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20세기 중국 여성시에 나타난 여성의식의 변천과정 고찰 (The Historical Evolution of Female Poetry in China in the Twentieth Century)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3 최종저작일 2012.12
32P 미리보기
20세기 중국 여성시에 나타난 여성의식의 변천과정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중인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중인문학연구 / 37호 / 411 ~ 442페이지
    · 저자명 : 정동매

    초록

    20세기 중국 여성시는 그 변천과정에 따라 계몽기, 발생기, 성장기, 침체기, 부흥기, 번영기등 여섯 단계로 나눌 수 있다.
    20세기 초부터 5․4운동 전까지는 계몽기로, 근대적 의미의 여성운동이 활발히 전개되고여성의식이 대두되기 시작했다. 秋瑾 등 선각자들에 의해 여성시는 전통적 규방문학으로부터 여성해방과 민족구원의 실현으로 전환되었고, 여성시의 발생을 위한 정신적 기반이 마련되었다.
    5․4 이후부터 20세기 20년대까지는 발생기로, 氷心을 비롯한 신세대 여성시인들이 대거등단하여 자유, 민주, 평등을 주장하였다. 그들은 ‘개성해방’, ‘인간문학’ 등 문학사조를 계승하여 여성의식의 형성 및 각성을 보여주었고 20세기 여성시의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
    30년대에서 40년대까지는 성장기로, 이 시기 여성시는 革命詩歌와 知性詩歌로 나뉜다. 關露 등 혁명시인들은 시대적 사명감을 지니고 抗日救國, 민족독립과 해방을 고취하였고, 鄭敏등 知性시인들은 새로운 여성 정체성 탐색에 치중하는 한편 시의 예술성에 관심을 기울임으로써 여성시를 진정한 서정문학의 궤도에 들어서게 하였으며 중국 현대 여성시의 무한한 발전가능성을 보여주었다.
    50년대에서 70년대 중기까지는 침체기로, 新中國의 成立, 大躍進, 文化大革命 등 중대한역사적 사건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새 정권과 그 지도자에 대한 직접적인 찬송을 목적으로한 정치서정시 창작이 주류를 이루었고 단일화되고 도식화된 ‘無性別 글쓰기’ 경향이 두드러진다.
    70년대 말에서 80년대 초까지는 부흥기로, 舒婷을 비롯한 여성시인들이 5․4전통을 계승하는 한편 여성의 독특한 시각으로 여성문제를 바라보면서 여성의 독립적 인격과 권리를 주장하는 등 남자와 동등한 인간으로서의 자각을 보여준 동시에 ‘여성적 글쓰기’를 정립시켰다.
    80년대 중기부터 90년대까지는 번영기로, 개인화와 다양화의 양상을 띤다. 翟永明을 비롯한 여성시인들이 남권에 대한 반대와 비판, 여성 자신의 화두에 대한 재구성을 통해 여성으로서의 자각을 보여주면서 여성의식을 초월한 ‘超性別’이라는 의식적 변화를 보여주었다.

    영어초록

    There are six stages in the historical evolution of the female poetry in China in the twentieth century, namely the enlightenment period, the formation period, the maturity period, the depression period, the revival period and the flourishing period.
    The enlightenment period started from the beginning of the new century until the May 4th Movement, when female poetry in China originated with the prosperity of female movement and strong sense of self awareness. Actively initiated by such pioneers as Qiu Jin, it served as a vital part in the female and national liberation, which also laid the foundation of contemporary female poetry.
    The formation period was from the May 4th Movement until the 1920s with there presentative poets of the new generation such as Bing Xin. Poems during this period indicated the historical process of the formation of female consciousness, which implied the new direction of female literature in the new century with stresses on female liberation, liberty, democracy and freedom.
    The maturity period was between the 1930s and the 1940s, when the female poetry could b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revolutionary and intellectual. The former was represented by poets such as Guan Lu, who shouldered the sacred historical mission, strongly advocating anti-Japanese and national liberation as well as independence. The latter, on the other hand, was led by Zheng Min,who focused on the pursuit of femal integrity and the artistic expression of poems, which was a useful exploration for the evolution of poems into lyric literature.
    From the 1950s to the 1970s, female poetry in China stepped into the depression period, when poems were mostly related to the historical events like the founding of new China, the Big Leapforward Movement and the Cultural Revolution. With the majority of the poems focusing on praising the great leaders of the time, poetry during this period displayed characteristics of being political and asexual.
    Female poetry in China experienced a period of revival between the end of 1970s and the beginning of 1980s. Represented by Shu Ting, female poets in this period inherited the cultural traditions of the May 4th Movement.
    Meanwhile, female-related problems were analyzed from their own perspectives. Notions such as gender equality of rights and women consciousness were put forward, on the basis of which the particular artistic form of female poetry was constituted.
    Female poetry in China boomed from the mid-1980s to the 1990s, which displayed features like individualism and pluralism. Led by Zhai Yongming,femal poets in China posed challenges and criticisms on the male-dominated society. Female consciousness was clearly sensed which indicated brand new traits of so-called transcending genderness in the poems during this perio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중인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0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