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8∼19세기 풍양조씨의 대종중 형성과 족보간행 (Formation of DaeChongChung of Poongyang Cho Family and Publication of Family Genealogy during the 18th and 19th Centuries)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3 최종저작일 2014.06
36P 미리보기
18∼19세기 풍양조씨의 대종중 형성과 족보간행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전번역원
    · 수록지 정보 : 민족문화 / 43권 / 335 ~ 370페이지
    · 저자명 : 이연숙

    초록

    본 연구는 친족공동체의 종중활동에서 확인할 수 있었던 宗人간의 상부상조, 계파 간의 연대, 仕宦者와 未仕宦者 간의 호혜와 수직적 재분배가 특정 세거지를 기반으로 하는 친족공동체가 아닌 대종중 차원에서 어떻게 작동하였는지를 고찰한 것이다.
    본고의 연구대상은 대표적인 경화사족인 豊陽趙氏로 서울을 중심으로 廣州, 水原, 林川, 尙州, 海州 등에서 세거해 온 성씨이다. 풍양조씨 대종중은 17세기 중반에 시조묘의 재정비 과정에서 형성되어 시조묘에 대한 歲一祭와 성묘가 상례화 되는 18세기 중반까지 대종중 중심의 종중활동이 정착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한 계파는 京派 가운데 趙顯命을 중심으로 한 청교파와 趙尙絅을 중심으로 한 쌍동파이다. 대체로 이 시기에 종족의 족세가 번창해짐에 따라 묘위답을 마련하여 분암인 見聖庵에 귀속시켜 세일제의 제수 마련, 벌초, 분암 수리 등의 비용으로 충당하였다. 그리고 처음으로 족보를 목판으로 간행하였고, 동시에 보각과 보각수호답을 장만하였다.
    18세기 후반에는 종중의 중심인물이 조현명과 조상경에서 趙載得과 趙曮으로 세대교체 되었다. 조엄이 오랫동안 종중 유사 일을 맡으면서 지속적인 묘위답 추매, 세일제 절목 제정, 重刊譜 간행, 譜閣守護畓 추매를 추진하고 진행하였다. 19세기 전반에는 조엄의 아들 조인영이 三刊譜를 간행, 묘위답과 보각수호답 추매 등을 주도하며 종중을 이끌었다.
    족보 간행은 경파의 발의와 주도로 착수되어 創刊譜(1731)부터 三重刊譜(1826)에 이르기까지는 종인인 경상감사의 인적, 물적 지원과 종인들의 禮木錢, 名下錢으로 이루어졌다. 이처럼 대종중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爲先事業은 주로 京派의 주도아래 계파 간의 연대와 外任職에 있는 宗人들에 대한 도덕적 강제라고 볼 수 있는 禮木錢과 자발적 기부라고 볼 수 있는 別出錢 등 종인들의 적극적인 지원으로 이루어졌다.

    영어초록

    The previous research on relative communities suggest that they were formed in the late 17thcentury and had various activities among the families of the same clan based on ancestor worshipping and cordiality, which demonstrate cooperation among members of the clan, bond among cliques, and mutual benefits between the government officials and prospective bureaucrats Saint. This study discusses how this mechanism operated in a larger family clan rather than relative communities based on particular residential region.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Poongyang Cho Family, one of the most well-known Gyeonghwasajoks(京華士族) in Seoul. Poongyang Cho Family has lived mostly in Seoul but also in Gwangju(廣州), Suwon(水原), Imcheon(林川), Sangju(尙州), and Haeju(海州). The Poongyang Cho Family was formed during the mid-17thcentury while they prepared the graveyard for their ancestors and established memorial service at graveyard, and the On Activity for Ancestors were mainly led by the family lineage living in Seoul and carried out based on solidarity between gyepa(系派)s and contribution from provincial administrators.
    Publication of the family genealogy was also initiated by a faction and made possible by providence of material and human resources from Gyeong sang Administrator between Cangganbo(創刊譜, 1731) and Samchungganbo(三重刊譜, 1826) as well as contribution from the clan members. The result showed that the mutual benefits and vertical redistribution was based on moral obligation of the clan members serving as a provincial administrato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족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2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