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경피적 신생검 후 적절한 관찰기간 (How Long Should We Monitor the Patient for Bleeding after Percutaneous Renal Biopsy?)

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1 최종저작일 2011.09
9P 미리보기
경피적 신생검 후 적절한 관찰기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신장학회
    · 수록지 정보 :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 30권 / 5호 / 475 ~ 483페이지
    · 저자명 : 박재윤, 이성우, 이하정, 박혜인, 구호석, 이향림, 선휘경, 김동기, 김연수, 안규리, 한진석, 김성권, 주권욱

    초록

    목적: 신생검의 가장 중요한 합병증인 심각한 출혈에 대처하기 위하여 신생검 후 24시간 이상의 관찰 기간을 갖는 것이 일반적인 진료 행태이다. 그러나, 환자의 편의와 비용절감을 위하여 일부에서 신생검 후 당일 퇴원이 시행되고 있으며 그 안전성에 대한 논란이 최근에 대두되고 있다. 이에 연구자들은 신생검을 시행한 환자들에서 순차적인 도플러 초음파를 시행하여 출혈성 합병증의 발생 빈도와 발생 시점, 발생의 위험인자를 파악하여 적절한 관찰기간 결정의 기초 자료로 삼고자 하였다.
    방법: 2009년 10월부터 2010년 4월까지 서울대학교병원 신장내과에서 경피적 신생검을 받은 신장이식 환자를 제외한 모든 환자 100명을 대상으로 전향적 관찰연구를 시행하였다. 신생검을 위한 입원은 1박 2일을 원칙으로 하였고, 입원 당일 오후 실시간 초음파 유도 하에 경험있는 신장내과의사가 16게이지 spring-loaded biopsy needle을 사용하여 좌측신장의 하부 1/3에서 경피적 신생검을 시행하였다. 생검 직후와 8시간, 24시간, 1주 후에 신장 도플러 초음파를 시행하여 합병증 발생 여부, 시기, 진행 정도를 확인하였다. 신생검 후 합병증은 육안적 혈뇨, 초음파로 명확히 확인 가능한 혈종 또는 혈관이상을 경증 합병증으로, 수혈 또는 방사선학적 중재술, 수술이 필요한 경우를 중증 합병증으로 정의하였다.
    결 과: 출혈성 합병증은 총 32명 (32.0%, 육안적 혈뇨 10명, 혈종 26명, 혈뇨와 혈종 모두 4명)에서 관찰되었으며 중증 합병증은 1명에서 관찰되었다. 중증 합병증이 발생한 환자의 기본 혈청 크레아티닌은 6.0 mg/dL였다. 육안적 혈뇨가 발생한 시점은 신생검 직후부터 8시간까지 4례 (40.0%), 8시간 후부터 24시간까지 6례 (60.0%)에서 발생하였다. 혈종이 발생한 시점은 신생검 직후부터 8시간까지 19례 (73.1%), 8시간 후부터 24시간까지 4례 (15.4%)에서 발생하였고, 퇴원한 이후에 3례 (11.5%)에서 새로 발생하였다. 혈청 크레아티닌과 체질량지수가 출혈성 합병증의 발생과 연관성을 보였으나 (p< 0.05), 생검 시 천자횟수, 부종의 정도, 단백뇨 와는 관계가 없었고, 다변량 분석을 시행한 결과 혈청 크레아티닌만 유의한 위험인자 (p=0.007)로 분석되었다. 생검 후 8시간에서 24시간까지 9례 (28.1%)에서 출혈성 합병증이 발생하였고, 모두 경증 합병증이었다.
    결 론: 활력 징후와 신기능이 안정되고, 알려진 위험인자를 가지지 않은 선택적인 환자를 대상으로 생검 후 8시간동안 경과 관찰한 뒤 퇴원하는 것을 고려해볼 수 있다. 그러나 비용-효과적인 측면에서 당일 신생검이 야간 입원 관찰하는 것보다 우월하다는 것을 증명하고, 더욱 안정성을 확보하려면 향후 더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다양한 방향의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영어초록

    Purpose: Percutaneous renal biopsy (PRB) may become complicated by serious bleeding. Overnight observation after renal biopsy is a standard safety strategy. Although it was recently reported that outpatient observation is safe, appropriate observation time after the renal biopsy is still in debate. We evaluated prospectively the incidence, onset time and risk factors of hemorrhagic complications to determine the optimal duration of observation after PRB.
    Methods: We enrolled 100 patients who underwent renal biopsy from October 2009 to April 2010 using the standard strategy. The biopsy was performed by two experienced nephrologists using 16-gauge spring-loaded biopsy gun under real-time ultrasound guidance. Serial color Doppler ultrasound was done immediately, 8 hours, 24 hours and 1 week after the PRB.
    Results: The 32 patients experienced hemorrhagic complications (32.0%, 10 with gross hematuria, 26 with hematoma, and 4 with both), and 1 major complication occurred 3 days after PRB. Baseline serum creatinine of the patient with the major complication was 6.0 mg/dL. Serum creatinine and BMI were higher in complication group (p<0.05). Number of needle passes, blood pressure, and degree of edema and proteinuria were not related to the complication. In multivariate analysis, serum creatinine was the only significant risk factor of complication (p=0.007). Hemorrhagic complications developed in 9 patients (28.1%) between 8 and 24 hours after PRB, all of which were minor.
    Conclusion: The 8 hours’ observation time after renal biopsy may be deemed appropriate for stable patients with normal creatinin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