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신사리 용어 명칭에 따른 분류와 용례 검토 - 한역경전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terms of the Sarira that appeared in the Sutra translated into Chinese - Focusing on the terms of Sariradhātu)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1 최종저작일 2024.09
37P 미리보기
신사리 용어 명칭에 따른 분류와 용례 검토 - 한역경전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 101호 / 111 ~ 147페이지
    · 저자명 : 김영은

    초록

    본 논에서는 신사리 용어의 유형 중 내용상 많은 범위를 차지하는 전신, 쇄신사리를 제외한 분신, 유신, 생신, 반신, 산신, 변신사리와 관련된 경전용례를 중심으로 신사리 용어를 살펴보았다.첫째, 대승경전류인『승천왕반야바라밀경(勝天王般若波羅蜜經)』권1,『입대승론(入大乘論)』권2, 『경율이상(經律異相)』권6의 용례를 바탕으로 부처님의 몸에서 나온 분신사리 용어의 개념을 살펴보고 석가모니 열반 후 다비를 통해 얻은 붓다의 진신사리는 8만 4천의 분신사리임을 확인하였다. 둘째,『묘비보살소문경(妙臂菩薩所問經)』권1 용례를 통해 유신사리는 붓다의 화장 후 남겨진 사리로써 예배대상으로서의 기능이 강조된 것임을 확인하였다. 셋째,『번역명의집(翻譯名義集)』권5의 용례를 통해 생신사리는 석가모니 진신사리 중 골사리 용어를 말하며 분배되어 각각의 탑에 모셔진 쇄골사리 모두는 생신사리에 해당된 것임을 확인하였다. 넷째,『대반열반경후분(大般涅槃經後分)』권1의 용례를 통해 반신사리는 여래 멸도 후 다비 과정을 거친 전신사리를 둘로 나눈 2분의 1에 해당되는 사리임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불설수능엄삼매경(佛說首楞嚴三昧經)』권2의 용례를 통해 산신사리는 붓다의 열반 후 화장된 몸이 흩어져 해체되고 분리된 낱낱의 뼈를 의미함을 알 수 있었다. 여섯째,『삼국유사(三國遺事)』권3의 용례를 통해 변신사리는 진신사리와는 별도로 구별되는 분사리 형식의 미세한 모래알 모양 크기의 향이 나는 사리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어초록

    In this paper, we have examined the Sariradhātu terminology, focusing on scriptural references related to Bunshin sari(分身舍利), Yushin sari(遺身舍利), Saengshin sari(生舍利身), Half sari(半身舍利), Sanshin sari(散身舍利), and Byeonsin Sari(變身舍利), excluding Jeonsin Sari(全身舍利) and SwaeSin Sari(碎身舍利), which account for a large portion of the types of Sariradhātu terminology. First, based on the usage of the Mahayana sutra texts, 『勝天王般若波羅蜜經』 vol. 1, 『入大乘論』 vol. 2, 『經律異相』 vol. 6, we examined the concept of the terminology of the Bunshin sari(分身舍利) and confirmed that the Buddha's true body, which was acquired through burning after Shakyamuni's nirvana, was divided into 84,000 Bunshin sari(分身舍利). Second, through the usage of the 『妙臂菩薩所問經』 Volume 1, we confirmed that the Yushin Sari(遺身舍利) is a Sari left behind after the Buddha's burning cremation, emphasizing its function as an object of worship. Third, through the usage of the 『翻譯名義集』 Volume 5, we confirmed that the term Saengshin sari(生身舍利) refers to the bone sari(骨舍利) among the Shakyamuni's true sari, and that all of the Swaegol Sari(碎骨舍利) that were distributed and enshrined in the pagoda were Saengshin sari(生身舍利). Fourth, through the usage of the 『大般涅槃經後分』 Volume 1, we confirmed that the Bansin Sari(半身舍利) are the one-twelfth of the Jeonsin Sari(全身舍利) that have undergone the burning process after the destruction of the Buddha. Fifth, through the usage of the 『佛說首楞嚴三昧經』 Volume 2, we know that the Sanshin sari(散身舍利) is the scattered, disintegrated, and separated bones of the Buddha's burned body after his nirvana. Sixth, through the usage of the 『三國遺事』 Volume 3,we can see that Byeonsin Sari(變身舍利) is a fragrant sari, which is separate and distinct from the JinSin Sari(眞身舍利).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