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교육실습 맥락에서 예비유아교사의 반성적 탐구 저널쓰기 경험의 의미 탐색 (An Analysis of Meaning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Reflective Inquiry Journaling in the Teaching Practice.)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2 최종저작일 2015.04
28P 미리보기
교육실습 맥락에서 예비유아교사의 반성적 탐구 저널쓰기 경험의 의미 탐색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유아교육학논집 / 19권 / 2호 / 321 ~ 348페이지
    · 저자명 : 김은희

    초록

    본 연구는 유치원교육실습 맥락에서의 반성적 탐구저널쓰기 경험이 예비유아교사에게 미치는 의미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유아교육과 3학년 재학생중 30명의 예비유아교사들로서 교육실습이 있는 학기의 수업에서 4주의 실습 중 공적 도덕적, 다원적, 신중한, 비판적 탐구저널쓰기를 주 1회 4차례, 실습 후 자서전 저널쓰기 1차례를 진행하였다. 실습 중 저널은 매주 이메일로 제출하고, 개인별 2차례 피드백 하였으며, 실습 후, 공유 및 저널쓰기, 3차례 학급별 집단면담, 3차례 핵심집단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실습맥락의 반성적 탐구저널쓰기는 정서 분출, 소통하고 관계 맺기, 방향을 잡고 문제를 해결하게 함으로써 실습을 안내하였다. 둘째, 실습맥락의 반성적 탐구저널쓰기는 예비교사로 하여금 교사로서 자신 평가, 기술적 방식의 한계 알기, 이론의 의미를 깨달아 적용하는 기회로써 실습의 중요성을 알게 하였다. 셋째, 반성적 탐구저널쓰기를 통한 실습은 교육에 대한 가치, 교수접근, 교실문제, 자신의 정체성에 대한 개인적실천적지식을 학습하는 과정이 되었다, 나아가, 현재의 교육적 가정, 교육과정, 유아 이미지, 교사 역할, 그 외 유아교육 전반에 대한 비판적 인식을 불러오게 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유아교사양성 대학의 교사교육과 교육실습을 위한 프락시스를 제안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seeks to explore pre-service teacher's experiences of writing reflective inquiry journals in the context of their teaching practice. 30 pre-service teachers participated in 4-week teaching practice and submitted one journal per week. The four different reflective inquiry journals they submitted were public moral inquiry, multi-perspective inquiry, deliberative inquiry, and critical inquiry journal. While writing their journals, students reflected on their ongoing teaching practice. Once the students had completed the teaching practice, they wrote an autobiographical inquiry journal. The data sources used for this analysis were the reflective inquiry journals, in-depth interviews of both large group and focus group, and feedback emails. The findings revealed that first, the journal writing introduce the pre-service teachers‘ teaching practice by vent their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communication and relationship, direct and solve the problems. Second, the journal writing lead to understand the importances of the teaching practice by judge themselves, recognized limit of technical methods, their application of appropriate theories Third, writing the reflective inquire journals allowed students to reflect on their identity as early childhood teachers, their educational value, and their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learning their personal practical knowledges. Furthermore, it reminds them to maintain a critical reflection regarding their views on modern educational hypotheses, curriculum, the image of child, and the role of teacher throughout the educational process at macro level. Based on this study regarding practical meaning of writing reflective inquiry journals, I suggest the use of reflective inquiry writing as acomponent of teaching practice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 context of teaching practice, online interchangeability considering efficiency, and feedbacks for having emotional solidar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유아교육학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0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