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中部 西海岸地域 新石器時代 마을의 生計·住居方式 檢討 (Review of the Subsistence and Dwelling method at the settlement on the central west coast region in the Neolithic Age)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1 최종저작일 2008.05
20P 미리보기
中部 西海岸地域 新石器時代 마을의 生計·住居方式 檢討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상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상고사학보 / 60권 / 60호 / 21 ~ 40페이지
    · 저자명 : 구자진

    초록

    중부 서해안지역의 신석기시대 집자리 유적을 위치와 규모에 따라 3가지 유형(Ⅰ~Ⅲ형)으로 분류한 뒤, 이들 마을유적에서 출토된 석기조합양상을 통해 각 유형별 생계·주거방식에 대해 살펴보았다.
    Ⅰ형 마을유적은 대규모 마을을 이루며, 다양한 석기조합양상이 확인되어 장기 정주마을의 성격을 지닌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출토된 석기류 중 식량가공구가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많은 잉여생산물의 저장·처리를 통해 마을을 유지할 수 있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Ⅱ형 마을유적도 Ⅰ형 마을유적과 마찬가지로 다양한 석기조합양상을 보이고 있어 장기 정주마을의 성격을 지닌 것으로 생각되는데, 유적의 규모에 있어 3~5기의 집자리로 구성된 소규모 마을을 이루고 있다. 그러나 출토된 석기류 중 식량채집구의 비율이 높아 상대적으로 초보적 농경과 식량채집에 중점을 둔 생계·주거방식을 영위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Ⅲ형 마을유적은 앞의 두 유형과 달리 대부분 섬 지역에 위치하며, 1~3기의 소규모 마을을 이루고 있다. 그 중에서 Ⅲ-1형 마을유적으로 분류된 집자리에서는 식량가공구에 해당하는 석기류가 편중되어 있어 장기 정주마을로 보기에는 어렵고, 단기 거주를 통해 주변지역에서 얻을 수 있는 식량자원의 처리·획득에 중점을 둔 생계·주거방식을 유지하였을 것으로 판단된다. Ⅲ-2형의 경우에는 집자리의 구조도 다른 유형의 집자리와 상이한 면을 보이며 석기조합양상도 매우 특징적인데, 특히 수렵·어로구의 집중적인 출토로 보아 특정 식료자원의 획득을 위한 장소로 단기간(계절적)의 거주 공간으로 생각해 볼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research took a look at the subsistence and dwelling method by each pattern through the combination of stone artifacts implements excavated at the settlement's relics after classifying the dwelling site relics at central coast region in the neolithic age as the three patterns[typeⅠ~Ⅲ].
    It is thought that the settlement relics classified as Type One assumed the character of a long-term settlement in that type one settlement relics formed a large-scaled settlement and various aspects of the combined stone artifacts implements were found to exist.
    Particularly, among the excavated series of stone artifacts implements, food processing instruments take up a high ratio, which fact enables us to believe that this sort of settlement could be sustainable one through storage and processing of a lot of surplus agricultural products. Also, type two settlement relics, similar to type one settlement ones, are thought to have a character of a long-term settlement in that they assume a variety of combined aspects of stone artifacts implements, and they formed a small-scaled settlement consisting of three to five dwelling sites.
    However, food collecting implements took up a high ratio among the excavated stone artifacts implements, which fact reveals the fact the people at that time seemed to have sustained their subsistence and dwelling method focusing on rudimentary farming and food collection.
    Type three settlement relics, different from the previously mentioned two patterns, was mostly located on an island area, forming a small-scaled settlement having two to three dwellings. At the dwelling site classified as type three-one settlement relics, too many sorts of food processing instrument were excavated, so it is hard to judge it was a long-term settlement but the people at that time seemed to have sustained their subsistence and dwelling method focusing on the disposal and acquisition of food resources available nearby areas during their short-term settlement.
    In case of type three-two, the structure of a dwelling site shows difference from other patterns of dwelling site and the aspect of combined stone artifacts implements is found to be very characteristic; particularly, a multitude of excavations of fishing and hunting implements could give much weight on the fact that type three-one site is assumed to be a place for short-term[seasonal]dwelling for acquiring specific food resources or a limited behavioral pla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