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교양교육의 관점에서 윌슨의 『통섭』 새롭게 읽기 : ‘아리아드네의 실타래’ 비유를 중심으로 (Rereading E. O. Wilson’s Consilience from the Perspective of Liberal Education : Focusing on the Metaphor of Ariadne’s Thread)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1 최종저작일 2025.04
34P 미리보기
교양교육의 관점에서 윌슨의 『통섭』 새롭게 읽기  : ‘아리아드네의 실타래’ 비유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중앙대학교 다빈치미래교양연구소
    · 수록지 정보 : 교양학 연구 / 31호 / 225 ~ 258페이지
    · 저자명 : 한수영

    초록

    본 논문은 에드워드 O. 윌슨의 통섭(Consilience) 을 교양교육의 관점에서 재해석하며, 지식 통합이라는 문제의식을 현대 교양교육의 핵심과제와 연결하고자 한다. 윌슨은 고대 이오니아 철학과 계몽주의 전통을 계승하며, 자연과학을 기반으로 사회과학과 인문학을 아우르는 ‘지식의 대통합’을 제안했다. 그의 통섭론은 윌리엄 휴얼의 귀납적 컨실리언스 개념을 현대적으로 계승한 시도로, 학문 간 경계를 넘어 공통된설명 체계를 구축하려는 시도였다. 그러나 인간과 자연의 복잡성을 단일한 물리적 기반과 인과적 설명 체계로 환원하려 한 점에서, 존재의물질적 조건과 그것을 해석하는 사고 사이의 긴장을 충분히 성찰하지못하는 한계를 드러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연과학과 인문학을 연결하려는 통섭의 문제식은 오늘날의 교양교육에 유효한 통찰을 제공한다. 본 논문은 윌슨이통섭의 메타포로 제시한 ‘아리아드네의 실타래’에 주목하여, 통섭 개념을 미궁(labyrinth)과 미로(maze)의 이중 구조 속에서 재해석한다. 실타래는 단순한 길찾기 도구가 아니라, 환원주의적 세계관과 인문학적 상상력이 만나는 접점이자, 현대 교양교육이 지향해야 할 학제 간 융합의상징적 은유로 기능한다. 미궁은 세계의 구조와 질서를, 미로는 예측불가능성과 해석의 다양성을 상징하며, 실타래는 이 둘을 연결하며 학제 간 탐색과 사유를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교양교육은 자연과학을 통해 세계의 물질적 기반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과학적 사고와 인문학적 상상력을 함께 발휘해 삶의 실존적 의미를 구성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는 고정된 지식을 전달하는것이 아니라, 학생들이 미궁의 구조를 이해하고 미로 속에서 자기만의탐색 경로를 만들어가는 창조적 학습 과정이다.
    본 논문은 윌슨의 통섭론이 지닌 한계를 비판적으로 고찰하는 동시에, 지식 통합의 이상을 교양교육의 실천적 과제로 전환함으로써 학문간 단절을 넘어서는 새로운 교육적 지평을 제시하고자 했다.

    영어초록

    This paper reinterprets Edward O. Wilson’s Consilience from the perspective of liberal arts education and explores how the problem of knowledge integration can be reframed as a core task for contemporary general education. Wilson, drawing on the traditions of Ionian philosophy and Enlightenment thought, proposed a “unification of knowledge” that seeks to connect the natural sciences with the social sciences and humanities. His consilience theory, rooted in William Whewell’s concept of inductive consilience, attempted to construct a common explanatory framework across disciplinary boundaries. However, his approach reveals limitations in its reduction of the complexity of human and cultural phenomena to physical and causal principles, without sufficiently addressing the tension between material existence and interpretive understanding.
    Despite these limitations, Wilson’s vision of connecting the natural sciences and the humanities continues to offer valuable insights for liberal arts education today. This paper employs the metaphor of “Ariadne’s thread” to reinterpret Wilson’s concept of consilience through the dual structure of the labyrinth and the maze. The thread symbolizes not a simple path to escape, but a bridge between reductionist reasoning and humanistic imagination—a metaphor for interdisciplinary inquiry at the heart of liberal education. While the labyrinth represents order and determinism, the maze evokes unpredictability and interpretive plurality.
    The thread enables navigation between these two realms, supporting a more dynamic and complex understanding of knowledge.
    From this perspective, liberal arts education should enable students to grasp the material foundations of the world through scientific reasoning, while also engaging their imaginative capacities to explore existential meaning. Learning is not merely the transmission of fixed knowledge, but a creative process in which students chart their own exploratory paths through the structures of knowledge and the complexities of lived experience.
    By critically examining both the limitations and potential of Wilson’s consilience, this paper repositions the ideal of knowledge integration as a practical goal of liberal arts education. In doing so, it proposes a new educational horizon that transcends disciplinary fragmentation and reconfigures the landscape of learning as a space of meaningful converge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교양학 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