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상호텍스트성에 대한 도전 - 1990년대 송경아 소설의 신화 다시 쓰기 (The Challenge to Intertextuality - Rewriting myths of Song Kyung-ah’s 1990’s fiction)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2 최종저작일 2022.04
34P 미리보기
상호텍스트성에 대한 도전 - 1990년대 송경아 소설의 신화 다시 쓰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현대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현대문학연구 / 66호 / 489 ~ 522페이지
    · 저자명 : 서욱희

    초록

    본고는 1990년대 송경아 소설이 기존 문학이 구축한 상호텍스트성이 여성에게 불편하고 불안한 그물과도 같다는 인식에서 출발하여 환상 문학의 과도기를 거쳐 신화 텍스트 비판으로 나아갔음을 밝히고자 한다. 송경아의 초기 단편에 나타난 그물과 잠자리 이미지는 기존 문학의 상호텍스트성에 대한 여성 작가의 불안을 인상적으로 보여준다. 자신의 작가적 정체성을 담을 ‘이카라’라는 이름이 ‘이카루스’라는 남성 명사에서 도출되어야 한다는 인식은 문학이라는 그물의 깊은 곳에 신화가 있다는 문제의식으로 나아갔다. 송경아는 기존 구조에 저항할 수 있는 글쓰기로 환상을 시도했으나 이내 회의를 드러낸다.
    송경아의 문제의식은 여성 SF라는 새로운 장르와 접목하여 역사와 신화를 헤집는 작업으로 발전한다. 바리 연작은 신화들 속에서 여성의 존재가 맡은 균형자 역할에 대한 문제 제기이자 세계 구원이란 애초에 허구임을 폭로하며 신화를 해체하고 있다. 바리 연작의 미금은 새로운 인간이자 호문쿨루스의 형상으로 신화의 그늘에서 벗어난 이카라적 인물, 여성 사티로스적 인물이다. 『아기 찾기』의 아기는 찾는 과정에 있어서 항상 누군가를 필요하다는 점에서 관계 그 자체를 의미한다. 이 작품은 단군신화, <삼국사기> 설화, 한국의 고대사와 근대사를 뒤집고 헤집는데, 이는 네트워크 상상하기라는 여성 SF의 핵심 주제를 천착하기 위함이다. 90년대 송경아 소설의 마침표인 『테러리스트』는 순교와 제자 되기의 ‘유사 중세적’인 결말을 통해 관계 맺기의 가능성에 대한 믿음을 표출한다.
    본고는 90년대 송경아 소설의 전개 양상을 따라가면서 당시 송경아 소설이 포스트모던 유행의 추종이거나 영미 페미니즘 SF의 표면적 수용이 아니었음을 보이고자 한다. 송경아 소설의 실험성은 기존의 이야기에 도전하는 문학 정신, 새로운 신화를 쓰려는 여성 SF 정신에 기반한 것이었다. 이는 한국 여성 SF가 결코 장르에 대한 취향이 아닌 새로운 관계를 희구하는 가치 탐구에서 출발했음을 보여준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to reveal that Song Kyung-ah's fiction in the 1990s started with the perception that the intertextuality of existing literature feels uncomfortable and unstable for women, went through a transitional period of fantasy then moved on to myth-deconstructing texts. The images of net and dragonfly in her early shorts impressively show the female writer’s anxiety about the intertextuality. The knowing that the name "ikara," which contains his writer's identity, should be derived from a male noun Icarus, led to the awareness that there is myths deep in the net of literature. Song Kyung-ah attempted to resist text-structure through fantasy, but soon had a doubt. Her works developed into deconstructing history and myths within a new genre, the feminism SF. Bari series raised the issue of the women’s balancing role in myths, and formed a new mythical figure of women. 『Finding a Baby』 aggressively distorts many Korean tales and historical facts including the myth of Dangun, Samguksagi, modern history to reach the core theme of the feminism SF which is to imagine a new network. Following the development of Song Kyung-ah's 1990’s fiction, It finds that she was never a postmodern trend follower or a superficial accepter of British-American feminism SF. The experimental nature of Song’s writing was based on the spirit of literature which is to challenge existing stories. This shows that Korean female SF started with seeking for value, a new way to relate to others, rather than a taste for gen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현대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1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