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트랜스(trans) 개념을 통한 저소득층 십대 이주 여성의 반복적 이주에 관한 연구: 몽골 이주노동자 자녀들을 중심으로 (Research on Subject of Low Class Women Who Have Experienced Repeated Migration through the Concept of 'trans')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2 최종저작일 2009.12
35P 미리보기
트랜스(trans) 개념을 통한 저소득층 십대 이주 여성의 반복적 이주에 관한 연구: 몽골 이주노동자 자녀들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여성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여성학 / 25권 / 4호 / 5 ~ 39페이지
    · 저자명 : 민가영

    초록

    본 연구는 2회 이상 이주를 하는 이주자들의 삶에서 '이주'를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에서 시작되었다. 이는 구체적으로 한국에 이주 노동자인 부모를 따라 이주한 뒤 반복적 이주를 경험하고 있는 이들 자녀의 삶에 대한 고민에서 시작되었다. 이주 노동자 자녀의 이주는 이민, 정착, 통합, 본국과 유입국 간의 관계 등 기존의 이주를 설명하는 개념으로는 다 포착되지 않는 특징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이주는 한 개인의 합법성과 일상적 인정이 이루어지는 삶의 소속을 이동시킨다. 이 때 이주를 통해 한 개인으느 합법성과 일상적 인정이 이루어지는 다양하고 불일치적인 권력관계의 동시적 호명에 놓이게 된다. 이러한 위치는 각 권력의 호명에 동의가 성립되기 어려운 주체의 위치를 발생시키게 됨을 의미하고 이러한 불일치적 관계는 주체가 다른 식으로 전환될 수 있는 장이 발생함을 의미한다. 그렇다면 이주의 문제는 단순히 유입국에서의차별과 배제, 혹은 이주자들의 행위성을 매개로 한 유입국과 이주국 사이의 상호작용을 넘어선 문제가 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 속에서 이주를 횡단으르 통한 주체의 전환의 문제로 접근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합법성과 일상적 인정간의 불일치가 연속적으로 발생함으로써 개인이 권력관계의 호명에서 어떻게 계속 어극나고 밀려나게 되며 발생하는 틈에서 개인이 어떠한 전환을 형성하게 되는지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이들은 미등록의 지위로 한국에서 살아가지만 미등록의 지위로 다 포섭되지 않는 학생/소비자의 자격으로 한국의 일상에 진입하면서 합법성과 일상적 인정간의 불일치 속에 놓이게 된다. 학업을 계속하기 위해 몽골로 돌아간 이들은 한국에서의 미등록 경험으로 인해 국민으로서의 합법적 위치를 강하게 체험하게 된다. 그러나 동시에 한국에서 익숙해진 문화와 환경 때문에 합법적 이방인의 위치로 밀려나게 된다. 이러한 불일치 속에서 이들에게 국가의 의미는 삶의 편리성을 가능하게 해주는 등록증으로서의 국적으로 부분화, 축소된다. 이들은 어딜 가든 직면하게 되는 합법성과 일상적 인정간의 불일치 속에서 한계를 경험하지만 동시에 이주를 통해 경험한 이동 가능성, 삶의 편리성으로 부분화된 국가의 의미 안에서 인간다운 삶을 위해 소속을 연기하며 이동을 꿈꾸는 주체가 되어간다 이주를 통해 합법성과 일상적 인정이 이루어지는 다층적 권력관계의 동시적 호명에 놓이게 된 개인은 어떤 권력관계에도 완전히 동의가 성립되지 않는 위치에 놓이게 되면서 합법성과 인정을 부여하는 대가로 동의를 요구하는 제도들에 대해 소속을 연기하는 주체로 전환되고 있다. 이러한 주체의 형성은, 이주가 이주 여성들에게 인종적 차별을 야기한다거나, 송출국과 유입국의 젠더 관계를 변형시키는 것 이상의 차원에서 진행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사실은 추후에 젠더 연구 내에서 이주가 발생시키는 구너력과 주체 사이의 밀려난 관계들이 그리는 연결망과 그 안에서 발생하는 전환에 대한 연구가 계속되어야 할 필요성을 보여준다.

    영어초록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question, “how can we understand repeated migration?” This question was raised from observing children whose parents are illegal migrant workers. These children shows characters which cannot be understood by predominant frame in migration research. Migration moves belonging of life that guarantees one's legitimacy and recognition. Through migration one is situated under competing values of legitimacy and recognition. This position can be a space where power relation cannot work because one is dislocated from it. This means migration is not all both about exclusion and oppression in receiving country and about interaction between sending country and receiving country. This research intends to approach to migration in terms of transformation of subject through ‘trans practice'. This research focused on subjectivity under the condition of discrepancy between legitimacy and recognition in everyday life. They live as a illegal citizen in K foa but also they enter into legal space as a teenage to be protected by society. In addition to their life in Korea, they begin to experience the different kind of discrepancy between legitimacy and recognition as ‘legal alien' because of their long absence in homeland. Through this experience of conflicts the meaning of nation began to be minimized as a means for convenience of life. And this leads them to a subject ready to move another place/country for new kinds of recognition by letting them delaying choosing where to belong and from what to be recognized. This conclusion show a further research is needed for examining transnational subjectivity and power rel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여성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