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 18세기 나한도의 신경향- 상주 남장사 <십육나한도> 연구 - (The Emergence of a New Trend in Arhat Paintings of 18th-Century Joseon: The Sixteen Arhats Painting of the Namjangsa Temple)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2 최종저작일 2015.09
24P 미리보기
조선 18세기 나한도의 신경향- 상주 남장사 &lt;십육나한도&gt; 연구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불교학보 / 72호 / 293 ~ 316페이지
    · 저자명 : 신광희

    초록

    십육나한(十六羅漢)은 석가모니에게서 미륵이 올 때까지 열반에 들지 말고 불법을수호하고 중생을 이롭게 하라는 수기를 받은 열여섯 명의 불제자들이다. 이들의 모습을그린 십육나한도(十六羅漢圖)는 조선후기에 특히 성행하였는데, 상주 남장사(南長寺) <십육나한도>는 초기 작품군인 18세기의 사례 중 하나이다.
    남장사 <십육나한도>는 1790년 남장사 승려들의 발원으로 <지장시왕도>와 함께 제작되어 영산전에 봉안되었으며 서울 ․ 경기에 주 근거지를 둔 화사 상겸(尙謙)과 경상권의 화사 영수(影修) 등이 함께 제작하였다. 이 그림은 18세기 다른 작품들이 대부분 명대(明代) 화보의 도상을 차용한 것과 달리, 17세기에서 18세기 전반까지 조선에서 활발히 제작된 십육나한 조각상의 도상과 당시 궁정에서 유행하기 시작한 책거리 도상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그려졌다. 또한 수화사의 이력을 지닌 영수와 상겸이 함께 그림을 그리는 과정에서 역할을 나누었는데, 도상은 상겸이 주도한 것으로 보이며 채색은 각기 화폭을 나누어 맡았다. 상겸은 당시 중앙인 서울 ․ 경기에서 화업을 시작하였고 왕실불사에 동원되기도 했으며 충남 예산과 경북 상주지역에까지 초빙되어 불화를 그릴 정도로기량이 뛰어났고 <십육나한도>를 그리기 2년 전인 1788년에는 남장사 <괘불화>를 주관하기도 했다. 그러한 인연으로 남장사 <십육나한도> 제작에 참여한 것으로 보이며 작업 과정에서 본인의 개성을 도상과 화풍 전반에 적극적으로 반영하였다. 영수 역시 그가주도한 화폭에서 본인의 개성을 잘 드러냈으며 <십육나한도>와 함께 그려진 <지장시왕도>를 맡아 그렸다.
    남장사 <십육나한도>는 새로운 도상을 적극적으로 모색하였고 한 작품에서 두 가지화풍을 확인할 수 있으며 조선후기 수화사들의 협업 과정에서 역할 분화의 일면을 파악할 수 있는 사례로 그 가치가 매우 크다.

    영어초록

    The sixteen Arhats were disciples of Shakyamuni Buddha, and were instructed to preserve his teachings, and to perform good deeds for Sentient beings until the advent of the Maitreya Buddha. The Sixteen Arhat painting of Namjangsa Temple at Sangju in Gyeongsangbuk-do province was created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This painting was completed in 1790, along with the Painting of Ksitigarbha Bodhisattva, and the Ten Underworld Kings, by the monk-painter Sanggyeom (尙謙), active in Seoul and its vicinity around this time, and by Yeongsu (永修), another monk-painter based in Gyeongsang Province. It was commissioned as per the wishes of the monks of Namjangsa Temple, and was enshrined there in the Yeongsanjeon Hall.
    This painting differed from its counterparts produced in Joseon in the 18th century that drew on the foundation of images prevalent during the Ming Dynasty of China. This painting was based on the iconography of the sixteen Arhats sculptures that were produced in large numbers, between the 17th and early 18th centuries. These images were noted in bookshelf-related paintings that were in vogue at the Royal Court at that time.
    Sanggyeom and Yeongsu had separate roles in creating this painting. Both had served as head monk-painters. It is thought that the iconography was drawn by Sanggyeom, while both artists shared responsibilities in the coloring.
    Sanggyeom had previously worked on Buddhist paintings in Seoul and its vicinity, and had once been invited to take part in creating Buddhist paintings for the Royal Court. He was also invited to assist with Buddhist paintings in Yesan of the Chungnam province, and Sangju of the Gyeongbuk province, owing to his superb skill as an artist. He played a leading role in the production of the Guebulhwa, a large Buddhist painting for outdoor ritual at the Namjangsa Temple, two years before beginning work on the Sixteen Arhats Painting. Thus, it is assumed that his involvement in the former work, led to his invitation to work on the latter. It appears that his unique style was positively employed in the overall image of this painting. Yeongsu's unique style also appears to have been reflected in his contribution to this work, and in the Painting of Ksitigarbha Bodhisattva and the Ten Underworld Kings.
    New images of the Arhats appear to have been actively adopted for this work that displays the unique styles of these two monk-painters. Researchers regard this as a valuable painting that reveals the collaboration between the two head monk-painte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