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어 쓰기 교육에서의 온라인 기반 글쓰기 피드백 운영의 효과 (The Effects of Implementing Online-Based Writing Feedback in Korean Writing Education)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2 최종저작일 2024.09
22P 미리보기
한국어 쓰기 교육에서의 온라인 기반 글쓰기 피드백 운영의 효과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 수록지 정보 : 유라시아연구 / 21권 / 3호 / 219 ~ 240페이지
    · 저자명 : 김해미

    초록

    본 연구는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한 한국어 쓰기 수업에서 온라인 기반 글쓰기 피드백의 효과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비대면 학습 환경에서 교수자와 학습자 간의 소통 한계를 극복하고, 온라인 피드백이 학습자의 동기부여와 자기 효능감, 그리고 글쓰기 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탐구하였다. 특히 전통적인 대면 피드백과 비교하여 온라인 피드백의 유용성과 한계를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연구 대상은 C대학교의 한국어 글쓰기 교과목을 수강한 외국인 유학생 10명이며, 연구는 15주 동안 진행되었다. 참여 학생들은 다양한 국적과 전공을 가지고 있으며, 대부분 중급 이상의 한국어 실력을 보유하고 있었다. 연구 방법은 학습자들이 글쓰기 과정에서 겪는 변화를 추적하는 방식으로, 피드백 단계는 [주제 선정 - 개요 작성 - 초고 작성 - 피드백 - 수정본 작성 - 최종 제출]로 구성되었다. 피드백은 실시간 화상 회의와 서면 피드백을 병행하여 이루어졌으며, 교수자는 문법, 어휘, 문장 구조 등의요소에 대해 맞춤형 피드백을 제공하였다. 특히 실시간 상호작용을 통해 학습자의 글쓰기 의도를 정확히 파악하고, 그에 맞는 피드백을 제공하였다. 연구 결과, 학습자들의 초고와 수정본 사이에서 유의미한 개선이 나타났다. 문법적 오류와 문장 구조상의 문제가 크게 줄었으며, 특히 형태·통사적 오류와 어휘·의미적 오류가 눈에 띄게 감소했다. 자기소개서와 비평문 모두에서 글의 완성도가 높아졌고, 학습자들은 피드백을 통해 글을 능동적으로 수정하고발전시킬 수 있었다. 또한 실시간 화상 피드백은 서면 피드백만으로는 한계가 있었던 부분을 보완하여학습자들에게 자신감과 성취감을 안겨주었다. 즉 온라인 기반 피드백이 비대면 상황에서도 충분히 효과적이며 시간과 공간 제약 없이 학습자 개별의 필요에 맞는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온라인피드백이 유용하였다. 이에 연구는 한국어 쓰기 교육에서 온라인 피드백 시스템이 비대면 학습 환경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시사하며, 대면 수업에서도 온라인 피드백을 결합하여 교육의 효과를 극대화할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s of online-based writing feedback in Korean writing classes for international students. It examines how online feedback can overcome communication barriers between instructors and students in a non-face-to-face learning environment and empir ically explores its impact on students' motivation, self-efficacy, and writing skill improvement.
    In particular, the study specifically compares the effectiveness and limitations of online feedback with traditional face-to-face feedback.
    The research involved 10 international students enrolled in the Korean writing course at C University, conducted over a 15-week period. The participants came from various nationalities and academic fields, and most had intermediate or higher levels of Korean proficiency. The researc h method involved tracking the changes students experienced in the writing process, with the feedback stages structured as follows: [topic selection - outline writing - first draft - feedback - revision - final submission]. Feedback was provided through a combination of real-time video conferencing and written feedback, with the instructor offering personalized feedback on grammar, vocabulary, and sentence structure. In particular, real-time interaction allowed the instructor to accurately understand the students’ writing intentions and provide feedback accordingly.
    The result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between the initial drafts and the revised version s. Grammar and sentence structure errors were significantly reduced, with noticeable decreases in syntactic and semantic errors. The overall quality of both personal statements and critical essays improved, and students were able to actively revise and develop their writing based on the feedback. Additionally, real-time video feedback supplemented the limitations of written feedback, giving students confidence and a sense of accomplishment. In other words, online-base d feedback proved to be highly effective even in non-face-to-face situations, as it provided feedback tailored to individual students' needs without time and space constraints.
    Thus, this study suggests that online feedback systems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Korean writing education in non-face-to-face learning environments, and also presents the possibility of maximizing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by combining online feedback with face-to-face class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유라시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0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