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新南畵’의 성립과 전개: 1910년대 일본화단을 중심으로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Shin-nanga,’ with a Focus on Modern Nihonga (Japanese Painting) Artists in the 1910s)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1 최종저작일 2017.06
26P 미리보기
‘新南畵’의 성립과 전개: 1910년대 일본화단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미술사연구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연구 / 32호 / 247 ~ 272페이지
    · 저자명 : 박지혜

    초록

    南畵는 일본의 문인화이자 중국의 남종화에서 유래한 일본에서 만들어진 단어로 중국의 남종화를 일본적으로 해석한 일련의 화파 및 양식을 지칭한다. 明治 중기인 1880년대에 어니스트 페놀로사(Ernest Fenollosa, 1953-1908)가 문인화를 낮게 평가하면서 회화(미술)의 영역에 들어가지 못했고 점차 쇠퇴하고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1910년대 이후 남화가 다시 주목받게 된 이유는 무엇이었을까.
    본 연구는 1910년대 후반 南畵再評價를 통해 일어난 美術傾向인 新南畵의 등장에 주목한다. 국내에서의신남화 관련 연구는 1920년대 이후 활약한 일본의 남화가나 남화단과의 영향관계를 파악하는데 연구가 집중되었다. ‘新南畵’에 대한 정의는 그 등장 시기나 제작자에 따라 그 함의가 전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일반화하기 어렵다. 따라서 용어가 처음 등장한 1910년대를 중심으로 잡지 및 학술지에 실린 문헌 분석하여 신남화의 양상을 검토한다.
    신남화는 남화의 조형성 뿐 아니라 기운생동 및 인격, 주관적 감정의 표출과 같은 정신적인 측면을 강조했다. 이는 1910년대 초 일본에 수용되기 시작한 후기인상파와 관련이 깊다. 풍경을 비롯한 자연주의적 모티브를 선택하고, 그 형태의 대담한 변형, 필촉을 강조하는 후기인상파 이후의 유럽 근대회화는 일본의 화가들에게 일본화, 특히 남화를 연상시켰던 것이다. 따라서 일본과 아시아의 전통으로 부상한 남화가 후기인상파 및 표현주의와 사상적인 면에서 비슷하다고 여겨지면서 동경의 대상이었던 서양미술에 필적하는 근대적 미술로서 다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때 남화를 다른 측면에서 바라보면서 새로운 화풍을 만들어낸 이들은 이마무라 시코(今村紫紅)를 비롯한 기존의 남화단이 아니라 남화단 밖에 있는 화가들이었다. 그리고 이 신남화의 제작자들에게 영감을 주었던 남화는 동시기 남화가의 작품이 아니라 명말청초의 화가들과 에도시기의 남화가들 이었다. 이들 古畵, 古南畵에 대한 재평가는 일본화단 전반으로 퍼져갔고 오히려 이후 동시기 남화단에게도 영향을 주었다. 1910년대 신남화는 남화에 대한 관심 및 후기인상파와 같은 동시대 회화를 지향하면서, 새로운 회화를 그리고자 하는 요구와 자유로운 회화를 추구하는 작화태도에서 출현했다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Nanga(南畵) are Japanese literati paintings. Coined in Japan, the term (which literally means “southern painting”) is derived from China's Southern School and denotes a series of schools and styles that reinterpret the paintings of the Southern School in Japanese ways. In the 1880s, towards the middle of the Meiji period, Ernest Fenollosa (1853-1908) held literati painting in low esteem. The genre did not belong in the realm of painting, and was entering a phase of decline. Why, then, did nanga begin receiving renewed attention from the 1910s? This study focuses on the appearance of shin-nanga (新南畵; “neo nanga”), a trend that occurred through the reappraisal of nanga in the late 1910s. Korean studies of shin-nanga have concentrated on identifying patterns of inf luence among Japanese nanga artists and circles that became active from the late 1920s. The definition of shin-nanga differs entirely according to period of emergence or artist, making it hard to generalize. In this study, therefore, I have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shin-nanga by analyzing texts published in magazines and academic journals primarily from the 1910s, when the term first appeared.
    Shin-nanga emphasized not only the formal characteristics of the Southern School but also the same spiritual aspects, such as qiyun shengdong (氣韻生動; “spirit resonance, life-motion”), character, and expression of subjective emotion. This was strongly related to the embrace of post-impressionism in Japan in the early 1910s. Modern painting in Europe after post-impressionism, which emphasized the selection and bold transformation of landscapes and other natural motifs, and pointillism, reminded Japanese painters of traditional Japanese nihonga (日本畵) and the Southern School style. As a result, the Southern School style, which had emerged as a tradition in Japan and Asia, was regarded as similar, in ideological terms, to postimpressionism and expressionism, and came to be treated as a modern art form equal to Western art, which was then an object of longing.
    At this time, it was not Imamura Shiko(1880~1916) and other Southern School-style painters but artists outside the Southern School circle who began viewing the Southern School style from a fresh angle and creating another new style. Moreover, artists producing works in the shin-nanga style were inspired not by the works of contemporary Southern School-style artists but by those active in the late Ming and early Qing periods in China and the Edo period in Japan. Re-assessment of these old paintings and old Southern School works spread through Japanese painting as a whole, even influencing contemporary Southern School-style painters. Shin-nanga paintings in the 1910s can be seen as having emerged due to interest in the Southern School style, aspiration toward contemporary styles like post-impressionism, demand for a new kind of painting, and the pursuit of free-style paint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