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예비유아교사의 급식지도 중요도 인식과 식습관 및 영양지식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Meal Time Guidance in the Institution, Dietary Habits, and Nutrition Knowledge)

1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1 최종저작일 2022.03
15P 미리보기
예비유아교사의 급식지도 중요도 인식과 식습관 및 영양지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안전문화연구 / 15호 / 161 ~ 175페이지
    · 저자명 : 권혜진

    초록

    유아교사는 영유아 교육기관에서 영유아들과 많은 시간을 함께 생활하고 식사지도 역할을 담당하면서 영유아 식습관 형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존재이다. 그럼에도 교사들은 급식지도에서 영유아의 편식행동 등으로 어려움을 느끼고 있고 부적절한 지도 실제로 이어지고 있는 사례도 보고되고 있다. 교사들이 영양지식과 식습관 인식이 높을수록 영양교육과 식습관 지도에 긍정적 태도를 형성하므로 교사의 영양지식과 식습관 인식을 높이는 일이 필요하다. 특히 예비교사 시기는 영유아 교육현장에서 급식지도의 적절한 교사역할을 수행하고 모델을 제공하기 위해 중요하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영양지식과 식습관, 영유아 급식지도 인식을 살펴보는 봄으로써 예비교사교육과 유아교육현장 급식지도 운영의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A지역에 소재한 4년제 유아교육과 재학중인 예비유아교사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153부가 회수되고 128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자료는 SPSS 23.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t-검정을 실시하였다. 또한 급식지도에 대한 예비유아교사 인식을 심층적으로 조사하기 위하여 6명의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전사하고 범주화하여 질적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급식지도 중요도 인식으로 ‘식사 전 손 씻기’는 가장 높게 나타난 반면 ‘정해진 시간에 먹기’는 가장 낮게 나타났다. 예비유아교사의 급식지도의 중요도 인식과 식습관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식사 전 ‘손 씻기’, ‘감사 인사하기’, 식사 중 ‘바른 자세로 먹기’ 등은 예비유아교사의 급식지도 중요도 인식이 식습관보다 높게 나타났다. 반면, ‘숟가락, 젓가락 바르게 사용하기’ 등은 급식지도 중요도 인식이 식습관보다 낮게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들은 유아교육기관 급식지도 교사로서 균형 있는 영양섭취를 위해 유아에게 골고루 먹도록 지도하는 것과 먹기 싫은 음식을 억지로 먹지 않도록 지도하기 위해 어떻게 해야 하는지, 두 가지 지도 목표가 서로 상충되는 것은 아닌지 딜레마를 느끼고 있었다. 또한 편식하는 유아, 느리게 먹는 유아, 먹지 않으려는 유아 등의 문제는 유아 급식지도의 단편적인 문제가 아니라 유아 급식지도 운영과 관련되어 있다는 인식을 보였다. 셋째, 예비유아교사의 영양지식 점수는 대체로 양호한 편으로 나타났다. 예비유아교사가 기초영양학 지식과 영유아 영양지식에서 높은 정답률을 보이는 동시에 오답률도 상당한 비율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예비유아교사의 영양지식 증진의 필요성, 유아 급식지도를 위한 교사의 식습관 점검, 유아 편식행동 맥락을 논의하였다.

    영어초록

    Early childhood teachers spend a lot of time together with young childre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nd they play a role in providing meal guidance. However, teachers are experiencing difficulties in guiding the unbalanced eating habits of young children and there are cases inappropriate guidance practices in the meal time. The higher the recognition of nutrition knowledge and dietary habits, the better the importance of nutrition and dietary habits and formation of positive attitudes toward nutrition and dietary habits guidance. In particular, the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 period is important in order to provide a model and perform an appropriate role as a teacher of manage snack and mealtime of the daily routines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ovide suggestions for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and the manage of mealtime guidanc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by examining the nutritional knowledge and dietary habits of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and the recognition of mealtime guidance for young children. For thi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with 200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enrolled in the 4-year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 located in area A. 153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128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For collected data, frequency analysis, t-test were conducted using SPSS 23.0.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6 pre-service teachers. Interview data were transcribed and categorized for qualitative analysis.
    The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washing hands before meals' was the highest in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mealtime guidance by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while 'eating at a set time' showed the lowes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re-service teachers'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mealtime guidance and dietary habits was higher than that of dietary habits. On the other hand, 'using spoons and chopsticks correctly' showed a lower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of mealtime guidance than dietary habits. Second, the dilemma of whether the two guidance goals conflict with each other as to how to teach children to eat evenly and not to force them to eat food they do not want to eat for a balanced nutritional intake. was feeling In addition, it was recognized that the problems of young children who eat unbalanced meals, young children who eat slowly, and young children who do not want to eat are related to the operation of food guidance for young children rather than a fragmentary problem. Third, the nutritional knowledge score of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was generally good. Also, they showed a high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in their basic nutritional nutrition knowledge and nutrition knowledge on young children nutrition. Their incorrect answer rate was also significant.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necessity of improving the nutritional knowledge of pre-service teachers, checking the eating habi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feeding guidance for young children, and the context of young children’s unbalanced diet and eating habits were discuss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안전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