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교육신경학에 기초한 집단창의성의 재개념화 (Reconceptualization of Group Creativity Based on Educational Neurology)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1 최종저작일 2025.03
20P 미리보기
교육신경학에 기초한 집단창의성의 재개념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25권 / 5호 / 241 ~ 260페이지
    · 저자명 : 이은정, 강문선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다양하게 논의되었던 집단창의성의 기존 개념들에 대해 학습자의 뇌를 비롯한 신경계의 작용과 연관지어 교육신경학적 관점에서 재개념화를 시도하고 유용한 교육적 시사점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교육신경학적 관점에서 집단창의성을 재개념화하는 것은 뇌를 비롯한 신경계의 변화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개인창의성이 집단창의성으로 이어질 수 있는 유의미한 연결고리를 마련하기 위함이다.
    방법 본 연구에서는 기본 검색어를 집단창의성(group creativity)으로 설정하고 국내 연구는 박사학위 이상 논문 및 한국학술지인용색인(Korea Citation Index, KCI) 등재지에 게재된 논문들을 주된 대상으로 설정하였다. 국외 연구의 경우 학술데이터베이스인Academic Search Premier, ERIC, Education Source, Google Scholar, Web of Science 등을 종합적으로 검색한 후 피인용지수를 참고하면서 동료평가를 거쳐 교차 확인하였다. 그리고 검토된 문헌들에 대해 집단창의성 및 신경학 관련 서적들의 내용과연관성 및 일치성의 정도를 함께 살펴보았다.
    결과 본 연구에서는 집단창의성을 ‘집단 내 구성원들 간 이루어지는 상호작용의 양상이 구성원들 개개인의 신경계 변화에 기반하여기존의 연결과는 다른 유형으로 재구성됨으로써 새롭고 유용한 아이디어 및 결과물을 산출할 수 있게 되는 집단의 성향이나 능력’으로 재개념화 하였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집단창의성과 개인창의성 모두 뇌를 비롯한 신경계의 변화에 기반하고 있으며, 집단 내에서다채로운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하는 개개인의 신경계 작용 양상의 변화는 개인창의성이 집단창의성으로 이어질 수 있는 중요한 연결고리가 된다는 점이다.
    결론 교육신경학적 관점에서 집단창의성을 신경계의 작용 양상 변화와 연관시켜 재개념화한 것은 개인과 집단 모두 신경계의 모듈성과 연결성을 바탕으로 창의성과 같은 고차적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게 되며, 집단창의성이 집단 내 구성원들의 신경계 변화에 기반하여 개개인의 창의성과 다양하게 이어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앞으로 학습자들의 개인창의성이 학습자 개개인의 고유한 특성과어떻게 어우러져 발전하면서 다양한 집단의 창의성으로 이어질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가 충분히 뒷받침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교육신경학과 더불어 다양한 학문 분야들 간 협업에 기반하는 집단창의성이 요구될 것이다.

    영어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ttempted to reconceptualize the existing concepts of group creativity that have been dis cussed in various ways from an educational neurological perspective in relation to the effects of learner brains and other nervous systems, and suggested useful educational implications. The reconceptualization of group crea tivity from an educational neurological point of view is to provide a significant link through which individual crea tivity can lead to group creativity based on an understanding of changes in the nervous system, including the brain.
    Methods In this study, the basic search term was set as group creativity, and domestic research mainly focused on papers for doctoral degrees and higher along with papers published in the Korea Citation Index (KCI). In the case of overseas research, academic databases such as Academic Search Premier, ERIC, Education Source, Google Scholar, and Web of Science were comprehensively searched and cross-checked through peer evaluation by re ferring to impact factors. Also, the reviewed documents were examined for their degree of relevance and con sistency to the content of books on collective creativity and neurology.
    Results In this study, group creativity was reconceptualized as 'the tendency or ability of a group to produce new and useful ideas and outcomes by reorganizing the patterns of interactions between members of groups into types that are different from existing connections based on changes in individual nervous systems. The important point here is that both group creativity and individual creativity are based on changes in the nervous system includ ing the brain, and changes in the effects of individual nervous systems that create multifaceted interactions within groups become an important link for individual creativity to lead to group creativity.
    Conclusions Reconceptualizing group creativity from an educational neurological perspective in connection with changes in the effects of the nervous system signifies that both individuals and groups can perform higher-order functions such as creativity based on the modularity and connectivity of the nervous system, and that group crea tivity can connect to individual creativity in various ways based on changes in the nervous systems of members in the group. In the future, research on how learners' individual creativity can develop in harmony with individual learners' unique characteristics and lead to creativity in various group creativity should be fully supported. For this, group creativity based on collaborations among various academic fields in addition to Educational Neurology will be requir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