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칼빈의 신앙론 분석: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과의 비교 (An Analysis of Calvin’s View of Saving Faith)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1 최종저작일 2010.05
28P 미리보기
칼빈의 신앙론 분석: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과의 비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복음주의신학회
    · 수록지 정보 : 성경과 신학 / 53권 / 109 ~ 136페이지
    · 저자명 : 양낙흥

    초록

    본고는 “구원 얻는 믿음”에 대한 칼빈 및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의 관점들을 분석 고찰하고 그것을 현대 복음주의의 그것과 비교하고자 한다. 구원얻는 신앙(saving faith)에 대한 칼빈의 논의는 주로 스콜라주의자들의 견해에 대한 반박으로 이루어진다. 첫째, “맹신”에 대한 가르침, 둘째, 신앙을“동의”(assent) 정도로 취급하여 “지식에서 나오는 단순한 동의”를 믿음과 동일시하고 “자신과 마음의 확신”을 믿음의 본질에 포함시키지 않는 입장, 셋째, 구원의 확신의 가능성을 부정하고 단지 “도덕적 추측”(moral conjecture)에 의해 구원의 여부를 판단하는 입장이 그것이다.
    칼빈에 의하면, 믿음의 정의는, “우리를 향한 하나님의 선의에 대한 확고하고 확실한 지식으로, 그리스도 안에서 값없이 주어진 약속의 진리에 근거한 것이며, 성령에 의해 우리 정신에 계시되고 우리 마음에 인 쳐진 것”이다. 첫째, 칼빈은 스콜라주의자들이 “맹신”(implicit faith)이라는 것을 만들어내었다고 비난한다. “맹신”은 구원의 진리에 대한 탐구 작업을 교회에 일임해 버리고 교회가 가르쳐 주는 것은 모두 진리로 받아들일 준비가 되어 있다는 태도이다. 칼빈에 의하면, 믿음은 “지식”이다. 우리는 “하나님과 그리스도에 대한 지식,” 더 구체적으로, “그리스도께서 이루신 화해로 인해 하나님이 우리의 자비로우신 아버지”라는 지식이다. 칼빈은, 믿음과 관련하여일차적으로 중요한 것은 “약속”이라고 주장한다. “믿음은 약속에서 출발하고 약속 안에 쉬고 약속으로 끝난다. 왜냐하면 믿음은 하나님 안에서 생명을 찾는데 그 생명은 자비의 약속, 즉 값없이 주어진 약속 안에서 발견되기때문이다.”여기서 칼빈이 말하는 “지식”cognito은 단지 지성적 인식(notitia, scientia)이 아니다. 칼빈에게 있어 cognitio는 단지 notitia나 혹은 scientia, 혹은 “단순한 지성적 이해” 이상의 “전인”(the whole person)에 관계된 것이었다.
    cognitio로서의 믿음에 대한 칼빈의 개념은 지성과 의지를 망라하는 것이었다. 그에게 있어 “믿는다”는 것은, “단지 하나님과 그리스도에 관해 기록되고 말해진 모든 것들을 참되다고 간주하는 것만이 아니라, 모든 소망과 신뢰를 하나님과 그리스도에게 두는 것”이었다.
    칼빈은 “동의”에 의해 성경이 제공하는 것을 받을 수 있으며 그 동의가“믿음”이라는 스콜라적 개념을 부정했다. 칼빈에게 있어 믿음은 “머리”에의한 “이해 ”(comprehension)보다는 “마음”의 확신 (assurance)에 더 가깝다.
