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안서우 <유원십이곡>의 구조와 작품 세계 (Structure and oeuvres of Ahn Seowoo’s ‘Yuwonshibigok’)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2 최종저작일 2016.11
35P 미리보기
안서우 &lt;유원십이곡&gt;의 구조와 작품 세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시가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시가연구 / 41권 / 133 ~ 167페이지
    · 저자명 : 김용찬

    초록

    이 논문에서는 <유원십이곡>의 작자인 안서우의 생애를 새로 발굴한 자료를 토대로 재구성하고, 연시조의 구조와 작품 세계를 살펴보았다. 조선 후기에 활동했던 안서우는 모두 19수의 시조를 창작한 사대부 작가로, 작품이 수록된 문헌이 분실되어 생애는 물론 작품의 창작 배경에 대해서도 불확실한 채로 남겨져 있었다. 다만 기존에는 부정확한 논의를 근거로 <유원십이곡>이 13수로 구성된 연시조이며, 그 창작 배경이 작자가 만년에 은거했던 전라도 무주라고 논의되었을 뿐이다. 하지만 안서우의 생애와 작품의 전모를 확인할 수 있는 새로운 자료가 나타나면서, <유원십이곡>은 12수로 된 연시조이며 제목에 보이는 ‘유원’도 충청도 제천 지역의 지명이라는 것이 확인되었다.
    안서우는 남인과 서인(노론)의 정치적 대립이 치열하게 전개되던 시기에 중앙 정계에서 활동했으며, 남인 계열에 속했던 인물로 당시의 정치적 상황에 따라 관직 생활에 부침을 겪기도 했다. 안서우는 49세 무렵에 모종의 정치적 사건에 연루되어 충청도 제천의 ‘유원’으로 이사를 가서, 이곳에서 약 3년 동안 가족들과 더불어 생활을 했다. <유원십이곡>을 비롯한 그의 작품들은 대부분 이 당시에 지어진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특히 이 작품은 ‘전6수’와 ‘후6수’로 구성된 12수의 연시조이며, 자연에 은거하는 화자의 자족적인 삶의 면모가 잘 드러나고 있다.
    <유원십이곡>의 ‘전6수’에서는 화자가 강호를 선택하게 된 동기를 제시하고, 그에 대한 구체적인 생활상이 긴밀하게 조응되어 형상화되어 있다. 또한 ‘후6수’에서는 자연을 선택하여 향하기까지의 심적인 갈등을 드러내면서, 화자가 끝내 자연에 정착하게 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것으로 결말을 맺고 있다. 그러나 작품의 면모와는 달리 안서우는 3년 동안의 유원 생활을 청산하고, 다시 관직에 나아가 62세 때에 울산 목사를 끝으로 정계를 떠나게 된다. 아마도 안서우의 관직 생활은 당시의 당쟁과도 관계가 있을 터인데, 만년에 전라도 무주에 은거하면서 끝내 그곳에서 생을 마쳤던 것이다. <유원십이곡>이 자연에 정착하는 과정을 그리고 있기에, 기존의 연구에서는 이 작품을 작자가 무주에 정착한 이후에 창작한 것이라 파악하였다. 하지만 이 작품은 작자가 관직에서 일시적으로 물러난 상태에서 지은 것이기에, 이를 통해 조선 후기 사대부 작가들의 작품 세계의 면모에 대해서 새롭게 논의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영어초록

    The life of Ahn Seowoo, who wrote ‘Yuwonshibigok’, was reconstituted based on a recently found material and the structure and oeuvres of the stanzaic sijos he wrote were investigated. Ahn Seowoo was a Sadaebu noble writer, who created 19 sijos in late Chosun dynasty. His life and the background region of his works were uncertain because the documents containing his works had been lost. It has been presumed without valid grounds that ‘Yuwonshibigok’ is a stanzaic sijo consisting of 13 stanzas and that it was written in Muju, Jeolla Province, where Ahn lived his latter years. As a new material, which can shed light on Ahn’s life and oeuvres, was found recently, however, it was ascertained that ‘Yuwonshibigok’ is a stanzaic sijo consisting of 12 stanzas and that ‘Yuwon’ appearing in the title is the name of a region in Jecheon, Chungcheong Province.
    Ahn worked for national government while the political conflict between Namin Party and Seoin(Noron) Party was severe. Belonging to Namin Party, his official life went through the ups and downs depending on the political conditions. When he was 49, he was involved in a political affair and had to move to ‘Yuwon’ in Jecheon, Chungcheong Province. He lived there for 3 years with his family. It was found that most of his works including ‘Yuwonshibigok’ were created while he stayed in Yuwon. In particular, ‘Yuwonshibigok’, a 12-stanza sijo composed of former 6 stanzas and latter 6 stanzas, demonstrates his self-contained life in nature.
    The former 6 stanzas of ‘Yuwonshibigok’ encapsulates the motive and detailed way of life of his secluded life in close correspondence. The latter 6 stanzas shows the mental conflict he had until he decided to turn to the nature, ending up with his belief in the settlement in nature. Different from the features of ‘Yuwonshibigok’, however, Ahn returned to the government after 3-year secluded life. He finished his official life as the governor of Ulsan when he was 62. The official life of Ahn may have been closely related to the political conflicts of those days. He spent his latter years in Muju, Jeolla Province until he died there. Because ‘Yuwonshibigok’ describes the process to settle in nature, it has been presumed that it was created after Ahn settled in Muju. However, now that it was found to have been written while the author stepped back from government temporarily, ‘Yuwonshibigok’ is expected to lead to new discussion on the consciousness and oeuvres of the Sadaebu noble writers in late Chosun dynas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시가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0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