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태조 이성계 어진과 존 밀턴의 『실낙원』에 나타난 거룩한 이미지 비교 연구 (A Study of Divinity in the Portrait of Tae Jo and John Milton's Paradise lost)

1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1 최종저작일 2014.06
13P 미리보기
태조 이성계 어진과 존 밀턴의 『실낙원』에 나타난 거룩한 이미지 비교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기초조형학회
    · 수록지 정보 : 기초조형학연구 / 15권 / 3호 / 87 ~ 99페이지
    · 저자명 : 김혜연, 김민규

    초록

    본 논문은 조선의 태조 이성계 어진과 존 밀턴의 『실낙원』에 나타나는 성스럽고 거룩한 이미지를 비교 분석하여, 거룩한 이미지를 재현하고 있는 두 작품의 조형적 공통점을 발견하고 그 의미를 찾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논문에서는 동양과 서양, 회화와 언어라는 문명적, 도구적 차이를 뛰어넘어 태조 어진과 밀턴의 작품이 신성을 묘사 하는데 있어서 공통된 재현 방식을 보이고 있다는 사실에 주목한다. 조선의 국조(國祖)였던 태조의 어진에서는 태조의 세속적 인간성 보다는 태조의 초월적 신성이 강조 되면서 추상적이고 도식적인 모습이 부각 된다. 특히 태조 어진에서는 태조의 신성이 강조 되면서 두 가지 조형적 특징을 보인다. 첫째, 태조 어진은 시선이 강조된 정면관 구도를 보여주며, 둘째, 완전한 좌우 대칭의 구도를 취하고 있다. 이를 통해 원근법이나 사실적 표현이 무시 되고, 모든 백관과 백성을 한 순간에 바라보고 있다는 태조의 신성과 관념성, 추상성이 부각 된다. 본 논문에서 주목 하고자 하는 점은, 바로 이러한 태조 어진의 두 가지 조형적 특성이, 밀턴의 『실낙원』에 나타나는 하나님의 신성의 재현 방식과 매우 흡사하다는 사실이다. 밀턴은 눈에 보이지 않는 하나님의 신성을 묘사하기 위하여 어진 화가들과 마찬 가지로, 신의 구체적, 사실적 묘사가 아닌, 하나님의 눈 혹은 시선의 강조를 통하여, 그리고 완전한 좌우 대칭적 천지 창조의 묘사를 통하여 하나님의 초월적 거룩함을 재현한다. 태조 어진과 밀턴의 『실낙원』에 나타나는 이러한 공통된 조형적, 묘사적 특징들은, 모두 신성의 거룩함을 ‘기억’하고 그 기억의 유지를 위한 제의적 의미를 지니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영어초록

    The aim of this paper is to reveal the similarity in description of divine image between the portrait of Tae Jo, a founder of Korean Joseon Dynasty, and John Milton’s Paradise Lost. Tae Jo's portrait in Joseon Dynasty (Tae Jo Au-Jin in Korean) is regarded as very unique in terms of its religious or ritualistic role, and every painting skill in the portrait had been developed to highlight its divinity. Surprisingly, divine or holy image of Milton’s God and the Au-Jin shares certain characteristics: composition with the focus on the eye of the divinity and perfect symmetry. In order to eliminate realistic humanity of the king, Au-Jin painters focused on the bodiless abstraction of that figure by using the composition of frontality. Naturally, eyes of the king become a focus of the whole painting, and this feature closely resembles Milton’s God. While Milton’s God has no bodily image in contrast to Satan, the poet stresses God’s eye seeing everything beyond time and space. Tae Jo Au-Jin, more than any other king’s portraits, also shows perfect symmetry, which is another characteristic of the holy image in Milton's Work. By comparing two divine images of different types of works, this paper studies different artists’ sharing anguish to ‘incarnate’ divinity and finds its considerable significa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기초조형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