    마음, 즉 의지와 그 감정들(affections)이 그 진리를 신뢰 속에서 붙잡을 때그 진리는 구원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그 개인에 의해 사용된다. 칼빈이 볼때 “마음의 확신”이야말로 “믿음의 으뜸가는 부분”이었다. 그는 마음으로믿는 것이 머리로 믿는 것보다 훨씬 어렵다고 보았다. 마음의 확신의 필요불가결성과 우월성에 대한 이러한 강조의 결과 칼빈은 구원의 확신이 없는자는 신자가 아니라고 선언한다. 칼빈에 의하면, 확신은 참 믿음의 본질적요소였다. 게다가 그는 믿음에는 확신의 “느낌”이라는 감정적 요소가 있다고 주장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칼빈은 구원의 확신이 있는 신자 속에도 의심과 불안이 있다고 주장한다. 혹자는 원칙과 현실을 구분함으로써 그 외견상의 모순을 설명하려 한다. 원칙적으로 믿음은 확실하고 흔들림 없는 것이어야 하지만 현실적으로는 모든 믿음에 의심과 불신이 섞여 있다는 것이다. 칼빈이믿음의 “당위”(ought)와 “현실”(is)을 구분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그것은 칼빈에 대한 잘못된 해석이다. 신자는 자신을 향한 하나님의 자비에 대해 확실한 지식을 가지고 있으나 이따금 시험이 공격할 때, 즉 범죄하여 양심에죄의식을 느끼거나, 고난을 당할 때 일시적으로 확신이 흔들리고 의심이나불신이 엄습한다. 자신에게 닥치는 환난이 자신의 범죄에 대한 하나님의 심판이라고 생각하는 것이다. 그러나 칼빈은 성도 속에 있는 불신과 의심의보다 근본적 이유를 인간이 본성적으로 믿음을 가지기 어려운 반면 불신하기 쉬운 존재라는 것에서 찾는다. 칼빈은, 그러나, 이러한 시험에도 불구하고 믿음은 궁극적으로 승리한다고 주장한다.
    칼빈이 보기에 스콜라주의 신학이 단지 “도덕적 추측”(moral conjecture)에 의해 구원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아주 위험한 일이었다. 왜냐하면, 사람마다 “자신은 그것 [하나님의 은혜]를 받기에 부적합하지 않다고 여기기 때문”이었다. 또 누군가가 현재로서는 자신의 모습을 볼 때 자기가 은혜 안에있는 것처럼 생각될지 모르나 내일은 자신이 스스로에게 어떻게 보일지 알수 없기 때문이라는 것이었다. 칼빈이 구원얻는 믿음의 존재에 대한 일차적증거로 도덕성을 제시하는 것에 반대한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그것을 이차적 증거로 사용하는 것까지 그가 반대했던 것은 아니다. 칼빈은 때로 선행이 칭의의 이차적 증거가 된다는 점을 인정했다.
    믿음과 확신의 관계에 대해 칼빈의 견해와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 사이에 공통점과 상이점이 공존한다. 양자 모두 믿음이 성장하는 것이라는 점을인정한다. 단지 칼빈은 약한 믿음에서 강한 믿음으로, 웨스트민스터 고백은그것과 함께 작은 믿음에서 큰 믿음으로, 그리고 믿음에서 확신으로의 성장을 말한다. 그러나 양자 사이의 차이도 있다. 칼빈은 확신없는 믿음은 믿음이 아니며 확신이 없는 신자는 참 신자가 아니라고 단정한다. 즉 확신은 믿음의 필수적이며 본질적 구성 요소이다. 그러나 후자는 확신이 신앙의 본질이 아니라고 선언한다. 즉 “진실한 신자”라도 확신을 얻기까지 “많은 어려움들”을 겪으면서 “오래 기다려야”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칼빈의 신앙론에 비추어 볼 때 현대 복음전도에는 몇 가지가 결여되어있다. 즉 현대 복음전도론은 믿음의 본질적 요소로 지적, 혹은 의지적 동의까지만을 강조한다. 이것은 칼빈 당시의 스콜라주의 신앙론에 더 가깝다.
    즉 현대 복음전도론에는 회심과 관련하여 “마음”(heart)의 확신(assurance)이라는 요소에 대한 가르침, 혹은 참 믿음의 본질로서의 “신뢰”(fiducia)에 대한 강조가 결여되어 있다. 칼빈은 구원얻는 믿음을 가지게 되기 위한 전제로 인간의 마음에 “인치심”과 “조명”을 주시는 성령의 역할을 강조했다. 그러나 현대 복음전도론에는 그것에 대한 강조가 종종 누락된다. 인간의 역할과 책임만을 배타적으로 강조하여 “구원얻는 믿음”의 소유가 단지 자연인의 의지적 결단에 달려 있는 것처럼 가르친다는 것이다.

