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주간의 써킷웨이트 트레이닝이 20대 남성의 신체조성, 심폐기능,체력 및 심리적 요인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14-week Circuit Weight Training on Body Composition, Cardiorespiratory Function, Fitness, Physical Self-Efficacy Scale, Beck Depression Inventory, and SF-36 in Men in Their Twentie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 발행기관 :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
· 수록지 정보 :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 9권 / 4호 / 321 ~ 328페이지
· 저자명 : 소위영, 최대혁, 윤용진
초록
연구배경 : 인스턴트식품, 자동차, 인터넷의 대중화로 인한 사회 환경의 급격한 변화가 청소년들의 건강과 체력을 위협하고 있다. 특히 입시경쟁의 교육풍토 속에서 온갖 스트레스와 학업으로 인한 비활동적인 생활양식은 결국 20대들에게 체격은 비대해졌으나, 체력은 감소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써킷웨이트 트레이닝은 신체의 유산소능력과 더불어 무산소능력의 극대화를 위하여 추천되는 운동의 한 형태이다. 과거 선수들을 대상으로 많은 연구가 수행되었고, 국내에서도 다양한 방면에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20대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이는 아마도 20대는 신체적으로 매우 강성한 시기여서, 훈련에 따른 효과를 규명할 필요성이 적었기 때문일 것이다. 하지만, 막연하게 20대에게도 써킷웨이트 트레이닝의 효과가 나타날 것이라고 판단하기에 앞서 한번쯤은 잘 통제되어 정량화된 효과를 나타내는 연구가 필요하며, 본 연구는 그러한 요구를 반영하고자 한다.
방 법 : 본 연구의 피검자는 S시 M구에 소재한 S대학교 운동프로그램에 참가하는 20대 초·중반의 성인남성 36명으로 운동군 23명, 통제군 13명으로 분류하였다. 써킷웨이트 트레이닝은 14주 동안 주2회의 빈도로 실시하여, 훈련 전·후로 신체 조성 (체중, 체질량지수, 체지방률), 심폐기능 (수축기 혈압, 이완기 혈압, 안정시심박수, 폐활량), 체력 (심폐지구력, 근지구력, 근력, 유연성, 순발력, 민첩성, 평형성), 우울, 신체적 자기효능감 및 건강관련 삶의 질 (SF-36)을 측정하였다.
결 과 : 14주간의 써킷웨이트 트레이닝 전․후 신체조성의 체지방률 (F=3.594, p=0.067)은 경계적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체중 (F=4.444, p=0.042), 체질량지수 (F=4.614, p=0.039)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심폐기능의 수축기 혈압(F=1.050, p=0.313), 이완기 혈압 (F=0.073, p=0.788), 안정시심박수 (F=0.604, p=0.442)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못하였으나, 폐활량 (F=8.640, p=0.006)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체력의 최대산소섭취량 (F=4.921, p=0.033), 윗몸일으키기 (F=22.822, p<0.001), 악력 (F=6.880, p=0.013), 앉아윗몸앞으로굽히기 (F=6.743, p=0.014), 수직점프 (F=18.381, p<0.001), 전신반응 (F=5.405, p=0.026), 눈감고 외발서기 (F=6.439, p=0.016)의 모든 체력 변인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우울증(F=0.037, p=0.848)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못하였으나, 신체적 자기효능감 (F=4.268, p=0.047)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건강관련 삶의 질 (SF-36)의 신체기능 (F=1.784, p=0.191), 신체역할 제한(F=0.030, p=0.864), 감정역할 제한 (F=0.136, p=0.715), 사회적 기능 (F=0.271, p=0.606), 정신건강 (F=1.424, p=0.241), 활력 (F=0.611, p=0.440), 신체통증 (F=0.899, p=0.350), 일반적인 건강 (F=0.855, p=0.362)의 모든 SF-36 변인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결 론 : 20대의 성인에게 있어서 써킷웨이트 트레이닝은 심리적인 개선의 효과에 다소 미약한 영향을 미치나 신체조성, 심폐기능 및 체력에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어초록
Background : The rapid change in the social environment by the popularization of instant food, motorized vehicles, and the internet is threatening the health and fitness of adolescents. In particular, inactivity related to stress, schoolwork, and the university entrance exam results in bigger build but lower fitness as they enter their twenties. Circuit weight training is one type of exercise that maximizes the aerobic and anaerobic capacities. Though there are numerous studies from and outside Korea involving athletes, none studied subjects in their twenties. Perhaps, it was thought unnecessary to study the effects of training on persons in their twenties as this is one of the strongest periods in a person's life. This study is a well-controlled and quantitative study to show that weight training does affect this age group.
