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초등 국어 교과 「쓰기」교육을 서예로 대체해야 할 필요성과 그 방안 (Need to Replace Writing Education with Calligraphy and Plans for the Replacement in the Elementary Korean Subject)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3 최종저작일 2009.09
42P 미리보기
초등 국어 교과 「쓰기」교육을 서예로 대체해야 할 필요성과 그 방안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서예학회
    · 수록지 정보 : 서예학연구 / 15호 / 155 ~ 196페이지
    · 저자명 : 장미옥, 이은혁

    초록

    공교육의 시발점인 초등교육에서 국어 교과는 순수한 언어의 활용을 초월하여 정체성 및 주체성의 확립에도 큰 역할을 한다. 말하고, 듣고, 읽고, 쓰는 가운데 스스로 자신의 생각을 표현함으로써 존재의 가치를 확인한다. 언어생활에서 말하고, 듣고, 읽는 행위는 영속성을 갖지 못하지만, 쓰기는 그 행위가 비록 다른 것에 비해 더디지만 시간적 영속성 즉 역사성을 지니는 매우 중요한 활동이다. 그러므로 그 내용의 여하를 떠나 쓰는 행위 자체에 역사성이 부여되는 쓰기(글씨쓰기) 교육을 국어교육에서 도외시하는 것은 비역사적인 처사이다.
    본고는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의 구성과 쓰기 교육의 실태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쓰기』 교과에서 행해지고 있는 ‘글씨쓰기’ 교육을 서예로 대체하기 위한 방안을 논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현행 국어 교과서에서 사용하는 ‘쓰기’의 개념에 대하여 검토하고, 종래에 행해졌던 글씨쓰기와 서예 교육의 관계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본론에서는 현행 국어 교과에서 글씨쓰기 교육의 필요성을 피력한 뒤, 서예 대체 방안을 제안함으로써 현행 교육과정의 개정필요성을 제기하였다.
    인성의 형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초등교육에서 쓰기(글씨쓰기) 교육은 의미 이상의 가치를 지닌다. 글씨쓰기는 그 도구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지만, 그 중에서도 전통적으로 가장 중시된 것은 붓(모필)을 이용한 글씨쓰기 교육이었다. 어떤 내용을 글로 적는 단순한 행위가 아니라 바르고 정확한 글씨로 표현하는 능력을 기르고, 더 나아가 보는 이로 하여금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도록 쓰게 하였다. 그러한 과정에서 잘못된 마음과 몸자세를 바로잡고, 나아가 글자의 구조 원리와 미의식을 터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국어 교과의 ‘쓰기’ 교육을 붓(모필)을 이용하여 실행한다면, 아름다운 언어생활을 도모하고 아울러 인성을 함양하며 역사에 동참하는 기회를 동시에 부여받을 수 있다. 이에 시험적으로 교과과정에 의한 글씨쓰기 교육을 강화하기 위한 몇 가지 방안을 제시하였다.

    영어초록

    Education is directly related to human life. Through education, humans have pursued all kinds of principles and explored the goals and values of life via endless reflections and cultivations in the large sense and mastered the fundamental knowledge and methods required to lead a life in the small sense. Education reflects times and regions. Regardless times and regions, education has always been given. Regardless of East and West and ancient and modern times, education has always been provided for the sake of better life. Each time period and region has its own values, which are reperceived, systemized, practiced, completed and reflected into life once again through education. Therefore, it's safe to argue that education proper for times and regions make a huge contribution to realistic life.
    Closely related to "writing" in the Korean subject, calligraphy education was traditionally given in the field of humanities. With the segmentation and specialization of the subjects following the modernization of education, however, it was transferred to the art subject. Today it takes up a small part in the art subject. Boasting the longest history and heritage along with alphabets, calligraphy has increasingly been neglected and losing its ground in modern education, which is an unfortunate reality. There is a strong emphasis on the activation of writing and calligraphy education in order to make Korean a part of daily life, promote the modernization of Korean, cultivate the devastated personality, and heighten the Korean people's pride and aesthetic consciousness.
    This study conducted an analysis of the composition of the elementary "Korean" subject and the current state of writing education and discussed the plans to the replace current "writing" education of the "writing" subject with calligraphy. After reviewing the concept of "writing" used in the current Korean textbooks, the investigator examined the relations between the old writing and calligraphy education. A need for writing education in the current Korean subject was maintained, and then plans to introduce calligraphy were suggested to raise a need to revise the current curriculum. The term "writing" seems to be more rational than "calligraphy" in implementing the plans in the elementary Korean subject. One of the reasons is that "writing" is a more universal and comprehensive term, and the other is that it doesn't overlap with "calligraphy" used in the unit learning of the current art subjec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서예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