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동해안 서사무가의 음악신화학-심청무가를 중심으로 (Music Mythology of Epic Shaman Song in Eastern Coastal Shaman Community- Focusing of Simcheong Epic Song)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1 최종저작일 2022.02
25P 미리보기
동해안 서사무가의 음악신화학-심청무가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연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공연문화연구 / 44호 / 183 ~ 207페이지
    · 저자명 : 이용식

    초록

    서사무가는 무교공동체(shaman community)에 전승되는 신화이다. 신화를 노래하는 서사무가의 실체는 음악적 사실 속에 내재되어 있고, 자신의 고유한 질서를 갖는 내재성의 원칙이 존재한다. 신화를 노래하는 무당, 이를 반주하는 악사, 이를 듣는 관객은 모두 이 내재성의 원칙을 통해 신화의 상징을 전달하고 이해하는 상호소통이 이루어진다. 심청무가의 가장 중요한 요인은 신을 노래하는 스토리(story)이고, 무당의 충실한 스토리텔링(story-telling)과 관객의 집중된 스토리리스닝(story-listening)이 중요하다. 동해안 심청무가는 20세기 전반기에 판소리 <심청가>를 동해안 무교공동체에서 비교적 최근에 받아들여 형성된 것이다. 심청무가의 형성과정과 음악적 특징을 통해 신화를 노래하는 무교공동체의 음악신화에 대한 인식과 신화가 갖는 음악적 내재성의 원칙을 알 수 있다.
    심청무가는 장구와 징으로만 반주하면서 음악적 간섭을 극소화 한다. 심청무가는 제마수2장에 얹어 노래한다. 제마수2장은 조금 느린 2소박 6박 장단으로, 중모리장단의 원형이라 할 수 있는 엇중모리 또는 평타령 장단과 같은 리듬구조이다. 이 템포의 리듬구조는 스토리를 효과적으로 노래하기에 매우 적합하다. 평타령장단은 20세기 전반기까지 판소리 등에서 쓰였다. 이 시기에 형성된 심청무가는 평타령장단과 같은 2소박 6박 장단으로 불렀고, 이 장단을 동해안 무교공동체에서는 이와 리듬구조가 같은 제마수2장으로 인식했을 것이다. 심청무가는 메나리토리로 부르는데, 온섬 메나리토리로 시작하여 음악이 진행되면서 점차 반섬 메나리토리 위주로 부른다. 심청무가의 반주악기, 가창방식, 장단 등의 음악요소는 스토리텔링을 중시하는 심청무가에서 음악요소를 덜어서 음악적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한 장치이다. 신화음악은 음악의 연행성을 중요시하는 서정음악과는 다르게 스토리의 신성성을 강조하기 위하여 음악의 연행성을 극소화한 것이다.

    영어초록

    Epic shaman song is the myth transmitted in the shaman community. The essence of the epic song is inherited in the musical truth, and there is a inherited principle which shapes its own nature. The shaman who sings the epic, the musician who accompaines the epic song, and the audience who listens to the epic story understand the deep meaning of the epic though the inherited principle and communicate each other through the song. The mos important element in the Simcheong epic song in the eastern coastal shaman community is the story itself. The story-telling by the shaman and the story-listening of the audience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the epic song. The Simcheong epic song is made up in the early 20th century based on a pansori (epic vocal genre) repertory, Song of Simcheong in the eastern coastal shaman community. We can discover the music principle of the epic song and the perception of the musical epic in the shaman community through the history of the formation of the song and the musical characteristics.
    Simcheong epic song is accompanied by janggu (hourglass drum) and jing (large gong) to minimize the musical expression. It is sung on the Jemasu-2jang rhythmic cycle which is a slow six-beat rhythm. The rhythmic structure of the cycle is same as eotjungmori of pyeontaryeong rhythmic cycle which later developed to jungmori rhythmic cycle. The tempo of the rhythm is suitable to sing the story effectively. The rhythmic cycle of pyeongtaryeong was used in pansori epic music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Simcheong epic song which was established at that time was sung on six-beat rhythm which was recognized as Jemasu-2jang rhythm which has the same rhythmic structure among the shaman community on eastern coast. Simcheong epic song is sung in menari tori which is the musical idiom of the region. The music begins with the whole menari tori and progresses to the half menari tori. The musical traits of the accompanying musical instruments, singing method, rhythmic cycle for Simcheong epic song are the musical elements to minimize musical embellishments and to maximize the delivery of effective story-telling. In short, the epic song minimizes the musical traits to enhance the sacredness of the story unlike the lyric music whose importance is lied on the musical performativ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공연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0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2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