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동학·천도교에서 ‘천(天)’ 개념의 전개 — 천에서 신으로, 신에서 생명으로 — (The Development of Chun(天) Concept in Donghak and Chundogyo — From Chun (天) through Sin (神) to Saengmyung (生命) —)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1 최종저작일 2012.12
38P 미리보기
동학·천도교에서 ‘천(天)’ 개념의 전개 — 천에서 신으로, 신에서 생명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림대학교 한림과학원
    · 수록지 정보 : 개념과 소통 / 10호 / 135 ~ 172페이지
    · 저자명 : 허수

    초록

    동학·천도교의 ‘천(天)’ 개념을 살펴보면 제1기(1860∼1904)에는 ‘천’에 대한개념화가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사회개혁과 밀접하게 연관된 ‘개벽’ 등의 용례는 상대적으로 매우 적은 빈도를 보였다. ‘천도(天道)’에 내포된 종교적 보편성은 ‘동학’이라는 지역성에 의해 제약되었다.
    ‘동학’을 ‘천도교’로 개칭한 초기인 제2기(1905∼1917)에는 교단 차원에서 ‘천도’라는 교명의 유래를 설명하는 데 곤란함을 노정하면서도 큰 흐름은 서구근대의 종교 개념이나 보편적인 발달론 등을 수용하는 데로 나아갔다. 근대적 신관(神觀)을 받아들이면서 기존의 ‘천’은 ‘신’으로 바뀌었고, 이것은 ‘우주의 대활정(大活精)’으로 설명되었다.
    제3기(1918∼1933)에는 천도교의 활동이 사회로 확산되면서 ‘천·신’ 개념이 세속화·정치화되었다. 이를 주도한 이돈화는 ‘생명’과 ‘지상천국’ 개념을 강조하면서 사회주의 등 여타 경쟁적 정치 이념과 스스로를 차별화하고자 노력하였다.

    영어초록

    The concept of Chun(天, Heaven) in Donghak and Chundogyo can be divided into three periods. In the first phase(1860∼1904), it had not been conceptualized yet, and terms like ‘gaebyeok’, which was closely linked to social reformation, were used relatively rarely. The universal characteristics implicit in cheondo(天道) were constrained by the regional nature of Donghak.
    In the second phase(1905∼1917), when the term ‘Chundogyo’ took the place of ‘Donghak’, there was a general trend in which the religious body accepted Western religious concepts and the theory of universal development, though they found it difficult to explain the origin of its religious name, ‘Chundo’. They embraced the modern viewpoint on God and replaced the existing ‘Chun’ with ‘God’, which was then defined as the ‘daehwaljeong (大活精) of the universe’.
    In the third phase(1918∼1933), there was a extension into the broader society, and the concept of ‘Chun’ or ‘God’ became secularized and politicized. Lee Don-hwa, a leading exponent of this movement, endeavored to differentiate it from other competing political ideas like socialism by emphasizing the concepts of ‘saengmyeong (生命)’ and ‘jisangcheonguk (地上天國)’.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개념과 소통”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