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코칭행동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긍정심리자본과 직무열의의 다중매개 효과 (The Impact of Leaders’ Coaching Behaviors on Innovation Behavior: The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Job Engagement)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2 최종저작일 2024.07
29P 미리보기
코칭행동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긍정심리자본과 직무열의의 다중매개 효과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경영학회
    · 수록지 정보 : 대한경영학회지 / 37권 / 7호 / 1103 ~ 1131페이지
    · 저자명 : 최현정, 박종우

    초록

    4차 산업기술의 급변과 글로벌 경기 불안, 기술변화 가속화로 위협하는 환경에서 생존 및 경쟁력 확보에 절실하고기업은 변화와 혁신이 필요하다. 이런 환경에 기업은 조직 구성원들의 창의성이 요구됨에 따라 혁신행동 발현에 영향을줄 수 있는 코칭행동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박현주・오상진, 2019). 이를 위해 조직 구성원들이 자발적으로 혁신의필요성을 인식하고 자신의 업무를 혁신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심리적 동기부여 요인과 리더의 역할이 무엇보다중요해지고 있다. 코칭행동과 혁신행동 간에 구성원들의 심리적 동기부여 요인을 통한 매개효과의 검증이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 인식에서 본 연구는 리더의 코칭행동과 조직구성원의 혁신행동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개인의 내재적동기 차원의 긍정심리자본과 직무열의의 변인을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2023년 11월부터 12월까지2개월에 걸쳐 국내 기업 재직자 남, 여 356명을 대상으로 웹 기반 온라인 설문시스템으로 실시하였으며, 답변이불성실하거나 요인분석을 위한 정제 과정을 통해 총 318건의 유효한 설문지를 추출하였다. 리더의 코칭행동과 혁신행동간에 상관관계를 탐색하고 긍정심리자본과 직무열의가 그 사이에서 매개하는지를 파악하고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기존의 문헌을 확장하여 코칭행동의 측정이 혁신을 촉진하는 기업의 리더들에게 실질적인 시사점을제공한다.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리더의 코칭행동은 재직자의 혁신행동, 긍정심리자본, 직무열의에 정적인 영향을검증하였다. 둘째 리더의 코칭행동이 재직자의 혁신행동 간의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결과를 검증하였다. 셋째 리더의 코칭행동이 혁신행동 간의 사이를 재직자 직무열의의 매개효과에 긍정의 영향을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재직자의 긍정심리자본이 직무열의와 혁신행동에 긍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나타났다.
    코칭 관련 연구는 학습 및 스포츠 분야에서 다수의 학문적 탐구가 이루고 있어 상대적으로 연구가 부족한 직장인을대상 연구라는 점에서 차별할 수 있고 학문적 시사하는 바가 있으며, 실무적 차원으로는 리더의 코칭행동은 기업의지속 가능한 경쟁우위를 추구하는 재직자의 혁신행동을 위해서는 리더의 코칭행동의 개발이 필요하다는 중요한시사점을 제공한다.

    영어초록

    In the environment threatened by rapid changes in 4th industrial technology, global economic instability, and the acceleration of technological change, companies need to be changed and innovated to survive and secure competitiveness. In this environment, companies require creativity from the members of the organization, so the need for coaching behavior that can influence the expression of innovative behavior is emerging (Hyunjoo Park・Sangjin Oh, 2019). To this end, psychological motivation factors and the roles of a leader are becoming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else to allow the members of the organization to recognize the need for innovation voluntarily and perform their tasks innovatively. It is necessary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between coaching behavior and innovative behavior through the factors motivating the members psychologically. In recognizing this problem, this study attempted to find ou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leader’s coaching behavior and organizational members’ innovative behavior and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 of the variable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job engagement in the dimension of individuals’ intrinsic motiva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a web-based online questionnaire system targeting 356 males and females who were serving in domestic companies over a two-month period from November to December, 2023, and total 318 valid questionnaires were extracted through a process of refining unfaithful answers for factor analysis. It was intended to explor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leader’s coaching behavior and innovative behavior and identify and examine whether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job engagement mediate the correlation.
    This study expands the existing literature to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for corporate leaders that promote innovation by measuring coaching behavior. To summarize the results, first, the leader’s coaching behavior was verified to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employees’ innovative behavior,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job engagement. Second, the result that the leader’s coaching behavior had positive effects on the mediating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mong the employees’ innovative behaviors was verified.
    Third, it was found that the leader’s coaching behavior had positive effects on the mediating effect of the employees’ job engagement among innovative behaviors. Fourth, it was confirmed that the employee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had positive effects on job engagement and innovative behavior.
    Concerning coaching-related research, most of the academic exploration is conducted in the fields of learning and sports, so this study can be distinguished and has academic implications in that it deals with office workers who are relatively less surveyed. At the practical level, regarding the leader’s coaching behavior, this study provides crucial implications that the development of the leader’s coaching behavior is necessary for the innovative behavior of the employees seeking a sustainable competitive advantage of the compan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1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