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국민과 대중 사이, 신민요와 혼종의 민족주의 (Between Nation and the People: New Folk Song and Its Hybrid Nationalism)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1 최종저작일 2017.10
28P 미리보기
국민과 대중 사이, 신민요와 혼종의 민족주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민족음악학회
    · 수록지 정보 : 음악과 현실 / 54호 / 61 ~ 88페이지
    · 저자명 : 최유준

    초록

    18세기 후반 독일의 계몽주의자 헤르더는 “배우지 못한 감각적인 민중의 노래”라는 의미에서 ‘민요’라는 개념을 제기했다. 민요에 주목한 헤르더의 철학적 문제의식은 서구 근대의 이성중심적 사유가 놓치고 있었던 인간의 감성적 차원으로서의 “어두운 힘”을 포착하려는 노력의 일환이었다. ‘클래식음악’으로 지칭되는 서양 근대의 시민음악이 합리적 담론을 위한 ‘공론장’의 음악이었다면, 민요는 감성적 힘들의 “마주침과 변용”이 일어나는 ‘공감장’의 음악으로 설정될 수 있다. 한반도에서 민요 개념은 근대성과 식민성이 중첩되면서 서양의 경우보다 훨씬 더 복잡한 의미와 재현의 층위를 갖게 되었다. 한반도의 노래와 가창 양식은 19세기말에서 20세기 초반 사이에 근대적 분화 양상을 보인다. 1920년대에 새롭게 ‘민요’에 주목한 식민지조선의 엘리트들은 헤르더의 민요론을 민족주의적 방식으로 수입한 일본의 민요 담론으로부터 영향을 받았다. 식민지 조선의 음반산업계에서 부상했던 ‘신민요’는 조선 민요의 근대적 재현 공간 내에서 독특한 위치를 점하고 있었다. 식민지조선의 음반산업에서 신민요의 담당 주체는 한편으로 당시의 지적 유행 담론으로서의 민요론을 의식하면서도 자본주의적 흥행 논리를 의식하고 청중의 욕망이 움직이는 방향에 대해서도 관심을 기울일 수밖에 없었다. 그리하여 여타의 민요 양식과 달리 ‘대중가요’의 한 갈래로서 성립된 신민요는 초민족적이고 초국가적인 양식 혼종을 수용했다. 민요가 지역성을 담은 집단의 목소리를 상징하고 재현한다는 점에서, 식민지 조선의 민요와 ‘신민요’가 담당했던 재현의 공간은 21세기 문화적 전 지구화의 현 상황에 비추어 정치적으로 재해석해볼 가치가 있다.

    영어초록

    The philosophical question of J.G. Herder, who focused on “Volkslied” (folk song) as an “sensuous song of the uneducated people”, was part of the effort to capture the “dunkle Kraft” (dark force) in terms of human emotions that had been overlooked by reason-centered thinking in the modern West. While bourgeois music in the modern Western world, commonly referred to as “classical music,” was music in the “public sphere” for rational discourse, folk songs could be defined as music in the “sympathetic field,” where “recontre and affection” of emotional forces occurred. As modernity and colonialism overlapped in the notion of folk song in the Korean Peninsula, it developed a much more complex layer of meaning and representation than in the West. A modern division of songs and singing styles in the Korean Peninsula began to appear between the late 19th century and the early 20th century. The elite in colonial Joseon who first referred to “folk songs” in the 1920s were affected by Japan’s folk song discourse, which imported Herder’s notion of folk song in a nationalistic way. “New folk songs”, which emerged in the music record industry of colonial Joseon, occupied a unique place in the modern representation of Joseon folk songs. Agents of new folk songs in the music record industry of colonial Joseon had to be conscious of the folk song discourse as an intellectual discourse of the time, while recognizing the capitalist logic of commercial success and paying attention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audience’s desire was headed. In this regard, new folk songs, which were established as a branch of “popular songs” different from other folk songs, accepted a transnational hybrid style. Given that folk songs symbolize and represent voices of regional groups, the representational field of folk songs and “new folk songs” in colonial Joseon is worth reinterpreting politically in light of the cultural globalization in the 21st centu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음악과 현실”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