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전쟁 및 그 이후 시기북한의 ‘신해방지구’ 정책: 동화와 억압 (North Korea’s ‘Newly Liberated Areas’ Policy During and After the Korean War: Assimilation and Repression)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1 최종저작일 2021.12
40P 미리보기
한국전쟁 및 그 이후 시기북한의 ‘신해방지구’ 정책: 동화와 억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통일과 평화 / 13권 / 2호 / 115 ~ 154페이지
    · 저자명 : 기광서

    초록

    이 글은 한국전쟁을 통하여 남한으로부터 새롭게 점령한 이른바 ‘신해방지구’(개성 등 5개 시·군)에 대한 북한의 정책과 조치를 살피는 연구이다. 북한 당국은 이 지역을 안정화시키고 북한 질서를 이식시키기 위해 식량 지원을 비롯한 각종 경제적 혜택을 제공하였다. 이와 함께 적극적인 계층을 훈련시켜 체제 유지의 수호자로 내세우고, 교양과 교육사업을 통해 주민들의 의식 변화를 유도하였다.
    교육과 교양으로 해소되지 않은 반체제적 요소들에 대한 처리에는 강압과 억제의 수단이 동원되었다. 자수자에게는 관용이 베풀어졌지만, 반역자에 대해서는 가족까지 불이익이 가해졌다. 김일성은 처음부터 월남자 가족을 구분 없이 박해해서는 안 된다는 점을 되풀이하였는데, 이는 역으로 하부 집행 단위에서의 이들에 대한 차별과 박해가 끊이지 않았음을 입증한 것이다.
    1957년 후반기부터 북한 언론매체에서 ‘신해방지구’라는 명칭은 거의 사용하지 않지만, 그 후로도 ‘반체제적 요소’로 인한 북한 당국의 고민은 지속되었다. 그 해결책으로는 마르크스-레닌주의 사상으로 계급교양을 강화하는 방법이 최선이었을 것이다. 그렇지만 물리적 제재 없는 계급교양의 한계는 뚜렷했다. 결국 체제로의 편입 설득과 강제가 혼합된 ‘동화와 억압’은 이들 지역에 대한 북한 당국의 정책적 특징이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presents a study on North Korea’s policies and measures for the so-called ‘Newly Liberated Areas’ (five cities and counties) that came under its rule through the Korean War.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provided various economic benefits, including food aid, to stabilize the region and transplant North Korean order. They trained the active class to be the guardians of the system, and induced a change in the consciousness of the residents through culture and education projects.
    The means of coercion and deterrence were mobilized to treat dissident elements that were not resolved through education and culture. Tolerance was given to those who surrendered, but for traitors, even their families were at a disadvantage. From the beginning, Kim Il-sung reiterated that North Korean families of those who fled south should not be indiscriminately persecuted. But this was itself evidence of lower enforcement agencies’ unrelenting discrimination and persecution against these families.
    Since the latter half of 1957, the North Korean media rarely used the name ‘Newly Liberated Areas’, but even after,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continued to worry about ‘dissident elements there’. The best solution was to strengthen class education with Marxist-Leninist ideology. If we def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North Korean government's policy in this area, it can be regarded as a policy of ‘assimilation and repression’ in which incorporation into the regime and physical coercion were mix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통일과 평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