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초등 1-4학년 아동의 철자인식 발달특성과 관련 요인 (Orthographic Awareness and Related Componentsin Children in Grades 1 through 4)

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1 최종저작일 2015.09
9P 미리보기
초등 1-4학년 아동의 철자인식 발달특성과 관련 요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언어치료학회
    · 수록지 정보 : 언어치료연구 / 24권 / 3호 / 63 ~ 71페이지
    · 저자명 : 정부자

    초록

    목적: 철자인식이란 기억 속에 저장된 구어를 문어의 형식으로 표현하는 패턴이나 방법에 관한 정보이며, 음운, 형태, 의미와 같은 언어인식과정과 마찬가지로 문어를 인식하고 사용하는 데 필요한 정신적 이미지를 가리킨다. 이 개념은 연구자마다 다르긴 하지만 아동이 철자에 대한 표상을 기억 속에 어려움 없이 발달한다면 그 만큼 단어를 읽거나 철자를 쓰는 데 인지적 자원을 더 사용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방법: 본 연구에서는 저학년(1-2학년)과 중학년(3-4학년)의 두 집단으로 구분한 151명의 초등학생에게 철자인식 검사를 실시하여 학년 간 철자인식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고, 철자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음운인식, 음운기억, 어휘력, 단어읽기 검사를 함께 적용하였다. 결과: 저학년과 중학년은 철자인식 중에서도 철자이해 능력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여 연령이 높아질수록 점차 발달하는 추이에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학년이 높아질수록 철자인식능력은 어휘력, 단어읽기와 상관관계가 나타나거나 커지는 변화를 보였다. 또한 회귀분석 결과 저학년 집단에서는 음운기억이 철자인식을 예측하는 요인으로 나타난 반면, 중학년 집단에서는 어휘력과 단어읽기가 철자인식을 가장 강하게 예측하였다. 철자인식을 철자이해와 철자표현으로 나누어 각각 분석을 시도하였을 때, 두 능력에서 모두 학년이 높아질수록 어휘력이 높은 예측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선행 연구들과 마찬가지로 철자를 파악하고 이해하는 능력이 먼저 발달하며, 중학년 이후에는 어휘력과 같은 의미지식이 철자에 더 영향을 미치며 발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철자인식 능력이 고학년 이후에도 계속 발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그 외에 연구의 보완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 등을 논의하였다.

    영어초록

    Purpose: Orthographic awareness is a stored mental image of patterns or methods which is used to recognize and/or utilize written words or morphemes. Research suggests that if children easily decode words within memory, more cognitive resources could be used to read or spel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development of orthographic awareness as well as other related components to predict orthographic abilities in children in grades 1 through 4. Methods: One-hundred-fifty-one school-age children were divided into two grade groups such as low grade (1-2 grade) and middle grade (3-4 grade). Tasks of orthographic awareness, phonological awareness, phonological memory, vocabulary, and word reading were administered. M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tests were applied in order to see the developmental progression and predictors.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orthographic receptive coding and total orthographic scores grew throughout the grades, but orthographic expressive coding did not. Vocabulary and word reading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both orthographic receptive and expressive awareness in the middle grade group. Components such as vocabulary and word reading also appeared to be most influential on orthographic awareness in the middle grade group. In the low grade group, phonological memory was a significant predictor for orthographic awareness. Conclusions: When educators and researchers develop a program for students, phonological-based strategies need to be first applied in primary grades. It was also suggested that vocabulary and other morphological aspects needs to be consistently emphasized until the late school years.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direc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also discuss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언어치료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