.70 to 0.75 on average, and the proportion of KPNs with an accuracy of 0.9 or higher was 4.8%, 3.6%, 3.3% and 4.2%, respectively, in CW, EMA, BF, and MS. The accuracy of EBVs estimated from carcass traits data slaughtered at Hanwoo farms was greater than 0.7 in KPNs over 98%, and the ratio of KPNs with accuracy greater than 0.9 was 56.6%, 56.8%, 55.4%, and 58.8%, respectively, in CW, EMA, BF, and MS. This is believed to be due to the relatively high average number of progeny per KPN at 2,455 animals in farm slaughter data. In addition the carcass traits data of progeny animals was investigated to determine whether the estimated EBV for the selection of Hanwoo KPN expressed EBV's ability in the progeny born from KPN, and the corrected phenotype performance, which eliminated convenience by farm and slaughter year-season, was conducted using the investigated data. In the same way, a secondary verification EBV using the farm carcass traits data was also conducted with corrected phenotype performance and rank correlation. In comparison with progeny test EBV, the rank correlation was estimated to be 0.62, 0.57, 0.54, and 0.52, showing results below the theoretical EBV accuracy estimate of 0.78.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the accuracy of KPN,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number of progeny test farms, increase the number of progeny test animals, and add novel traits to produce future generations that slaughter at the point of slaughter (30~31 months). This problem will be a long-term goal due to the difficulty of securing budgets and participating in farms, and it is expected that the existing KPN ranking will be able to be supplemented with a system that can re-evaluate KPN semen with field data approximately three years after produc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Journal of Animal Breeding and Genomics”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