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신소설 여성인물의 탈주 양상과 가치유형 (Escape of Female Characters and Their Value Domain in Sinsoseol)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1 최종저작일 2015.12
27P 미리보기
신소설 여성인물의 탈주 양상과 가치유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비평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비평문학 / 58호 / 179 ~ 205페이지
    · 저자명 : 장노현

    초록

    신소설에는 여성의 탈주 서사가 자주 등장한다. 본고는 여성인물의 탈주가 중심 서사를 이루는 <삼각산>과 <옥련당>을 대상으로 하여, 신소설 속 여성인물의 탈주 양상과 그들이 추구하는 가치유형을 살폈다. 탈주 여성의 가치지향을 설명해 냄으로써 당대인들의 의식구조나 당대의 문화코드 등 개화기의 문화적 지형을 재구성하는 데 도움이 되고자 했다. 가치지향의 분석에는 슈와츠(Shalom H. Schwartz)의 ‘보편적 가치이론(Universal Value Theory)’을 적용했다.
    <옥련당>의 옥형의 탈주는 타율적 상황과 조건에서 시작된다. 신소설 여성인물들이 대개 계모나 시어머니를 비롯한 주변인물의 박해와 음모, 혹은 부모의 혼인 강제 등을 피해 탈주하는 것과 유사한 패턴이다. 그런데 <삼각산>의 심씨는 이와는 다른 양상을 보인다. 그녀는 어느날 연극장 구경을 나섰다가 집으로 돌아가지 않고 탈주를 시작한다. 그녀는 연극장 구경을 가기 위해 시어머니에게 거짓말을 하고 태어날 아이를 위해 마련해 둔 돈을 거리낌 없이 사용한다. 전자의 옥형의 행동은 슈와츠의 가치유형으로 볼 때 그 자체가 ‘자율’(Self-Direction)적이지도 않고 스스로 설정한 목표를 향하는 ‘성취’(Achievement) 지향성을 보이지도 않는다. 반면 연극장 구경에 나섰던 심씨는 스스로의 욕망과 판단을 따르는 ‘자율’의 가치유형을 보이며 나아가 충동을 자제하지 않고 사회적 규범과 기대를 위반하면서까지 삶에서 흥분과 진기함을 추구하는 ‘자극’(Stimulation)의 가치유형을 따르고 있어서, ‘변화에 개방’(Openness to Change)적인 가치 성향을 보인다고 할 수 있다.
    탈주의 여정이 시작되었을 때, 옥형은 어떤 능동적 행위도 해내지 못한다. 단지 수동적인 입장에서 우연한 상황들과 조우할 뿐이다. 그녀가 조우하는 우연한 상황이란 여성성의 훼손 즉 겁간의 위험 상황이다. 이를 회피하기 위해 그녀는 남장을 선택하는데, 남장은 유교적 가부장제를 거스르지 않고 오히려 존중하고 인정하는 행위이다. 기존의 관습과 사상을 존중하는 이런 행위들로 볼 때 옥형은 슈와츠의 가치유형 중 ‘준수’(Conformity)와 ‘전통’(Tradition)의 가치유형을 가진 인물로 해석된다. 반면 <삼각산>의 심씨는 유교적 가부장제 하의 정체성을 보존하고 지켜야 하는 무슨 특별한 것으로 생각하지 않는다. 자신의 기존 삶과는 전혀 이질적인 새로운 대상과의 연결을 두려워하지 않고, 심지어는 출가를 해서라도 과거의 삶으로 다시 돌아가는 것을 완강히 거부한다. 심씨는 이처럼 기존 체제와 정해진 틀에 맞추는 가치를 거부함으로써 ‘변화에 개방’적인 가치지향을 유지해 나간다.
    탈주 여성에게 감시자와 추적자가 따라붙게 되면 탈주는 끝이 난다. <옥련당>에서는 윤병호와 여상준이 추적자로 등장하여 탈주 중인 옥형과 홍련을 추적한다. 오랜 추적 끝에 두 사람은 위험 상황에 처한 옥형과 홍련을 극적으로 구해낸다. 이런 스토리로 보면 그들은 탈주 여성을 돕고 보호하는 구원자로 이해될 수 있다. 하지만 그들의 추적은 옥형과 홍련의 탈주 여정을 따라잡아 그들을 기존의 유교적 가부장 체제로 복귀시키고 예전의 질서를 회복시키는 데에 종국적 목적이 있음을 직시할 필요가 있다. 이는 <삼각산>의 경우도 같다. 심씨의 남편 초현이 추적자로 등장하여 그녀를 탈주 이전의 자리로 되돌려 놓는다. 이처럼 추적자들은 기존 체제의 균열을 봉합하는 데만 관심을 갖는다. 이런 추적자들 때문에 신소설 서사는 훨씬 퇴행적 서사로 인식된다. 그런데 <삼각산>은 추적이 완료되는 곳에서 서사가 종결되지 않는다. 제자리로 복귀했던 심씨가 러일전쟁을 계기로 재탈주를 시도하는 것이다. 새로운 탈주를 통해 심씨의 ‘변화에 개방’적인 가치지향이 어떻게 다시 구체화될지 기대를 갖게 한다. 하지만 재탈주의 성격이 구체화되기 전에 작품은 갑작스럽게 끝을 맺고 하편은 이어지지 않는다. 이로 볼 때 <삼각산>이 간행된 1912년 당시는 봉건적 가부장제를 벗어나 근대로 탈주하는 진정한 의미의 근대적 주체가 작품화되기에 조금 이른 시기였다는 사실을 다시 확인할 수 있다.

    영어초록

    Escape narrative is popular in Sinsoseol. This paper is an analysis of Samgaksan and Ongnyeondang in which escape narrative constitutes the nucleus of the story. I studied escape of female characters and their value domain through this analysis. I grouped escape pattern of female characters in Sinsoseol into two categories, which is typical case and untypical case. The typical case represents by Ongnyeondang and the untypical case is in Samgaksan. I applied Universal Value Theory designed by Shalom H. Schwartz to explain the characters’ value domain.
    I compared and analyzed the beginning of escape, the process of escape, and the end of escape which are described in the two works. First, a review of the beginning of escape, while Okhyeong’s escape in Ongnyeondang begins under involuntary conditions, Simssi of Samgaksan executes escape on her own active judgment. Simssi have the value domains of Self-Direction and Stimulation and this is completely different from that of Okhyeong.
    Second, while Okhyeong tries to keep her feminine identity which Confucian patriarchy impose on, Simssi doesn’t cling to the past identities but tries to become other. Simssi keeps Openness to Change through her refusal to conform to the existing system.
    Thirdly, Okhyeong reverts to the existing system by being captured by pursuer but so is Simssi. The pursuers in Sinsoseol believe in the value domain of Tradition, have an inclination toward Conservation. However Simssi executes re-escape after her return, which is major difference from other escape narrativ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평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