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증의 급성신손상 환자에서 지속적 신대체요법 대체치료로서의 지속성 순화 혈액투석 (Sustained Low-Efficiency Dialysis as an Alternative Therapy to Continuous Renal Replacement Therapy in Critically Ill Patients with Acute Kidney Injury)

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1 최종저작일 2011.09
7P 미리보기
중증의 급성신손상 환자에서 지속적 신대체요법 대체치료로서의 지속성 순화 혈액투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신장학회
    · 수록지 정보 :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 30권 / 5호 / 516 ~ 522페이지
    · 저자명 : 신용봉, 조장희, 박자용, 최지영, 박선희, 김찬덕, 김용림

    초록

    목 적: 지속적신대치요법 (continuous renal replacement therapy, CRRT)은 중증의 급성신손상환자에서 흔히 사용되는 치료법이지만 비용이나 편리성에서 시행상 단점들을 가지고 있다. 최근 몇몇 연구에 따르면 지속성순화혈액투석 (slow low- efficiency dialysis, SLED)은 CRRT의 이러한 단점을 보완 할 수 있는 안전한 치료법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는 SLED가 CRRT의 대체 치료법으로 이용 될 수 있는가에 대하여 효율성, 안전성, 비용, 및 편리성 등을 전향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방 법: 2003년부터 2005년까지 SLED (n=25)와 CRRT (n=21)로 치료받은 45명의 급성신손상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치료방법은 환자의 상태 보다는 치료장비의 가용성과 치료인력에 의존하여 무작위로 할당되었다. 통계방법은 Mann- Whitney rank-sum test, Fisher's exact test 및 chi- square test가 사용되었으며 모든 자료는 중앙값과 25-75 percentile로 기술되었다.
    결 과: 중환자실에서의 Acute Physiology and Chronic Health Evaluation (APACHE) II 점수는 SLED 27점 (25-75 percentile 범위 17-32점), CRRT 26점 (범위 19-31점)이었다 (p=NS). 두 군에서의 평균 동맥압은 투석 전 (SLED 83 vs CRRT 85 mmHg), 투석 중 (90 vs 84 mmHg), 투석 후 (88 vs 80 mmHg) 각각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저혈압의 발생빈도도 두 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치료 일수당 초여과양은 SLED 2,000 mL, CRRT 2,400 mL로 두 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하루 사용된 헤파린양은 SLED 2,900단위, CRRT 6,000단위로 CRRT군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p=0.065) 총 응고된 횟수는 두 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원내사망률도 SLED 56%, CRRT 42.9%로 두 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비용면이나 편리성에서 SLED가 CRRT에 비해 우수하였다.
    결 론: 급성신손상을 가진 중증의 환자에서 SLED는 기존의 CRRT을 대체 할수 있는 유용한 치료방법으로 생각된다.

    영어초록

    Purpose: Although continuous renal replacement therapy (CRRT) is commonly used as a renal replacement therapy in critically ill patients with acute kidney injury, it has some disadvantages such as inconvenience, intensive labor, expensiveness and high bleeding risk. Recent studies have shown that sustained-low efficiency dialysis (SLED) can overcome these shortages of CRRT and also has the advantages of CRRT. We prospectively compared the efficiency, safety, cost and convenience between SLED and CRRT, and evaluated whether SLED could be a complementary substitute to traditional CRRT.
    Methods: Forty-six critically ill patients with acute kidney injury (AKI) from 2003 to 2005 were treated with SLED (n=25) and CRRT (n=21). The modality was tended to be selected randomly and based largely on availability of equipments and not on the clinical status of patients. Mann-Whitney rank-sum test, Fisher's exact test and chi-square test were used for statistics, and data were described as median value, range from 25th to 75th.
    Results: The Acute Physiology and Chronic Health Evaluation (APACHE) II score at the point of ICU admission was 27 for SLED (range 17-32, 25-75th percentile) and 26 for CRRT group (range 19-31) (p= N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mean arterial blood pressure when measured pre-dialysis (83 for SLED vs. 85 for CRRT; p=NS), mid-dialysis (90 vs. 84; p=NS) and at the end of treatment (88 vs. 80; p=NS). Incidences of hypotension also did not differ between the two groups (p=NS). Ultrafiltration volume per treatment day was similar in two treatment modalities (2,000 mL for SLED vs. 2,400 mL for CRRT; p=NS). Heparin was used to thirty-one patients (SLED: 18 patients, CRRT: 13 patients). The dosage of heparin tended to be lower in SLED (2,900 unit per day for SLED vs. 6,000 unit per day for in CRRT, p=0.065). Total clotting number was 4 for SLED and 11 for CRRT (p=NS). There was also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hospital mortality between the two groups (56% for SLED vs. 42.9% for CRRT; p=NS). SLED was superior to CRRT in the aspect of cost and convenience.
    Conclusion: Our data suggest that SLED can be used as a useful substitute to traditional CRRT in critically ill patients with AKI.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7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4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