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朱和羹 「臨池心解」의 유가미학적 고찰 (The study on Confucian aesthetic of ChuHwagaeng's Imchisimhae)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1 최종저작일 2012.02
29P 미리보기
朱和羹 「臨池心解」의 유가미학적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성균관대학교 유교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글판<유교문화연구> / 1권 / 20호 / 359 ~ 387페이지
    · 저자명 : 장지훈, 김혜란

    초록

    본고는 淸代 朱和羹 「臨池心解」를 유가미학적으로 규명한 글이다. 연구를 위해 「임지심해」의 全文을 분석하고, 그에 내재된 書藝學習觀과 書藝審美觀을 고찰하였다.
    먼저 「임지심해」의 서예학습관에 대해서는 學書論, 筆墨論, 體勢論으로 분류하여 고찰했으며, 그 요지는 다음과 같다.
    주화갱은 서예의 근본을 筆과 墨의 운용으로 삼아 용필․용묵에 관한 法度의 精熟을 강조하였다. 용필에 있어서 忽筆과 信筆을 경계하였는데, 이는 下學上達에 대한 중요성을 명확히 한 것이었다. 특히 글씨의 기세와 역량을 매우 중시했으며, 沈着한 운필에 의해 글자의 骨力으로 필세를 구현하는 것이 진정한 法古임을 제시하였다. 즉, 筆意의 체득과 구현은 수많은 臨摹를 통해 흉중에 書法이 가득 차 있어야 비로소 고인의 筆意는 물론 창작의 新意도 구현될 수 있다고 보았다. 「임지심해」의 서예심미관에 대해서는 本質論, 批評論, 創作論으로 분류하여 고찰했으며, 그 요지는 다음과 같다.
    주화갱은 서예창작의 주체를 精․氣․神으로 규정하였다. 곧 마음이 주가 되어야만 心手相應․心手雙暢의 妙境에 도달하고, 자연히 力量과 필세가 생겨난다고 보았다. 서예비평에 있어서는 人品을 첫째로 삼아 품격이 높은 사람은 서예에도 淸剛雅正한 기풍이 있다면서 書如其人을 견지하였다. 창작에서는 자기의 性靈을 발휘하고, 절대 남의 울타리에 있지 말아야 하며, 形似가 아니라 神寫를 통해 法古에머무르지 않고 創新으로 나아갈 것을 주장하였다. 물론 창작도 반드시 법도에 기인해야 하며, 다만 體勢에 따라 알맞게 ‘잘 변화함[善變]’으로써 ‘師古而不泥於古’가실현될 수 있다고 여겼다.
    이상과 같이 주화갱의 「임지심해」는 下學上達의 학서방법, 書如其人의 서예비평, 法古創新과 隨時處變의 창작정신 등을 지향하고 있으며, 이는 유가적 서예관의 전형이라 평가할 수 있다. 아울러 古와 新의 중용적 발전을 도모한 주화갱의 書論은 善變의 서예창작을 위한 이론적 기반으로 삼기에 충분하다.

    영어초록

    This paper analyzes the Confucian aesthetic of Chu Hwagaeng (朱和羹)'s Imchisimhae. To that end, I closely examined the full text of Imchisimhae and considered his philosophy of calligraphic mastering and calligraphic aesthetics.
    Firstly, the philosophy of calligraphic mastering in Imchisimhae was explored in three groups: studying of letters, theory on the brush and ink,theory on the body and strength.
    He emphasized the skillful mastering of usages of the brush and ink as he saw that the foundation of calligraphy was in the brush and ink. He warned against the careless brush stroke and the too-confident brush stroke in the usage of the brush, which was clearly to underline the importance of HahakSangdal(下學上達). He especially stressed the strength and power of a letter. He asserted that the realization of the brush strength with Kollyŏk (骨力) of a letter through a poised movement of a brush as a true Pŏpko (法古).
    That is, the acquisition and embodiment of Pilŭi (筆意) was only possible when the methods of writing were fully in heart through endless mimicking and copying and then finally one could realize the Pilŭi (筆意) of the ancient as well as the Shinŭi (新意) of original creation.
    It then analyzed calligraphic aesthetics of Imchisimhae in three categories - the theory of essence, the theory of critique, and the theory of creation -as below.
    He defined the subject of calligraphic creation with Jŏng, Ki and Shin (精․氣․神). He believed that only when the mind came to the center, one reached the sublimity of Simsusangsu (心手相隨) and Simsussangch'ang (心手雙暢) and the power and strength came naturally. On calligraphic critique,he put the respectability of a person in the first place. He maintained that the calligraphy is like the calligrapher - Sŏyŏgiin (書如其人). That is, if one is respectable he would write calligraphy with a Ch'ŏngkangajŏng (淸剛雅正)dignity. On artistic creation, he strongly encouraged one to express one's own spirits, move beyond others' frameworks, and to move toward Ch'angshin (創新) without hesitating with Pŏpko through Shinsa (神寫:mimicking the spirit) without mimicking the form. Of course, artistic creation must be based on methods but as one improves in accordance with Chese (體勢), the 'Sagoibulniŏgo (師古而不泥於古)' can be reached.
    As shown, Imchisimhae has the philosophy of calligraphic mastering based on Hahaksangdal, views on calligraphic critique based on Sŏyŏgiin,and the theory on creation based on Popkoch'angshin and Susich'ŏbyŏn,which is typical of a Confucius calligraphic philosophy. In addition, Chu Hwagaeng's calligraphic philosophy that sought the moderation between the old and the new can be a good theoretical foundation for contemporary calligraphic ar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