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반적 평등원칙의 심사구조와 심사강도 (Prüfungsstruktur und Prüfungsintensität des allgemeinen Gleichheitsgrundsatzes)

5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1 최종저작일 2013.05
51P 미리보기
일반적 평등원칙의 심사구조와 심사강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비교공법학회
    · 수록지 정보 : 공법학연구 / 14권 / 2호 / 175 ~ 225페이지
    · 저자명 : 김해원

    초록

    객관적 헌법원칙으로서 헌법상 평등은 비교적‧상대적 관점에서 국가행위의 헌법적합성여부를 따져 묻는 (정당성)심사기준으로 원용되는 바, 평등심사라고 하면 구체적 비교상황에서 ‘문제된 특정 국가행위가 비교대상들 상호 간의 같은 점은 (그 특성에 따라) 같게, 다른 점은 (그 특성에 따라) 다르게 취급하고 있는지 여부’를 면밀하게 따져서 해당 국가행위의 헌법적합성 여부를 검토하는 활동이라고 말할 수 있다. 본 글은 이러한 활동이 행해지는 구조(평등심사구조)와 심사대상인 국가행위에 대한 통제강도(평등심사강도)를 동등대우의 근거이자 차등대우의 근거인 평등의 내재적 모순에 주목해서 살펴보고 있다. 주요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본격적인 평등심사가 진행되기 위해서는 평등심사의 선결조건으로서 비교적상의 현존이 확인되어야 한다.
    2. 심사대상인 국가행위에 주목한다면, 본격적인 평등심사는 다음 두 단계로 행해진다: (1) ‘국가의 비교기준 선택행위’에 대한 심사(평등심사 제1단계), (2) ‘선택된 비교기준에 의거한 구체적 국가행위’에 대한 심사(평등심사 제2단계).
    3. 국가가 선택한 비교기준(비교대상들 간의 공통점 혹은 상이점)에 대한 헌법적합성여부가 검토되는 평등심사 제1단계는 평등심사의 선결조건으로 등장한(혹은 제안된) 구체적인 비교적상, 그 자체에 대한 헌법적 평가라는 의미를 갖고 있다.
    4. 평등심사 제2단계에서는 비교대상들 상호관계 속에 포착된 공통점(K2)과 상이점(K1) 사이에서 심사대상인 국가행위(E)의 헌법적합성여부가 검토된다는 점에서, 2개의 목적항(K2, K1)과 1개의 수단항(E)이 이루는 3개의 관계에서 활용되는 논증도구인 비례성원칙에 따라 심사가 진행되어야 한다.
    5. 통상의 기본권심사에서 일반적으로 활용되는 비례성원칙은 충돌하는 가치(이익)인 ‘공익’과 ‘사익(기본권)’이라는 상호관계 속에 놓여있는 국가행위의 헌법적합성여부를 심사하는 논증도구라면, 평등심사에서의 비례성원칙은 비교대상들 상호관계 속에 포착된 ‘공통점’과 ‘상이점’이라는 대립된 특성 가운에 놓여있는 국가행위(동등대우‧차등대우)를 심사하는 논증도구라는 점에서 일정한 차이를 갖는다.
    6. 평등심사에서 심사대상인 국가행위를 상대적으로 강하게 통제(엄격심사)할 것인지, 혹은 상대적으로 약하게 통제(완화된 심사)할 것인지에 관한 기준(평등심사강도결정기준) 그 자체는 국가행위의 평등위반여부에 관한 종국적 결론을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심사대상인 국가행위를 어떠한 정도로(즉, 얼마나 강하게 혹은 얼마나 약하게) 통제할 것인지에 관한 심사자(특히, 헌법재판관)의 태도에 관여함으로써 심사자의 자의성을 통제하고 심사결과의 납득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실질적 논거를 마련한다는 의미를 갖는 바, 평등심사강도와 관련해서는 구체적 사안의 다양한 층위를 고려할 수 있는 계층화‧단계화된 복수의 기준이 마련되어야 한다.
    7. 평등심사강도를 지도할 수 있는 일반적인 규준 내지는 논거는 논증의 형식적 차원과 논증의 질적 차원에서 다음과 같이 각각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1) 논증의 형식적 차원: 평등심사 제1단계에 비해서는 평등심사 제2단계에서 심사대상인 국가행위가 보다 엄격하게 통제되며, 비례성원칙이 활용되는 평등심사 제2단계에서는 적합성심사에 비해서는 필요성심사에서, 필요성심사에 비해서는 균형성심사에서 심사대상인 국가행위가 상대적으로 보다 더 엄격하게 통제된다. (2) 논증의 질적 차원: 평등심사 제1단계에서의 심사는 실제적으로 표출되어 드러난 국가행위에 대한 심사라기보다는 국가의도에 대한 심사라는 측면이 강하다는 점에서 평등심사 제2단계에서의 심사에 비해서 그 심사강도가 완화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비교대상들 