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방송의 자유와 중대 보도의 공정성 긴급심의 제도 연구 (The Study on Broadcast Freedom and Urgent Review System about Fairness of Important News)

4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1 최종저작일 2014.09
45P 미리보기
방송의 자유와 중대 보도의 공정성 긴급심의 제도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전북대학교 부설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법학연구 / 42권 / 221 ~ 265페이지
    · 저자명 : 이춘구

    초록

    우리는 2014년 6월 일제 식민지배가 신의 뜻이라는 방송보도의 영향 등으로 총리 후보자가 헌정사상 처음으로 자진사퇴하는 사태를 겪었다. 총리 후보자가 지명 보름 만에 방송보도 등의 진실을 가리지 못한 채 낙마하고 만 것이다. 이에 대해서는 보도가 공정했다는 주장과 공정성을 잃었다는 주장이 맞서고 있다. 이 사태는 보도의 공정성과 객관성을 비롯해 공영방송의 책무, 민주적 여론형성 등 방송법적으로 여러 가지 문제를 제기했다.
    방송의 자유는 방송이 자유민주주의의 기초이자 자치의 원천이라는 점 등에서 절대적으로 보장돼야 한다. 방송의 자유는 방송에게 주어진 공적 책무를 이행하면서 공정성과중립성, 객관성을 지키면서 행사돼야 하는 한계가 있다. 우리의 방송심의제도는 기본적으로 공정성 기준의 모호성, 사전검열 여부 등 여러 면에서 위헌성 시비가 일고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이 같은 문제의식 속에서 방송법 선진국 사례를 기초로 방송의 자유와취재.보도의 법적 성격을 규명하고, 입법적 개혁방안을 찾고자 한다.
    공정성 심의와 관련해 개념과 기준을 명확히 하고 위헌성 시비를 없애는 방안을 모색하려고 했다. 지금 체제에서는 유럽처럼 공정성 원칙을 견지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자유민주주의가 정착하고 성숙하면 당연한 원리로서 공정성 원칙이 이행될 것이며, 결국방송심의에서 사라지기를 바란다. 또한 방송사들이 자율적인 심의기능을 강화해서 중대한 보도의 공정성 시비가 일 때에는 신속히 심의하고 그 결과에 따라 시비를 불식시킬필요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중대한 보도의 공정성에 대한 긴급심의제도 도입을 촉구하기 위해 방송내용의 공정성과 심의절차의 정당성 등을 살펴보았다. 긴급심의는 방송사와 심의위원회가 자신들의 판단에 따라 현행 제도하에서도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에 대한 시비를 줄이고 기준을 명확히 하기 위해서 미국의 제도와 우리의 선거법 제도 등을원용해서 그 대안을 제시했다.
    결국 방송보도가 공정하게 이뤄짐으로써 국민이 올바른 정보를 제대로 제공받고, 민주적으로 여론이 형성되고 자유민주주의의 헌정질서가 정상적으로 기능을 하기를 바란다. 사상의 자유시장이 구체화된 공적 토론장으로서 방송은 국민 모두가 진리에 도달할수 있도록 접근권을 제공해야 한다. 입법자는 방송심의를 통해 오류를 줄이고 진리에 도달할 수 있도록 제도를 정비해야 한다.

    영어초록

    Prime Minister-designate Moon Changkeuk withdrew his nomination on 24th Junein 2014 amid mounting criticism over past controversial remarks. Moon’s withdrawalcame two weeks after he was nominated for the nation’s highest unelected officialpost. Moon was under fire over controversial remarks he made on the 1910-45 Japaneserule of the Korean Peninsula. In a speech delivered at a church in 2011, Moon saidJapan’s 1910-45 colonial rule of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division of the countrywas God’s will.
    After KBS broadcasted that Moon idealized Japanese occupation on 11th June, thereoccurred conflicts between supporters and opponents. It raised many problems onthe fairness and the objectivity of news, the accountability of public service broadcast,democratic formation of public opinions. Of course we should keep the freedom ofbroadcast which is the cornerstone of liberal democracy and the origins of self-rule.
    But it has limitations that broadcasters must do their’s public accountability and thatthey must keep fairness and neutrality, objectivity etc..
    Korean program review system has many problems and has stirred the constitutionality.
    Because it has many aspects of abridging the freedom of broadcast, I have tried manylegislative reformative solutions. I have studied cases of developed countries includingU.S.A. and England, Germany and so on. In this study the nature of the freedomof broadcast and news gathering and reporting have been scrutinized deeply. EspeciallyI have concluded that the nature of news gathering and reporting is administrativeaction.
    I have urged to clarify the concept and standard of fairness to legislators and Ihave tried to criticize unconstitutionality of program review system. We are able to conclude that program review system will disappear if liberal democracy will be rooteddeeply. I suggest that self review is the best way to remove the conflicts on reportsand news. And I emphasize that we shall have urgent program review system whichwill solve the conflicts of news fairness.
    At last I hope that broadcasters should broadcast news and programs fairly andthat people should be well informed and discuss all public affairs, be able to strengthenliberal democracy. We should give the access rights to broadcasters to people whowant to express in the marketplace of ideas i.e. broadcast media. Legislators shouldarrange the institutions of program review to lessen fallacy and to attain the trut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0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