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프로젝트 일지 쓰기 과정에서 경험하는 교사됨의 의미 (Writing a project log: Transforming teaching and teachers)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2 최종저작일 2012.08
23P 미리보기
프로젝트 일지 쓰기 과정에서 경험하는 교사됨의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유아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유아교육연구 / 32권 / 4호 / 341 ~ 363페이지
    · 저자명 : 안지혜, 서영숙

    초록

    본 연구는 프로젝트 일지를 쓰는 과정에서의 교사의 삶은 어떠한지, 프로젝트 일지를 쓴다는 것이 교사됨에 어떠한 의미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년 이상 프로젝트 일지를 쓰고 있는 교사 4인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프로젝트 일지를 쓰는 과정에서 교사들은 비슷한 패턴을 반복하는 하루살이의 삶을 사는 자에서 삶을 엮는이로서의 삶을 살고 있었고, 단순히 본 것을 나열하는 자에서 마음을 담은 글쓰기를 경험하고 있었으며, 여러 매체의 단순이용자에서 이를 맥락에 맞게 구성하는 디렉터로서의 삶, 그리고 권위적인 글쓴이의 입장에서 내려와 때로는 독자적인 시각을 갖기도 하였다. 이러한 경험을 통해 교사 스스로가 자발적으로 움직이고자 하는 마음을 갖게 있음을 깨닫게 되었고 일상에 갇히지 않는 날마다 새롭게 거듭나는 교사, 질적연구가로서의 교사, 삶으로 환원시키는 교사로서의 교사됨을 드러냈다.

    영어초록

    The Project Approach, a multidimensional, interconnected, constructivist approach to teaching involves teachers who use it in scrutinizing method, content and the diverse needs and interests of the children they teach using a journal or log as a means of deeply reflecting, planning, assessing and observing every day. What happens to teachers who leave their preconceived learning and teaching methods and embrace the project log as a tool for discovering? Four teachers who had embraced the project approach and used project logs for more than two years described in interviews what the process meant to them. They said it was life changing and empowering. They spoke seeing superficially before they began reflecting in writing and now, they see in depth and in multiple ways. They characterize their insights as heartfelt and see themselves as empowered, renewing themselves every day through the quality of their research and reflection. Nor does their transformation begin and end in their classrooms, for the teachers speak of the transformation of their lives in and out of the classroo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유아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