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대학생의 글쓰기 태도 구성요인 및 쓰기 수행과의 관계 탐색 (College Students' Approaches to Writing Processes and Their Relation to Writing Performance: An Exploratory Study)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2 최종저작일 2012.09
26P 미리보기
대학생의 글쓰기 태도 구성요인 및 쓰기 수행과의 관계 탐색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아시아교육연구 / 13권 / 3호 / 61 ~ 86페이지
    · 저자명 : 윤초희, 이성흠

    초록

    고등교육 맥락에서 글쓰기는 학문적 의사소통뿐만 아니라 지식생산 및 사고력 계발활동의 일환으로서 오랫동안 교수ㆍ평가적 도구로 사용되어 왔다. 대학생을 위한 글쓰기강좌는 계속적으로 늘어나고 있지만, 아직까지 글쓰기교육은 전통적인 인지주의 모형에 입각하여 순차적이고 독립적인 절차와 기술을 가르치는 활동으로 개념화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 부각되고 있는 ‘글쓰기 접근(approach to writing processes)’ 모형은 학생들의 글쓰기 수행을 강화하기 위해 글쓰기에 대한 학생들의 신념(글쓰기란 무엇인가? 무엇을 목적으로 하는가?)과 이에 따른 글쓰기 전략을 우선적으로 변화시킬 필요가 있음을 강조한다. 결국 글쓰기 수행은 저자가 글쓰기를 어떻게 개념화하고 어떤 신념으로 어떻게 접근하는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관점에 기초하여, 이 연구는 대학생들이 글쓰기에 대해 가지고 있는 신념과 전략들을 탐색하고, 이들 태도요인이 쓰기 수행을 예측해주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서울의 한 종합사립대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303명이 참여하였다. 글쓰기 접근을 측정하기 위하여 심층적 접근(deep writing)과 표층적 접근(surface writing)을 인지와 정서적 차원에서 구조화한 IPCC(the Inventory of Processes in College Composition)를 사용하였으며, 이 검사에서의 점수와 에세이 산출물 및 글쓰기강좌 성적과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대학생의 글쓰기 접근은 5가지 심층적 접근(쓰기효능감, 학습도구로서의 글쓰기, 독자민감성, 의미구성, 반추/교정 접근)과 3가지 표층적 접근(즉흥성/무계획성, 외재적 동기, 규칙준수)으로 분리되어 나타났으며, 모든 심층적 접근은 규칙준수를 제외한 모든 표층적 접근과 부적 상관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하위 요인 중 반추/교정 접근과 독자민감성은 에세이 산출물의 질을 정적으로 예측하고, 반추/교정 접근과 규칙준수는 글쓰기강좌 전체 성적을 정적으로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층적 접근인 규칙준수가 글쓰기강좌 성적을 예측하는 변인으로 나타난 결과는 학습에 대한 정보처리이론의 관점을 가진 학습자가 성적도 우수한 경향이 있는 우리나라 교육환경의 독특성을 반영하는 것이다.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대학에서의 글쓰기교육을 위한 시사점이 제시되었다.

    영어초록

    Writing has been employed as an valuable instructional and evaluative tool for enhancing knowledge production and thinking skills as well as academic communication at the context of higher education. While various programs for college writing are being provided, writing instruction is still conceptualized as an activity to teach sequential and independent skills and procedures based on the traditional cognitive model of writing. Recently, the approach-to-writing model is receiving attention as an alternative model for explaining writing processes, which assumes that in order to improve students' writing performance, their beliefs and understanding of writing processes (e. g. What is writing? For what purposes do we write?), identity as a writer, and writing strategies they use should be modified first. Based on this notion, this study aims to explore college students' different approaches to writing and to analyze the relation between writing approaches and writing performance. To this end, a total of 303 students who were enrolled at a private university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Inventory of Process in College Composition (IPCC) was administered to the students and the relation of the scale scores of IPCC with the quality of essay writing and course grades were analyzed. As a result, five factors constituting a deep approach (writing efficacy, writing as a learning tool, reader sensitivity, meaning-making, and reflection/revisionist) and three factors representing a surface approach (spontaneity/no plan, extrinsic motivation, and rule-bound) were identified. All deep approaches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all other surface approaches except for the rule-bound orientation. Reader sensitivity and reflection/revisionist approach predicted the quality of essay, while reflection/revisionist and rule-bound approaches were predictive of course grades. Based on the findings, pedagogical implications for college writing were suggest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아시아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5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