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가상현실 스포츠실 통합플랫폼 실태 분석 및 지속가능성 제고 방안 탐색 (Analyzing the Actual Status of the Virtual Reality Sports Room Integrated Platform and Exploring Ways to Improve Sustainability)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1 최종저작일 2025.02
20P 미리보기
가상현실 스포츠실 통합플랫폼 실태 분석 및 지속가능성 제고 방안 탐색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체육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체육교육학회지 / 29권 / 6호 / 1 ~ 20페이지
    · 저자명 : 박세원, 김영식

    초록

    목적: 이 연구는 가상현실 스포츠실 통합플랫폼에 대한 실태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가상현실 스포츠실의 지속 가능한 발전 방안을 도출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해 가상현실 스포츠실 통합플랫폼 이용자 및 관계자 면담자료, 문헌자료, 사진, 동영상, 연구노트 등을 자료로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은 교육비평 단계(기술, 해석, 평가, 주제화)에 따라 연역적 매트릭스를 설계하고 반복적 비교 분석을 통해 자료를 정리하였다.
    결과: 첫째, 가상현실 스포츠실 통합플랫폼은 실태 측면에서 시설과 센서의 표준화를 통해 다양한 콘텐츠를무상으로 제공함으로써 사용 가능 콘텐츠 수를 확대하고, 유지 관리의 편이성을 제공하였다. 또한, 전국 가상현실 대회를 개최하여 새로운 e스포츠 대회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센서의 오류가 잦고, 콘텐츠가교육과정과의 연계성이 부족하며, 초등학교 저학년 수준에 맞춰 개발되어 초등학교 고학년에서의 활용도가낮은 문제가 확인되었다. 둘째, 가상현실 스포츠실 통합플랫폼은 지속가능성 측면에서 센서의 고도화 및 다양화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2022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 및 정책 기조에 부합하는 콘텐츠가 많아향후 초등학교에서의 활용 가능성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하지만 2025년 이후에 초등학교 대상 보급 계획이 없고, 콘텐츠 개발에 교육 현장의 요구가 충분히 반영되지 않고 있다는 점이 한계로 드러났다.
    결론: 가상현실 스포츠실 통합플랫폼의 지속가능성 제고를 위해 센서의 고도화, 교육과정과 연계된 콘텐츠개발, 그리고 학교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인센티브 전략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관계 부처 간협력 체제 구축과 교육부의 책임감 있는 역할 수행이 필요할 것이다.

    영어초록

    Purpos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urrent state of integrated platforms for virtual reality sports rooms and, based on this analysis, to derive sustainable development strategies for virtual reality sports rooms.
    Method: To this end, data such as interviews with users and stakeholders of the virtual reality sports room integrated platform, literature, photos, videos, and research notes were collected. Data analysis was organized through a deductive matrix designed according to the stages of educational criticism (description, interpretation, evaluation, theming), and through constant comparison method.
    Results: The virtual reality sports room integrated platform has broadened access to diverse content and simplified maintenance by standardizing facilities and sensors and offering contents at no charge. The platform has also showcased the potential for novel e-sports competitions through the organization of national virtual reality contests. Challenges include frequent sensor errors, a lack of integration of the content with educational curricula, and the development of content predominantly for elementary lower grades, which reduces its utility for elementary higher grades. Furthermore, the platform is continually enhancing and diversifying its sensors, with much content now aligned with the 2022 revised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and policy directions, raising expectations for its future utility in elementary schools. However, the absence of a post-2025 distribution plan for elementary schools and insufficient reflection of educational field demands in content development remain significant challenges.
    Conclusion: For the sustainability of virtual reality sports rooms' integrated platforms, it is essential to advance sensor technology, develop curriculum-linked content, and implement incentive strategies to foster school participation. This underscores the detrimental impact of the inadequate collaboration system among related government departments on sustainability. An improved role for the Ministry of Education is deemed crucial, requiring a proactive, future-oriented approach to enhance national health and school physical educ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체육교육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