    영어초록

    This essay aims to analyze Calvin’s view of the saving faith and compare it with that of the Westminster Confession of Faith and modern evangelicalism. Calvin’s discussion of faith is composed of his opposition to the three points of scholastic understanding of faith.
    Calvin’s definition of faith is “a firm and certain knowledge of God’s benevolence toward us, founded upon the truth of the freely given promise in Christ, both revealed to our minds and sealed upon our hearts through the Holy Spirit.”First, Calvin objects to the Scholastic concept of “implicit faith.”Implicit faith is, according to Calvin, the passive attitude to entrust all the work of searching for the truth of salvation to the church pronouncing himself to be ready uncritically to accept all the teachings of the church. In Calvin, the faith is knowledge that thanks to the reconciliation of Christ God is our merciful Father. With regard to faith,Calvin asserts, the thing of the primary importance is promises: faith finds the life in God and the life is found in the promise of mercy. The knowledge (cognitio) mentioned here by Calvinist is not just intellectual recognition (notitia, scientia) but includes the whole person. It not only admits to be true all that is said and recorded of God and Christ but place all hope and trust in God and Christ.
    Calvin opposed the scholastic teaching that by assent we can accept what the Scriptures offers and that this assent is the saving faith. The faith in Calvin is nearer to the assurance of the heart than to the comprehension of the head. When the heart, that is, the will and affections grasps the truths in trust, the truth is used by the individuals in a way to offer the salvation. In Calvin’s view the assurance of the heart was the chief part of faith. He saw that believing by the heart is much more difficult than believing by the brain. As a result of this stress on the superiority of the assurance of the heart, Calvin proclaims that he who does not have it is not a Christian. In other words, the assurance was the essence of true faith. Furthermore, he argues that there is an element of feeling in faith, feeling of full assurance.
    Nevertheless, Calvin maintains that there is doubt and anxiety in the believers who have the assurance. Some scholars such as Joel Beeke attempt to explain the apparent contradiction by distinguishing the ideal and the reality: in principle the faith ought to be certain and unwavering,but in reality doubt and distrust is mixed with the faith. This author finds that it is a mistaken interpretation. Believers really possesses the certain knowledge of God’s mercy. However, when he is assaulted by temptations, the assurance is shaken occasionally: when he feels guilty after committing some sins, or when he suffers from some tribulations,he feels that his trials have been caused by God’s judgement. Calvin finds, however, the more fundamental reasons of doubt and unbelief in the fact that by nature humans are beings that are hard to believe but easy to distrust. Calvin asserts, however, that notwithstanding this temptations faith ultimately triumphs: the faith is so deeply rooted in the saints that it can never be completely rooted out.
    In Calvin’s view, it was very dangerous for the scholastic theology to judge one’s salvation by moral conjecture. No one deems oneself unworthy of salvation. And one’s sense of oneself is changeable according to the time. It is true that Calvin opposed to regarding the morality as the primary evidence of saving faith. But he did not objected to using it as a supplementary means of judging one’s state of soul. In some occasions he admitted the good works to be the secondary evidence of justification.
    With respect to the relationship between faith and assurance, there are both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between Calvin and the Westminster Confession of Faith. Both recognize that faith grows: in the former, from the weak faith to the strong, in the latter, from the small to the bigger.
    The main divergency between the two is regarding whether the assurance is the essence of the faith: the former says “yes,” while the latter, “no.”“This infallible assurance doth not so belong to the essence of faith but that a true believer may wait long and conflict with many difficulties before he be partaker of it.”In the light of the Calvin’s doctrine of faith, we find that some aspects are missing in modern evangelism. Modern evangelists tend exclusively to emphasize the intellectual and voluntary assent as a condition for salvation. This seems to approach to the scholastic position of faith in Calvin’s time. In modern evangelism are lacking such elements of faith as the assurance or trust of heart. Calvin stressed as the prerequisite of the saving faith the role of the Holy Spirit who gives revelation and sealing on the heart. Modern evangelism underlines human responsibility and role so one-sidedly that the audiences may think that the “saving faith” entirely depends on one’s decis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