상호관계 속에 포착된 특성(공통점 혹은 상이점)’과 그러한 특성들에 관계하는 ‘국가행위’에 따라서 심사강도가 결정되는 평등심사 제2단계에서는 특히 비교대상들이 갖고 있는 특성과 관련해서는 ‘기본권주체의 노력을 통한 변화가능성’이란 표지에, 국가행위와 관련해서는 ‘기여(혹은 훼손)의 정도’란 표지에 주목해서 제안된 심사강도결정기준이 주목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In der vorliegenden Untersuchung diskutiert der Verfasser über Prüfungsstruktur und Prüfungsintensität des allgemeinen Gleichheitsgrundsatzes, während er sein Hauptaugenmerk auf die Formel des Gleichheitssatzes, d.h. Gleiches ist gleich, Ungleiches is ungleich zu behandeln, richtet. Disbezüglich sind seine Ansichten folgendermaßen:1. Bestätigung der Vergleichslage ist die Voraussetzung der Gleichheitsprüfung.
    2. In der Gleichheitsprüfung bleibt Gleichheitsprüfungsstruktur also bei der Zwei-Schritt-Prüfung. (1) Erster Schritt: Die Prüfung auf Auswahl des Vergleichskriteriums, (2) Zweiter Schritt: Die Prüfung auf der konkreten staatlichen Behandlung, die infolge des Vergleichskriteriums bewirkt wird.
    3. Erste Schrittsprüfung hat die Bedeutung, die Prüfung auf Vergleichslage an sich ist.
    4. In der zweiten Schrittsprüfung wird Verhältnismäßigkeitsgrundsatz als Argumentationsmittel befolgt.
    5. In der Gleichheitsprüfung ist der Verhältnismäßigkeitsgrundsatz ein Argumentationsmittel für die verfassungsrechtliche Rechtfertigungsprüfung des staatlichen Eingriffes zwischen Ungleicheseigenschaft und Gleicheseigenschaft der Vergleichsgruppen.
    6. Bei den Anforderungen an die verfassungsrechtlcihe Rechtfertigung von Ungleichbehandlung oder Gleichbehandlung differenziert der Verfasser nach der Intensität, mit der eine Ungleichbehandlung oder Gleichbehandlung die Betroffenen beeinträchtigt. In Hinsicht auf formelle Argumentation wäscht die Gleichheitsprüfungsintensität stufenweise: ① vom Ersten Gleichheitsprüfungsschritt zum Zweiten Gleichsprüfungsschritt, ② In zweiten Gleichheitsprüfungsschritt wäschst die Gleichheitsprüfungsintensität entlang dem vom Verhältnismäßigkeitsgrundsatz Anwendungsschritt, d.h. Geeignetheitsprüfung․Erforderlichkeitsprüfung․Angemessenheitsprüfung, stufenweise.
    7. Bezüglich der in der materiellen Argumentation Gleichheitsprüfungsintensität schlagt der Verfasser in der vorliegenden Untersuchung Prüfungsintensitätsentscheidungskriterium vo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공법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