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8~19세기 한성・강화・부여 昌原黃氏 가문 노비의 존재양상 (Study on the Existence of Slaves in the Changwon Hwang Clan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3 최종저작일 2024.04
38P 미리보기
18~19세기 한성・강화・부여 昌原黃氏 가문 노비의 존재양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藏書閣 / 51호 / 250 ~ 287페이지
    · 저자명 : 김영나

    초록

    본 논문에서는 창원황씨 황숙과 황진의 후손 중 황운조・황택조・황백조 계열에서 남긴 호적자료를 중심으로 18~19세기 노비의 여러 측면을 분석하고 존재양상을 검토하였다.
    세 계열 모두 18세기에는 20~30여 명의 노비가 있었으나 차츰 줄어들었다. 노비의 나이 분포는 18세기에는 대체로 세대별로 고르게 나타났지만, 19세기에는 老가 많아지기도 하였다.
    노비의 거주지역을 살펴보면, 황운조 계열의 노비는 주인이 사는 강화뿐만 아니라 남원과 부여, 공주, 한성 등에 있었는데, 19세기에는 강화와 한성에만 거주하였다. 황택조 계열의 노비는 주인의 거주지역을 따라 한성에 거주하다가 부여로 옮겼다. 황백조 계열의 노비는 전라도에 거주하는 경우가 많았으나, 차츰 주인의 거주지역인 한성에 거주하는 수가 늘어났고, 부여에 거주하기도 하였다. 대체로 솔노비가 늘어나면서 외방노비가 줄어들었다.
    노비의 혼인과 가족의 지속성을 살펴보면, 호적자료가 모두 종모법 제정 이후에 작성되어서 사족의 노비 증식에 도움이 된 노와 양녀와의 혼인은 황백조 계열에만 1건이 있었고, 그 외에 반비와 반노, 반비와 미상의 혼인이 가장 많았다. 가족은 부모와 자녀로 이루어진 2세대 가족이 가장 많았는데, 최대 5세대까지 가계가 지속되는 경우도 있었다.
    지금까지 창원황씨 가문 노비의 규모와 나이, 거주지역, 혼인과 가족의 지속성 등을 기존의 연구 성과와 비교하면서 살펴보았다. 노와 양녀의 혼인이 적었고 노비 가계가 지속적으로 유지된 것 등은 다른 가문의 노비들과 차이가 있었고, 19세기 노비의 거주지역이 주인의 거주지역 중심으로 축소된 것은 다른 가문의 노비 및 서원노비 등과도 비슷하였다. 이러한 점을 통해 18~19세기 노비의 전반적인 모습을 더욱 세밀하게 파악할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is study delves into the multifaceted lives of Joseon slaves during the 18th and 19th centuries, investigating their modes of existence through an examination of slave records found in the family registers of the Hwang Unjo, Hwang Taekjo, and Hwang Baekjo families of the Changwon Hwang clan.
    In the 18th century, each of the three households possessed approximately 20 to 30 slaves, but their numbers dwindled gradually over time. While slave ages were typically evenly distributed across generations during the 18th century, there was a noticeable increase in older slaves during the 19th century.
    As for the regions where the slaves lived, it was found that the slaves of the Hwang Unjo family lived not only in Ganghwa, their master's hometown, but also in Buyeo, Hansung, and other areas, but in the 19th century, only the slaves who lived in Ganghwa and Hansung remained. Slaves of the Hwang Taekjo family often followed the movement of their master’s residence from Hanyang to Buyeo. Many slaves of the Hwang Baekjo family lived in Jeolla Province, but the number of slaves living in their master’s home of Hansung and Buyeo in gradually increased.
    When examining the marriage of slaves and the sustainability of the families, only one case of marriage between a male slave and a female commoner, was found in the Hwang Baekjo family after the enactment of the Jongmo Law. Marriages between slaves were the most common. Families of two generations were the majority, but in some cases, the family lineages lasted up to five generations.
    Marriages between slaves were not common and the continuous maintenance of slave lineages distinguished the clan from others. The clustering of slaves around their masters’ residential areas was common to other clans and to Seowon slaves in the 19th century.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provided a more detailed overall picture of slaves in the 18th to 19th centur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藏書閣”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