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동아시아 사회이론을 향한 하나논리와 씨알사​상: 김성국의 하나논리에 대한 씨알사상 관점의 고찰 (Oneness Logic toward East Asian Social Theory and the Ssial People Thought: Study on Seung-Kuk Kim's Oneness Logic from the Perspective of Seok-Heon Ham's Ssial People Thought)

5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3 최종저작일 2024.12
50P 미리보기
동아시아 사회이론을 향한 하나논리와 씨알사​상: 김성국의 하나논리에 대한 씨알사상 관점의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양사회사상학회
    · 수록지 정보 : 사회사상과 문화 / 27권 / 4호 / 59 ~ 108페이지
    · 저자명 : 강수택

    초록

    이 글은 동아시아 사회이론의 구성을 모색한 김성국의 최근 저술, 그 가운데서도 특히 [잡종사회와 그 친구들]과 [하나논리]를 중심으로 그의 이론적 시도가 갖는 특징과 앞으로의 과제를 살펴보는 데 목표가 있다. 필자가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채택한 방법은 함석헌의 씨알사상의 관점에서 김성국의 하나논리를 고찰하는 것이다. 그래서 먼저 김성국의 하나논리가 형성되어온 과정을 간략히 소개한 후, 본격적으로는 씨알​사상의 관점에서 하나논리의 유아유심 개인주의론, 중도자비론, 그리고 자유해방의 안락주의론에 초점을 맞추어 특성을 살펴보면서 앞으로의 과제에 대해서도 간략히 언급한다.
    하나논리의 유아유심 개인주의론은 아나키스트 김성국이 탈근대 사회에서 동아시아 사상을 적극 활용해 급진화시킨 인식론으로서, 아나키즘을 오늘날의 시대 변화에 맞게 그리고 더 나아가 서구문화의 한계를 극복하는 방향으로 발전을 모색한 결과라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하지만 오스트리아 경제학파의 자유주의를 적극 수용한 것은 과연 아나키즘의 기본가치에 부합하는 경제론에 기여할 수 있을지 의심스럽다. 그리고 유아유심 개인주의론이 유아론에 빠지지 않고 사회이론으로 전개되기 위해서는 서구의 합리주의와는 다른 방식으로 자율적인 개인의 주관적 인식 혹은 경험의 공유를 해명할 수 있는 동아시아적인 이론 전략이 요구된다. 다행히 하나논리는 일상생활세계 구성원들의 관점을 중시함으로써 이를 통해 사회이론으로 전개될 가능성을 훨씬 높였다. 중도자비론이 그 사례로서 탈근대적인 잡종사회의 일상생활세계를 살아가는 개인들에게 삶의 지혜를 스스로 찾을 수 있도록 길을 보여주는 사회이론의 성격을 갖는다.
    씨알​사상의 관점은 하나논리의 특징을 잘 보여줄 뿐 아니라 하나논리가 동아시아 사회이론으로 발전하는 과정에서 더욱 고려해야 할 점에 대한 의미 있는 통찰도 제공함을 알 수 있다. 예를 들면 동아시아 사상의 유아유심론과 무위자연론의 관점을 적극 수용하더라도 이전에 아나키스트의 관점에서 많이 다룬 바 있는 사회적 차원과 실천적 차원의 이론적 논의를 보다 적극적으로 끌어들일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그리고 이런 맥락에서 연대론의 관점도 보다 적극 수용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이와 함께 하나논리가 역사적인 관점을 더욱 강화하는 방식으로 논의를 전개한다면 보다 완성도 높은 동아시아 사회이론으로 발전할 수 있음도 보여준다.
    이 연구는 김성국의 하나논리의 형성 과정과 이것이 함석헌의 씨알​사​상과 사이에서 갖는 상대적인 특징을 분명히 드러내면서 하나논리가 동아시아 사회이론으로 발전할 잠재력과 보완할 과제를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and future tasks of Seung-Kuk Kim's theoretical attempts by focusing on his recent writings, especially Hybrid Society and Its Friends and The Oneness Logic, which seek to construct an East Asian social theory. The method I have adopted to achieve this goal is to examine Seung-Kuk Kim's oneness logic from the perspective of Seok-Heon Ham's ssial people thought. I will first briefly introduce the process of the formation of Seung-Kuk Kim's oneness logic, and then I will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oneness logic from the perspective of ssial people thought, focusing on its theories of the unique self/mind individualism, the harmonious convergence and love with sorrow, and the safe epicurianism for freedom and liberation. I will also briefly mention its future tasks.
    Oneness logic's theory of the unique self/mind individualism is an epistemology that anarchist Seung-Kuk Kim radicalized by actively utilizing East Asian thought in a postmodern society, and it is of great significance as a result of seeking to develop anarchism in a way that suits today's changing times and overcomes the limitations of Western culture. However, it is questionable whether actively accepting the liberalism of the Austrian school of economics can contribute to an economic theory that is in line with the basic values of anarchism. In addition, in order for the theory of the unique self/mind individualism to develop into a social theory without falling into solipsism, an East Asian theoretical strategy that can explain the sharing of the subjective perception or experiences of autonomous individuals in a different way from Western rationalism is required. Fortunately, oneness logic greatly increased the possibility of being developed into a social theory by emphasizing the perspectives of members of the everyday lifeworld. As an example, the theory of the harmonious convergence and love with sorrow has the character of a social theory that shows individuals living in the everyday lifeworld of postmodern hybrid society a way to find their own wisdom in life.
    The perspective of ssal people thought not only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oneness logic well, but also provides meaningful insights into what needs to be further considered as oneness logic develops into an East Asian social theory. For example, it shows that even if the oneness logic actively accepts the perspectives of the East Asian thought of unique self/mind and inactive nature, it needs to more actively engage in theoretical discussions on the social and practical dimensions that have previously been heavily addressed from an anarchist perspective. And in this context, it shows that the perspective of solidarity theory also need to be more actively accepted. It also shows that oneness logic can be developed into a more complete East Asian social theory, if it develops its discussions in a way that further strengthens the historical perspectiv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clearly shows the formation process of Seung-Kuk Kim's oneness logic and its relative characteristics to Seok-Heon Ham's ssial people thought, suggesting the potential for oneness logic to develop into an East Asian social theory and the tasks to be supplement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회사상과 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콘크리트 마켓 시사회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