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서애(西厓)의 ‘심(心)’ 이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nderstanding of the Mind of Seo-a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1 최종저작일 2024.05
32P 미리보기
서애(西厓)의 ‘심(心)’ 이해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애학회
    · 수록지 정보 : 서애연구 / 9권 / 105 ~ 136페이지
    · 저자명 : 김성실

    초록

    퇴계의 대표 제자라고 할 수 있는 서애 류성룡은 사실 임진왜란 때 재상으로서의 업적 등 경세론적인 연구 비중이 비교적 높은 까닭에 철학적 사상에 대한 조명은 그리 많지 않았던 것은 사실이다.
    서애는 만년에까지도 심(心)의 역할에 대한 강조가 여타 제자들의 리학(理 學)적 성향과는 다른 양상을 보이는데 그것이 서애사상의 독특한 지점이라고할 수 있다. 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양명학에 대한 관심과 이해, 혹은 동조 등으로까지 확장을 경계한다. 서애의 양명학과 불학에 대한 관심이 젊은 시절부터있어왔던 것 등을 기초로 만년까지 그러한 문제의식이 이어졌다기보다는 임진왜란이라는 역사적 사건에 직면한 서애의 삶의 변화와 주자학을 바라보는 태도의 변화이지 양명학 등을 위시한 심학적 경향성으로의 사상적 전회까지라고는 볼 수 없다.
    서애의 학문과 사상의 형성은 퇴계 여타 제자들과 다른 지점이 있다. 바로사화보다 더 심각하고 처절했던 임진왜란을 겪었던 실존적 상황이다. 성리학에대한 주된 비판 중에 하나는 존덕성과 도문학에서의 실천성의 부족, 도학의 이념적 매몰에 따른 치움침 등이라고 볼 수 있다. 물론 성리학 자체가 실천성이결여된 학문은 아니다. 오히려 성즉리임을 아는 것으로서 강력한 실천성을 담보한 수양과 실천의 체계로 나아가는 것이 성리학의 본질이다. 조선 후기 실학(實學) 역시도 성리학에 대한 비판에서 나온 안티테제가 아닌 성리학 본연이가지고 있는 실심(實心), 실학(實學)의 요소가 꽃피운 것이라고 보아야 올바를것이다. 마찬가지로 서애의 학문과 사상은 퇴계학파 가운데 퇴계 사상을 실천적 정신으로 확장시키는 시발점이라고도 볼 수 있다. 서애의 주재설을 놓고, 갈암의 비판과 한주의 긍정은 오히려 퇴계사상이 가지는 각각의 리 중심의 사고와 리발의 측면을 이해하는 방식의 창조적 계승 요소를 담고 있는 것임을 역설한 셈이다. 하지만 서애는 누구보다도 퇴계학을 계승한 대표제자로서 사상적뿌리는 퇴계에 있다고 볼 수 있다.

    영어초록

    Seoae Ryu Seong-ryong (柳成龍, 1542-1607), a representative student of Toegye Yi Hwang (李滉, 1502-1571), was an accomplished statecraft thinker despite the lack of scholarship on this issue. As is well-known, he served as prime minister during the Imjin War (1592-1598).
    Even in his late years, Seoae continued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the mind, in which he differed from Toegye’s other disciples who doggedly focused on the Learning of Principle (lixue 理學). It was indeed the most important aspect of his learning; however, he was also guarded against falling into the learning of Wang Yangming (王陽明, 1472-1529). His interests in Yangming Learning and Buddhism grew in response to the Imjin War, which prompted him to change his view of life and attitude toward Zhu Xi 주희(朱熹, 1130-1200) Learning.
    He did not convert to Yangming Learning, the tendency toward the learning of the mind.
    Seoae’s thought and learning, which differed from Toegye’s other disciples, was formed during the existential crisis he confronted during the Imjin War. Zhu Xi Learning has been criticized for its lack of practicality and its absorption in ideological factionalism. Despite such criticisms, Zhu Xi learning is not impractical as its essential message lies in cultivating oneself with practical concerns. Even the Practical Leaerning (실학 實學) of the Late Joseon should not be considered antithetical to Zhu Xi Learning but the full blossoming of its practical mind and learning. Likewise, Seoae’s learning and thought could be considered the extension of Teogye’s practical spirit. The contest between Galam and Han Zhu over Seoae’s theory of spiritual sovereignty shows the ways in which they succeeded Teoye’s philosophy of li 理. However, it should be undeniable that Seoae was the legitimate heir to Toegye’s Learning and that his thought was firmed rooted in Toegy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0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