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학력 지식인 탈북자가 경험하는 심리사회적 현상 (The Psychosocial Phenomenon Experienced by Highly Educated Intellectual North Korean Defectors)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1 최종저작일 2017.08
22P 미리보기
고학력 지식인 탈북자가 경험하는 심리사회적 현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상담학회
    · 수록지 정보 : 상담학연구 / 18권 / 4호 / 103 ~ 124페이지
    · 저자명 : 임희경, 한재희

    초록

    본 연구는 고학력 지식인 탈북자가 경험하는 심리사회적 현상의 본질과 의미를 심층적으로 이해하려는 목적에서 출발했다. 본 연구에 동의한 7명의 참여자들은 북한에서 4년제 대학을 졸업하거나 혹은 그 이상의 교육을 받은 후 북한의 전문 분야에서 경력을 갖춘 자들로 한국에 입국한 이후부터 현재까지 다양한 영역에서 전문가로 활동하고 있다. 2차에 거쳐 진행된 심층인터뷰를 통하여 수집된 자료는 현상학적 질적 연구방법으로 분석했으며, 연구결과는 <고학력 지식인의 탈북동기>, <고학력 지식인 탈북자의 심리사회적 특성>, <고학력 지식인 탈북자의 남북한 사회 경험의 심리적 통합>으로 구분하여 제시했다. 첫째, 본 연구 참여자들의 탈북 동기는 지배이념과 현실 간의 갈등 경험, 생존을 위한 탈북선택으로 드러났다. 둘째, 참여자들이 한국사회에서 경험한 심리적 현상은 망명 후 불확실한 환경에 대한 불안감, 사회활동을 통한 죄책감 방어, 전문영역에서 경험한 사회적 배제, 사회적 관계에서 경험한 소외감, 분단국가라는 환경으로 인한 불안정감, 이상적 세계 추구에 대한 자기한계, 자기 수용을 통한 환경의 수용, 지식의 실천을 통해 확인한 존재감으로 나타났다. 셋째, 참여자들의 남북한 사회 경험의 심리적 통합은 민주적 환경에서 확립한 정체성, 개인적 이익을 초월한 통일의 꿈, 남북통합의 교량 역할 소망으로 나타났다. 그동안 한국사회에서는 북한의 특권계층에 대한 사회적 편견과 제한된 정보로 인해 이들의 삶의 경험과 그 안에 담겨져 있는 이야기는 잘 알려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참여자들이 소속된 사회적 맥락 안에서 이들이 경험한 심리적 현상과 사회구조적 특징, 그리고 이 둘 간의 상호연관성을 이해하고 드러냄으로써 탈북동기와 탈북계층의 차이, 탈북자들의 개별 특성에 대한 깊은 이해를 필요로 하는 상담분야 및 심리사회적 지원과 관련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rooted in the purpose of gaining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meaning and significance of the psychosocial phenomena experienced by highly educated North Korean defectors. The seven participants who agreed to this study have been experts in various fields since entering Korea after having graduated from a four-year university or further education in North Korea. In two rounds of in-depth interviews and the accumula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method.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ere categorized into ‘motivation of defectors of highly educated intellectuals’,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of highly educated intellectual defectors’ and the ‘psychological integration of highly educated intellectuals defectors of North and South Korean society experience. Firstly, First, the participants’ motivation to escape was revealed by the experience of conflict between the ruling ideology and reality, and the choice of defection for survival. Secondly, the psychological phenomena experienced by the participants in the Korean society include anxiety about the uncertain environment after asylum, shielding from guilt through social activities, social exclusion in their respective specialized fields, alienation in social settings, instability from the unique environment of a divided nation, recognizing their limitations while pursuing the ideal society, acceptance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hrough self-acceptance, and self-verification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knowledge. Thirdly, the psychological integration of participants’ experiences in the two Koreas was revealed by the identity established in a democratic environment, the dream of unification beyond individual gains, and the wish of bridge role of inter - Korean integration. In the meantime, due to social prejudice and limited information, the stories and experiences of North Korean privileged have not been well known into South Korean society. This study is meaningful intending to provide the basic data related to counseling area and psychosocial support which need a deep understanding of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North Korean refugees, the differences in the motives of defection and the social status of defectors by understanding and revealing the psychological phenomena, the so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that the participants experienced in the social context and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both of the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담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0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