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최인훈의 이상(李箱) 다시 쓰기 - 최인훈의 『크리스마스 캐럴』 연작과 『화두』를 중심으로 (In-hoon Choi’s Rewriting of Sang Lee - focusing on In-hoon Choi's Christmas Carol series and Hwadu)

5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2 최종저작일 2019.12
53P 미리보기
최인훈의 이상(李箱) 다시 쓰기 - 최인훈의 『크리스마스 캐럴』 연작과 『화두』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현대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현대문학연구 / 59호 / 67 ~ 119페이지
    · 저자명 : 이유경

    초록

    본고는 최인훈이 선대 작가인 이상(李箱)을 독해하고 재창조하여 다시 쓰는 과정을 고찰하고자 한다. 최인훈은 다양한 일제 강점기 작가들을 소환하여 자신의 문학사적 좌표를 구성하는 동시에 자신의 역사의식을 성립시킨다. 최인훈은 그 중에서도 이상(李箱)을 자신의 문학적 계보 제일 앞에 세운다. 최인훈의 이상(李箱)에 대한 관심은 60년대 『크리스마스 캐럴』 연작부터 마지막 장편 소설 『화두』에 이르기까지 지속된다. 최인훈은 『크리스마스 캐럴』에서 ‘13인의 아해’, ‘까마귀’, ‘날개’라는 표현을 통해 이상(李箱)의 「오감도」 시편과 단편 소설 「날개」를 환기시킨다. 이상(李箱)의 작품에서 까마귀의 시선으로 공포에 질린 13인의 아해를 바라보는 모티프는 『크리스마스 캐럴』에서도 반복된다. 최인훈의 이상(李箱)에 대한 관심은 대중독자들이 이광수에 열광했던 것과 대비된다. ‘고아의식’을 전면에 내세워 아버지 세대를 부정하고, 새로운 주체로서 거듭나려는 이광수와 달리 최인훈은 이상(李箱)과 마찬가지로 친부(전통, 조선)와 양부(근대, 일본)라는 두 아버지의 존재를 부정하지 않으면서도 동시에 두 아버지를 넘어서기 위해 노력한다. 또한 최인훈은 특히 이상(李箱)이 여러 작품에서 자기 자신의 아호를 작품 속에 기입하는 방식에 주목한다. 이를 통해 이상(李箱)은 자기 자신을 낯설게 만들며, 자기 자신을 객관적으로 바라보게 된다. 즉, 이상(李箱)의 작품에 나타난 작가의 자기 반영을, 최인훈은 『화두』에서 자기 자신을 반추하는 ‘반성’과 ‘자각’의 형식이자 자신의 ‘역사의식’을 드러내는 방법으로 삼는다. 『화두』의 이러한 방식은 최인훈이 『서유기』에서 주장한 ‘내공간과 외공간, 탄력점’의 문학적 실현이자 ‘예술의 변증법’이라는 최인훈의 문학적 앙가주망의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intends to examine the process of In-hoon Choi’s reading, re-creating, and rewriting of Sang Lee, the writer from the previous era. Choi assembles various writers from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o create his own literary and historical coordinate graph and to establish his historical consciousness concurrently. Among them, he puts Lee first in his literary lineage. His interest in Lee continues from the Christmas Carol series in the 1960s and to his last novel, Hwadu. He evokes Lee’s poetry collection ‘Ogamdo’, and the short story ‘Nalgae’ through the usage of expressions like ‘13 children’, ‘crow’, and ‘wing’ in his Christmas Carol. The motif of Lee, where the crow’s eyes are perceiving the thirteen children being horrified, is repeated in Choi’s Christmas Carol. Choi’s interest in Lee contr asts the interest of the readers at mass had toward Yi Kwang-su. Unlike Lee, Yi puts his orphan consciousness on a front to deny his father’s generation, but Choi does not deny the presence of two fathers, father(tradition, Joseon) and foster father (modern, Japan), yet tries to surpass the two fathers at the same time. Choi pays particular attention to the way Lee inscribes his pseudonym in his works. Through this, Lee eventually disarranges and looks at himself objectively. Choi adopts the way of Lee’s self-reflection within his work, as a form of ‘reflection’ and ‘self-aware’ to ruminate on his own and as a way of revealing his ‘historical consciousness’ in Hwadu. This structure of Hwadu is what Choi has insisted in his work Seoyugi that his method of literary engagement is his literary practice of the ‘inner and outer space, and resilient point’ and the ‘dialectic of the ar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현대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