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신회의「知」의 철학에 대하여 (About Shén-huì(神會)'s philosophy of Zhī(知))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1 최종저작일 2010.08
29P 미리보기
신회의「知」의 철학에 대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불교학보 / 55호 / 245 ~ 273페이지
    · 저자명 : 정유진

    초록

    신회는 『화엄경』, 『법화경』, 『열반경』, 『승천왕반야경』 등에서 설하는 자연지, 근본지, 무사지를 자신의 「知」의 철학을 입론하는데 근거로 삼고 있다.
    그는 위의 경전상에서 설하는 자연지를 체와 용의 입장에서, 그「知」는 無念體上에서, 無住體上에서, 寂靜體上에서, 空寂體上에서, 般若波羅蜜體上에서 각각 일어나 본체가 공적한 사실을 깨닫는다고 강조한다. 환언하면 마음의 본체가 공적한 사실을 깨닫는 것은 般若의 知가 아니면 안 된다는 뜻이다. 이와 같이 신회는 마음의 본체보다는 오히려「知」의 작용에 중점을 두고 있는 듯 하지만 그는 무념과 자연지를 통합하여 하나로 만든다. 그 결과 「知」는 無念心의 知, 無住心의 知, 空寂心의 知가 되는 것이다.
    신회는 자신의 사상을 여러 가지 다른 표현을 사용해서 주장하지만 언제나 그의 사상은「知」라는 한 글자에 초점이 맞추어진다. 다시 말해서 그가 주장하는 見性이라든가, 頓悟라든가, 自然智라든가, 定慧一致라든가, 無念(明鏡)이라는 것은 모두 표현만 다를 뿐 같은 것, 즉「知」를 가리키는 말이다. 그는 이「知」라는 한 글자를 모태로 하여 자신의 선사상을 확립한 것이다.
    그런데 그는 초기에 자신의 선사상을「知」로써 확립하기는 했지만 이「知」는 너무나 추상적이고, 냉철하기 때문에 수도자들이 체험하기에 쉬운 것이 아니었다. 그래서 그는「知」에서 「見」으로 자신의 사상을 심화발견시켜 나간다. 그 결과 최종적으로 「見」의 一字에 전생애를 다 바쳐 자성을 눈으로 직접 보고 확인할 수 있는 <견성>사상을 도출해 낸 것이다. 견성사상은 『열반경』의 불성상상을 토대로 한 신회의 고유한 사상이다.

    영어초록

    Shén-huì(神會) created his philosophy of Zhī(知) based on the theory of Zì-rán-zhì(自然智), Gēn-běn-zhì(根本智) and Wú-shī-zhì(無師智) in Huá-yán-jīng(華嚴經), Fǎ-huá-jīng(法華經, Niè-pán-jīng(涅槃經), Shēng-tián-wáng-bō-rě-jīng(勝天王般若經), etc.
    He grasps Zì-rán-zhì(自然智) in the above Sutras from the point of view of Tǐ(體) and Yòng(用). And he emphasizes that after the Zhī(知) arises from Wú-niàn-tǐ(無念體), Wú-zhù-tǐ(無住體), Jì-jìng-tǐ(寂靜體), Kōng-jì-tǐ(空寂體), Bō-rě-bō-luó-mì-tǐ(般若婆羅蜜體), one comes to realize the truth that substance is completely empty. In other words, realizing the truth that the substance of mind is completely empty means that one can not realize without Zhī(知)[Jì-zhī(寂知)] of Bō-rě(般若). Thus we can see that Shén-huì(神會) puts a greater focus on functions of Zhī(知) than on the substance of mind. And he combined Wú-niàn(無念) and Zì-rán-zhì(自然智) into one. As a result, Zhī(知) is to be Zhī(知) of Wú-niàn-xīn(無念心), Zhī(知) of Wú-zhù-xīn(無住心), Zhī(知) of Kōng-jì-xīn(空寂心).
    Although Shén-huì(神會) argues for his Zen thought by using many different expressions, his thought is focused on one letter of Zhī(知). In other words, Jiàn-xìng(見性), Dùn-wù(頓悟), Zì-rán-zhì(自然智), Dìng-huì-yī-zhì(定慧一致), Wú-niàn(無念)[Míng-jìng(明鏡)] etc for which he argues are just different ways of expression and same things. Namely they equally mean Zhī(知). In short, he established his Zen thought based on the one letter of Zhī(知).
    Initially he established his Zen thought by means of Zhī(知), but because this Zhī(知) is very abstract and cold-blooded, it was not easy to experience. So he deepened and developed his own thought from Zhī(知) to Jiàn(見). As a result, he devoted his whole life to the letter of Zhī(知), and finally drew the thought of Jiàn-xìng(見性) that one can see and confirm Zì-xìng(自性). The thought of Jiàn-xìng(見性) is a Shén-huì(神會)'s unique thought based on the thought of Fó-xìng(佛性) in Niè-pán-jīng(涅槃經).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8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5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