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라이프니츠에 있어 동일성 문제 -인간의 관점과 신의 관점- (Problem of Identity in Leibniz’s logical works)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1 최종저작일 2020.08
35P 미리보기
라이프니츠에 있어 동일성 문제 -인간의 관점과 신의 관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철학탐구 / 59권 / 31 ~ 65페이지
    · 저자명 : 박제철

    초록

    라이프니츠는 자신의 논리학적 작업을 위해 “진리값의 변화 없이salva veritate”라는 원리를 사용한다. 이 원리에 따르면, 서로 동일한 것은 진리값의 변화없이 서로 대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삼각형”이라는 개념과 “삼변형”이라는 개념이 동일하다면, “삼각형”이라는 개념을 포함하는 모든 참인 명제에서 이 “삼각형”이라는 개념을 “삼변형”이라는 개념으로 대체해도 그 명제의 참임은 변화하지 않는다.
    이 원리의 사용이 정당화되려면, “삼각형”이라는 개념과 “삼변형”이라는 개념이, 개념 차원에서 서로 동일하지만, 서로 대체되기 위해서는 다른 점도 있어야 한다. 프레게의 경우 ‘아침별’과 ‘저녁별’이라는 언어적 표현은 같은 지칭체를 갖지만, 그 뜻에 있어 다르다. 이처럼 라이프니츠도 “삼각형”이라는 개념과 “삼변형”이라는 개념은 같지만, 뭔가 다른 점을 가져야 대체가 정당화된다. 라이프니츠는 이 두 개념이 서로 다른 내포(요소개념)을 가진다고 주장한다. “삼각형”은 “삼각성”이라는 내포를 가지지만, “삼변형”은 이 내포를 갖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러한 조건이 만족되면, 그 내포의 차이로 인해 대체가 정당화된다. 그러나 라이프니츠의 논리학적 저술들을 살펴보면, “삼각형”과 “삼변형”은 모든 내포(요소개념)를 공유해야 한다는 결론이 나온다. 이것은 앞서 언급한, 서로 다른 내포를 가진다는 주장과 충돌한다. 결국 “진리값의 변화 없이”라는 원리는, 그 원리의 사용에 있어 정당화될 수 없다.
    라이프니츠가 이러한 문제에 봉착하게 된 이유는 그가 개념을 우리 인간의 관점에서 파악하는 것이 아니라, 신의 관점에서 파악하기 때문이다. 프레게는 우리 인간의 인식론적 관점에서 뜻을 이해함으로써, 같은 지칭체, 다른 뜻이라는, 동일성 문제에 있어 중요한 점을 해결하는 듯 하다. 그러나 라이프니츠는 이러한 작업을 일관적으로 해 내지 못함으로써, 어려움에 처하게 된다.

    영어초록

    Leibniz uses “the principle of salva veritate”(without changing the truth) for his logical work. According to this principle, the same thing can be replaced with each other without changing the truth value. For example, if the concept of “triangle” and the concept of “trilateral” are the same, replacing the concept of “triangle” with the concept of “trilateral” in all true propositions including the concept of “triangle” Trueness does not change.
    In order for the use of this principle to be justified, the concept of “triangle” and the concept of “trilateral” are identical to each other at the conceptual level, but there must be different points to be replaced. In the case of Frege, the verbal expressions of 'morning star' and 'evening star' have the same reference, but they differ in their meaning. Likewise, Leibniz has the same concept of “triangle” and “trilateral”, but there is something different to justify substitution. Leibniz claims that these two concepts have different implications(elemental concepts). “Triangle” has the implication of “trianglarity”, but “trilateral” does not. If these conditions are satisfied, the substitution is justified due to the differences in their implications. However, when looking at the logical writings of Leibniz, it is concluded that "triangle" and "trilateral" must share all implications(element concept). This conflicts with the claim that it has different implications. After all, the principle of “without changing the truth” cannot be justified in its use.
    The reason Leibniz faced this problem is that he does not grasp the Concept from our human point of view, but from God's point of view. Frege seems to solve the important point in the issue of identity, that of the same reference, and different meaning, by understanding the meaning from our human epistemological point of view. However, Leibniz faces difficulties by failing to do this consistent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철학탐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6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