Methods : Subjects included 36 adult males in their early- to mid-twenties who were students in S University exercise program at M-gu in S city. They were divided into exercise group (N=23) and control group (N=13). Circuit weight training was scheduled twice a week for 14 weeks. Body composition (weight, BMI (body mass index), and % body fat), cardiorespiratory function (SBP: systolic blood pressure, DBP: diastolic blood pressure), RHR (resting heart rate), RC (respiratory capacity), fitness (VO2max, sit-up, grip strength, sit and reach, vertical jump, reaction time, and balance), depression, self-esteem, and 36-item short form health survey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this period of training.
Results : There was a borderline level of significant difference before and after the 14 weeks of circuit weight training in % body fat (F=3.594, p=0.067),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weight (F=4.444, p=0.042) and BMI (F=4.614, p=0.039).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BP (F=1.050, p=0.313), DBP (F=0.073, p=0.788), and RHR (F=0.604, p=0.442) under cardiorespiratory function, bu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RC (F=8.640, p=0.006).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fitness variables- VO2max (F=4.921, p=0.033), sit-up (F=22.822, p<0.001), grip strength (F=6.880, p=0.013), sit and reach (F=6.743, p=0.014), vertical jump (F=18.381, p<0.001), reaction time (F=5.405, p=0.026), and balance (F=6.439, p=0.016).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depression (F=0.037, p=0.848), bu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esteem (F=4.268, p=0.047).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ny of the SF-36 variables- physical functioning (F=1.784, p=0.191), role limitation-physical (F=0.030, p=0.864), role limitation-emotional (F=0.136, p=0.715), social functioning (F=0.271, p=0.606), mental health (F=1.424, p=0.241), vitality (F=0.611, p=0.440), bodily pain (F=0.899, p=0.350), and general health (F=0.855, p=0.362).
Conclusions : For adults in their twenties, circuit weight training has little effect on psychological improvement, but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body composition, cardiorespiratory function, and fitness.
해피캠퍼스에서는 자료의 구매 및 판매 기타 사이트 이용과 관련된 서비스는 제공되지만, 자료내용과 관련된 구체적인 정보는 안내가 어렵습니다.
자료에 대해 궁금한 내용은 판매자에게 직접 게시판을 통해 문의하실 수 있습니다.
1. [내계정→마이페이지→내자료→구매자료] 에서 [자료문의]
2. 자료 상세페이지 [자료문의]
자료문의는 공개/비공개로 설정하여 접수가 가능하며 접수됨과 동시에 자료 판매자에게 이메일과 알림톡으로 전송 됩니다.
판매자가 문의내용을 확인하여 답변을 작성하기까지 시간이 지연될 수 있습니다.
※ 휴대폰번호 또는 이메일과 같은 개인정보 입력은 자제해 주세요.
※ 다운로드가 되지 않는 등 서비스 불편사항은 고객센터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찾으시는 자료는 이미 작성이 완료된 상태로 판매 중에 있으며 검색기능을 이용하여 자료를 직접 검색해야 합니다.
1. 자료 검색 시에는 전체 문장을 입력하여 먼저 확인하시고
검색결과에 자료가 나오지 않는다면 핵심 검색어만 입력해 보세요.
연관성 있는 더 많은 자료를 검색결과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검색결과가 너무 많다면? 카테고리, 기간, 파일형식 등을 선택하여 검색결과를 한 번 더 정리해 보세요.
2. 검색결과의 제목을 클릭하면 자료의 상세페이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썸네일(자료구성), 페이지수, 저작일, 가격 등 자료의 상세정보를 확인하실 수 있으며 소개글, 목차, 본문내용, 참고문헌도 미리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검색기능을 잘 활용하여 원하시는 자료를 다운로드 하세요
자료는 저작권이 본인에게 있고 저작권에 문제가 없는 자료라면 판매가 가능합니다.
해피캠퍼스 메인 우측상단 [내계정]→[마이페이지]→[내자료]→[자료 개별등록] 버튼을 클릭해 주세요.
◎ 자료등록 순서는?
자료 등록 1단계 : 판매자 본인인증
자료 등록 2단계 : 서약서 및 저작권 규정 동의
서약서와 저작권 규정에 동의하신 후 일괄 혹은 개별 등록 버튼을 눌러 자료등록을 시작합니다.
①[일괄 등록] : 여러 개의 파일을 올리실 때 편리합니다.
②[개별 등록] : 1건의 자료를 올리실 때 이용하며, 직접 목차와 본문을 입력하실 때 유용합니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