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국가의 반인권적 불법행위와 소멸시효의 주관적 기산점 ― 부마민주항쟁 관련 하급심 판결을 계기로 ― (A Study on the Subjective Starting Point of the Extinctive Prescription in State Crimes Against Human Rights — Focusing on the Judgment of Lower Court regarding the Bu-Ma Democratic Protests —)

4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2 최종저작일 2020.11
44P 미리보기
국가의 반인권적 불법행위와 소멸시효의 주관적 기산점 ― 부마민주항쟁 관련 하급심 판결을 계기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민주주의법학연구회
    · 수록지 정보 : 민주법학 / 74호 / 75 ~ 118페이지
    · 저자명 : 이보드레

    초록

    이 연구는 과거사 사건 피해자들의 처절한 호소에도 불구하고 역행하고 있는 과거사를 속히 바로잡아야 한다는 고민에서 시작되었다. 지구촌 역사상 국민의 인권을 보호할 의무를 지는 국가는 아이러니하게도 비극적 인권침해 사건에서의 가해자였다. 인류는 인권 없는 역사를 겪어오며, 그 야만적 시간 속에서 역설적으로 인권의 소중함을 발견해 왔는바, 처참하게 인권이 짓밟힌 극단적 과거를 청산하는 일은 우리 모두에게 맡겨진 시대적 소명이자 당위적 과제라 할 수 있다.
    주지하다시피 우리에게는 청산되어야 할 역사적 과제가 산적해 있는데, 필자는 부마민주항쟁 관련 사안을 중심으로 과거사 사건과 소멸시효 문제를 검토해 보았다. 다행스럽게도 최근 헌법재판소는 2018. 8. 30. 2014헌바148 등(병합) 결정을 내림으로써 국가의 시효완성 항변에 대한 ‘합리적 기산점 설정에 의한 보호’의 새 지평을 열었다 할 수 있다. 헌법재판소가 지적한 바와 같이, 과거사 사건과 소멸시효 문제의 민사적 해결에 있어서는 근본적으로 과거사 사건의 특수성에 대한 이해가 전제되어야 하며, 헌법재판소가 우회적으로 비판한 민법 제166조 제1항에 대한 법원 해석의 위헌성을 제거한 주관적 기산점 판단이 요청된다고 할 수 있다.
    이에 이 글에서는 국가의 반인권적 불법행위를 원인으로 하는 경우 소멸시효의 주관적 기산점인 민법 제766조 제1항 ‘손해 및 가해자를 안 날’의 의미를 파악해 보았고, 과거사 사건에 대하여는 민법 제166조 제1항 ‘권리를 행사할 수 있는 때’에 관한 이른바 법률상 장애론에 의한 규율이 부적절하며, 권리행사에 있어 사실상 장애사유는 판례의 소멸시효남용론에 포섭할 것이 아니라 기산점 판단의 척도로서 고려해야 한다고 보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대상판결 A~C] 원고들이 국가에 대하여 가지는 손해배상청구권의 기산점은 ‘부마민주항쟁 관련자의 명예회복 및 보상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부마민주항쟁 관련자로 인정받고 이를 알게 된 날’로 설정하여야 한다고 설명하고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s past human rights violation cases and extinctive prescription issues, focusing on the litigation cases related to the Bu-Ma Democraitc Protests. With the recent Constitutional Court decision of 2014Hun-Ba148, it has become an important issue to ‘protect by setting a reasonable starting point’ against the nation’s plea of the prescription completion. As pointed out in the decision, to deal with civil settlement of past human rights violation cases and extinctive prescription issues, it is essential to understand the specificity of past events as a precondition. Judgment on the subjective starting point without unconstitutionality of the court interpretation on Article 166 (1) of the Civil Code, which indirectly criticized by the Constitutional Court, is also asked to make a case. Thus,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meaning of ‘the date of becoming aware of the damages and the identity of the person(s) liable for the damages’ of Article 766 (1) of the Civil Code, which is the subjective starting point of the extinctive prescription in state crimes against human rights. On the issues related to past history events, it is inappropriate to apply the legal obstacle principle to ‘the time when the rights can be exercised’ of Article 166 (1) of the Civil Code. The existence of factual obstacles in the exercise of rights should be considered as an element of judgment on the subjective starting point, not to interpret in the logic of Abuse Theory of Extinctive Prescription as done in the judicial precedents. Therefore, in the judgment A, B, and C under review of this article, the starting point of the plaintiffs’ right to claim damages should have been ‘the date they became aware of the fact that they were recognized as a related persons’ pursuant to the ‘Act on the Honor Restoration of And Compensation to Persons Related to Bu-Ma Democratic Protes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4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