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식민지시대 시에 나타난 ‘얼굴’ 표상 연구 (A study on ‘face’ representation in colonial time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3 최종저작일 2019.08
35P 미리보기
식민지시대 시에 나타난 ‘얼굴’ 표상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학논총 / 82호 / 225 ~ 259페이지
    · 저자명 : 신용목

    초록

    이 논문은 식민지시대에 쓰여진 시들의 ‘얼굴’ 표상에 관한 연구이다. 얼굴은 ‘자아’라는 내면과 ‘세계’라는 외부의 접점을 형성한다는 측면에서 ‘표상적 실재성’을 가장 뚜렷하게 보여주는 대상이고, 은유와 환유는 시적 대상이 출현하고 배치되는 양상이다. 이 논문은 얼굴 표상이 시 속에서 구조화되는 방식을 살핌으로써 식민지시대 시인들의 시적 인식의 한 측면을 조망하고자 한다.
    세계와 자아에 대한 성찰과 고뇌를 이어가거나 당대 현실을 유이민적 과정으로 체험했던 정지용, 윤동주, 백석, 이용악의 시에 얼굴 표상이 많이 등장한다. 또한 언어 실험을 통해 세계의 분열의 징후들을 보여줬던 이상과 세계의 이상에 자아의 목표를 일치시켰던 임화의 시에서도 자주 등장한다. 반면, 현실 동인과 자아에 대한 질문을 뒤로 물린 채 관념적 세계와 미적 언어에 탐닉했던 청록파 시인 등에게는 ‘얼굴’ 표상이 거의 등장하지 않는다.
    정지용과 이용악 시에서 ‘얼굴’ 표상은 세계와 관계하는 화자의 내적 상태를 직접적으로 대리한다. 그들 시에서 얼굴은 세계와 자아의 만남에서 비롯된 주체의 외상 자체를 표상한다는 점에서 은유적 표상으로 나타난다. 이는 얼굴 표상이 내적 상태와의 유사성을 바탕으로 등장한다는 것으로도 설명 가능하다. 은유적으로 등장한 ‘얼굴’ 표상은 불우한 시간의 연속성 속에서 주체의 내력을 위치시키는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통시적’ 성격을 띤다. 이는 외적 폭력의 강도를 더욱 선명하게 드러내는 역할을 한다.
    윤동주와 백석 시의 경우 ‘얼굴’ 표상이 병렬적 배치를 통해 세계를 연쇄적 과정으로 지시한다는 점에서 환유적 성격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얼굴 표상이 주체의 외상을 주체 외부에 배치한다는 점에서 환유의 특징인 인접성을 띠고 있는 것이다. 즉 자신의 얼굴을 분리시켜 그 진의를 묻거나 얼굴 옆에 또 다른 얼굴을 배치함으로써 세계와 자아의 실체에 닿고자 한다. 환유적으로 등장한 ‘얼굴’은 화자의 사유나 인식을 일관되게 전개시켜 현실 또는 정념과의 유비적 연결망을 만들기보다는, 오히려 그 연결망을 저지하고 대상화시킴으로써 현실 또는 정념의 정체를 되묻는 역할을 한다. 환유적으로 등장한 얼굴 표상은 그 공시적 성격을 통해 외적 폭력이 가진 비극의 폭을 확장시킨다.
    이상 시의 ‘얼굴’ 표상은 은유와 환유의 과정이 중첩되어 등장하고, 임화 시에서는 그 과정이 무화되어 나타난다. 이상의 시는 세계와 자아의 관계가 단일하게 포착되지 않기 때문이며, 임화의 시는 세계와 자아의 관계가 이미 결정된 상태로 등장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는 원관념과 보조관념이 결합된 ‘동일성의 원리’와는 다르다. 그러나 이는 원관념과 보조관념이 결합된 ‘동일성의 원리’와는 다르다. 은유와 환유는 시어 출현 방식에 따라 시의 구조를 형성한다. 이상의 시의 ‘얼굴’ 표상은 구조적 맥락을 지움으로써 세계의 비결정성을 표상하고, 임화 시의 ‘얼굴’은 그 자체로 세계의 표상을 구조화한다. 그로써 이상의 시는 세계의 분열을 드러내고, 임화의 시는 단일한 세계를 지향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a study on the ‘face’ representation of poems written during the colonial period. Facial representations are the objects that show the representational “reality” in terms of forming the interface of inner ‘self’ and outer ‘world’, and metaphors and metonymy are the aspects in which the poetic objects appear and place. Therefore, this study is a study that reveals one aspect of the poetical perception of poets in the colonial period by examining the way facial expression is structured in the poem.
    Many face representations appeared in the poems of Ji Jung Yong, Yoon Dong Joo, Baek Seok, and Yong Aak who experienced the reflection of the world and the self and the reality of the time through the immigrant process. It also appeared frequently in Im Hwa's poems, which matched the goal of the self with the ideal of the world, and Lee sang's poem which showed the splitting of the world by the technique of self-targeting. On the other hand, “face” representations rarely appeared in the poets from Pure Green Color school who indulged in the ideological world and aesthetic language but rejected the questions about reality motif and egos.
    In the poems by Jung Ji-yong and Lee Yong-ak, the ‘face’ representation directly represents the inner state of the speaker who is related to the world. Shortly, it is metaphorical in that it represents the trauma itself originated from the meeting between the world and the self. This can also be explained by the fact that facial expressions appear based on their internal state and similarities. At this time, the “face” representation by Jung Ji-yong and Lee Yong-ak is of a “diachronic” nature in that the subject's internal strength is positioned in a series of unhappy times. This plays a role to clearly reveal the intensity of external violence.
    In the poems by Yun Dong-ju and Baek-seok, ‘face’ has a metonymic nature in that it directs the world in the manner of chain process through parallel arrangement. This can be explained that the facial representation has a proximity in that the trauma of the subject is placed outside the subject. That is, it questions the true intention by separating own's face, or it intends to reach out to the whole world by placing another face next to the face. Face', which appeared in metonymy, plays a role of reclaiming the identity of reality or emotions by blocking the connection and objectifying it through objectification, rather than consistently developing the speaker's thoughts and perceptions to make the organic connection between reality or emotion. This expands the tragedy of external violence through its public nature.
    In the poem by Lee Sang, the process of metaphors and metaphors is overlapped in 'face, and in the poem by Imhwa, the process becomes blurred and appeared. This is becaus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orld and the self is not captured in a single way whil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orld and the self has already been determined in the poem by Imhwa. But this is different from the “principles of homogeneity,” in which the original and auxiliary concepts are combined. Metaphors and metonymy are classification of the structure of poetry depending on the way the words appeared. Thus, the “face” of the poem by Lee Sang represents the world's non-determinism by erasing the architectural context, and the “face” of the poem by Imhwa in itself constructs the world's represent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8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