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우정(友情)’이라는 심리전: 1960년대 한국에서의 펜팔 운동에 관한 연구 (Psychological Warfare in the Name of Friendship: A Study on the Pen Pal Campaign of South Korea in the 1960s)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1 최종저작일 2017.12
30P 미리보기
‘우정(友情)’이라는 심리전: 1960년대 한국에서의 펜팔 운동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동방학지 / 181호 / 193 ~ 222페이지
    · 저자명 : 정승화

    초록

    본 연구는 1960년대 한국에서 전개된 펜팔 운동이 각국 국민들의 사적 친밀성의 형성을 통해 냉전체제의 안보를 공고히 하려는 관심에서 추진된 캠페인이었다는 점에 주목하고 문화적 냉전의 맥락에서 펜팔 운동을 조명하고자 한다.
    냉전 체제 하 미국은 자유진영의 수호자로서의 새로운 미국 정체성을 형성하고 미국적 가치와 미국적 생활 방식, 미국식 민주주의를 새로운 국제주의 시민성으로 구성해내면서 냉전 체제의 집단 안보를 구축하려는 문화정치적 기획을 추진하였다. 1960년 아이젠하워 대통령의 한국 방문과 미국 친선우편배달부의 방문을 계기로 한국에서도 정부가 후원하는 펜팔 운동이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1962년에는 국제친선우편배달부를 세계 각국에 파견하여 30만 통의 펜팔 편지를 전달하는 프로젝트를 추진하기도 하였다. 펜팔을 통한 ‘국제 친선’과 민간 교류의 활성화는 냉전 시기 미국의 대외정책의 기조로 강조되었던 활동이었고 미국 대통령들이 직접 펜팔에 참여할 정도로 관심을 가지고 추진한 활동이었다. 1960년대 한국에서 전개된 펜팔 운동은 미국의 냉전 문화정치학에 공명하면서 추진된 운동이었다.
    펜팔은 5․16 쿠데타 이후 발전된 한국을 세계에 홍보하는 공보 활동의 한 수단으로 간주되었고 펜팔 편지쓰기는 민간외교관이라는 자부심을 심어주면서 민족주의적 주체성을 내면화하는 기제로 활용되었다.
    펜팔을 통해 형성된 우정과 결연 관계를 통해 형성된 친밀한 감정이 국가 간의 관계에서의 우호 증진에도 도움이 된다는 인식은 한국과 미국 양국의 정부가 공유한 외교적, 심리적 전략이었다. 펜팔 운동이 강조한 ‘민간 외교’ ‘국제 친선’ ‘자유진영의 연대’는 주권국가 간의 평등하고 우호적인 국제 관계를 상상하게 하였다. 이는 중심의 미국과 아시아 주변국이라는 불균등한 관계에서 비롯된 긴장과 불만, 민족주의적 비판을 ‘우정’이 환기하는 평등의 감각을 통해 해소하려는 ‘우정의 심리전’ 프로젝트였다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research sheds light on a pen pal campaign launched in the cultural context of the Cold War. It focuses on the 1960s South Korean pen pal campaign, which was sparked by attempts to reinforce the security of the Cold War system through the formation of private intimacy between citizens of different countries.
    Under the Cold War system, the US established a new American identity as guardians of the Free World and constructed a new international citizenship inspired by the American values and lifestyle and by an Americanized democracy. This served its cultural political agenda to build communal security in the Cold War system.
    The pen pal campaign launched in South Korea in the 1960s resonated with the cultural politics of the Cold War in the US. The pen pal initiative was established as an information activity and was exploited to help citizens internalize their nationalistic subjectivity by giving them a sense of pride as civic ambassadors.
    The solidarity of the Free World through “non-governmental diplomacy” and “international friendly relations”, which was emphasized by the pen pal campaign, created the illusion of equal and friendly international relations between sovereign states. The pen pal campaign can be summarized as “psychological warfare in the name of friendship” designed to resolve tensions and dissatisfactions, and to tame the nationalistic critics in the central US and peripheral South Korea through the sense of equality evoked by “friendship.”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방학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0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