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수업 공간의 특성과 교육적 분위기에 기초한 실시간 원격 수업의 개선 방안에 대한 탐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plan of real-time remote clas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and educational atmosphere of the class space)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1 최종저작일 2021.09
38P 미리보기
수업 공간의 특성과 교육적 분위기에 기초한 실시간 원격 수업의 개선 방안에 대한 탐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 수록지 정보 : 교육혁신연구 / 31권 / 3호 / 277 ~ 314페이지
    · 저자명 : 강경리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의 경험을 중심으로 수업 공간의 특성과 교육적 분위기에 기초한 실시간 원격수업의 개선 방안에 대해 탐구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D대학교에서 한 학기 동안 교수법 관련 교직과목을 수강한 대학생 12명을 대상으로 질적 접근인 성찰일지 작성과 심층면담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대학생이 경험한 실시간 원격수업 공간의 특성은 교수자의 관점에서 실시간 원격수업 인프라가 구축된 장소, 네트워크의 안정성을 기반으로 교수매체와의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는 장소, 학습자와의 비언어적 의사소통이 원활하지 않은 장소, 수업에 대한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는 장소, 학습자의 관점에서 사이버 공간과 물리적 공간으로 구성된 장소, 교수매체 활용 역량을 기반으로 학습자의 교수매체와의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는 장소, 교수자와의 질문과 피드백이 원활하지 않은 장소, 다른 학습자와의 소통 중심 활동이 원활하지 않은 장소, 자기주도 학습에 대한 다양한 경험이 이루어지는 장소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이 경험한 실시간 원격수업 공간의 교육적 분위기는 교수자의 관점에서 실시간 원격교육 인프라에 대한 부담감, 학습자와의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어려움으로 인한 소극적 태도, 수업에 대한 다양한 시도를 통한 수업에 대한 성취감, 학습자의 관점에서 시간과 비용의 효율성 면에서 만족감, 교수자와의 질문과 피드백의 어려움으로 인한 낮은 몰입감, 교수자, 다른 학습자와의 소통의 어려움으로 인한 낮은 친밀감, 자기주도 학습에 대한 다양한 경험을 통한 자기주도 학습에 대한 성취감으로 나타났다. 셋째, 수업 공간의 맥락에서 효과적인 실시간 원격수업에 대한 시사점은 수업의 준비 단계에서 물리적 공간의 재구성을 통한 안정감의 교육적 분위기 형성, 수업의 실행 단계에서 교수자와 학습자의 의사소통을 통한 공감의 교육적 분위기 형성, 수업의 평가 단계에서 교수자와 학습자의 교수·학습에 대한 다양한 시도와 경험을 통한 자신감의 교육적 분위기 형성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대학수업 공간의 맥락에서 효과적인 대학수업을 위해서는 대면수업의 물리적 공간과 실시간 원격수업의 물리적 공간의 연계를 통한 수업 공간의 혁신, 대면수업의 물리적 공간과 실시간 원격수업의 사이버 공간의 연계를 통한 교수자와 학습자의 상호작용 강화, 대학수업 공간에 대한 교수자와 학습자의 인식 개선이 이루어져야 한다.

    영어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improvement plan of real-time remote clas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and educational atmosphere of the class space focusing on the experiences of college students. Method: The participants were 12 students who took teaching methods class for one semester, and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rough a qualitative approach such as writing a reflection journal and in-depth interview. Results: From the instructor's point of view,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al-time remote class space were a place where real-time remote class infrastructure was built, a place where the interaction with the teaching medium based on the stability of the network occurred, a place where the non-verbal communication with the learners was not smooth, and a place where the various attempts were made for the class, from the learner's point of view, a place composed of cyber and physical space, a place where the interaction with the teaching medium based on the learner's ability to use teaching media, and a place where the questions and feedback with the instructors were not smooth, a place where the interaction-oriented activities with other leaners were not smooth, and a place where the various experiences for self-directed learning were made. Second, From the instructor's point of view, the educational atmosphere was found to be the burden on the real-time remote class infrastructure, the passive attitudes due to the difficulty of the non-verbal communication with the learners, and the achievement for the class through various attempts, from the learner's point of view, the satisfaction in terms of time and cost effectiveness, the low immersion due to difficulties in the question and feedback with the instructor, the low intimacy due to difficulties in communication with the instructor and the learner, and the achievement for self-directed learning through various experiences. Third, the effective real-time remote class was needed to formate the educational atmosphere of the stability through reorganization of physical space in the preparation stage of classes, empathy through communication between instructors and learners in the execution stage of classes, and confidence through various experiences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evaluation stage of classes. Conclusion: The suggestions for the improvement of college class were the innovation of the class space through the connection between the physical space of face to face class and the physical space of real-time remote class, the reinforcement of the interaction between instructor and learner through the link between the physical space and the cyber space, and the improvement of the perceptions about class spa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교육혁신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0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