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도시 장례식장에서 지속되는 상례의 문화적 전통 (Cultural Tradition of the Funeral Rite in the Urban Funeral Home)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1 최종저작일 2007.02
29P 미리보기
도시 장례식장에서 지속되는 상례의 문화적 전통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실천민속학회
    · 수록지 정보 : 실천민속학 연구 / 9권 / 107 ~ 135페이지
    · 저자명 : 김시덕

    초록

    이 글은 도시의 장례식장에서 행해지는 상례의 다양한 요소가 어떻게 외형적 변화를 통해 그 본래의 문화적 전통을 지속하고 있는가를 구명하려는 것이다. 외형상 공공의 장소라는 장소의 변동에서부터 시작하는 장례식장의 상례는 우리의 문화적 전통이 송두리째 바뀌어 변해버린 것처럼 보이고, 연구자들도 이에 대해 변화를 강조하였다. 그러나 외형적 변화 내에는 우리의 문화적 전통이 상당부분 지속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문화적 전통의 지속은 본바탕을 전승하기 위해 외형을 변화시키는 ‘지속의 원리’에 입각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아이템으로 잡은 중상, 상복, 문상객 접대, 밤샘, 분향과 절, 부고와 감사편지, 견전, 화장과 염습, 추모시설, 탈상 등 상례의 문화요소에 대하여 생성과정 변화과정, 현재의 상황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이러한 키워드들은 외형상 상당한 변화를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내면적인 알기, 그 의미는 변화되지 않고 여전히 지속되고 있는 것들이다. 다시 말하면 이러한 문화요소가 생성되어 지속하기 위해 외형을 변형시켰다고도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to explore how various elements of the funeral rite occurred in the urban funeral home has been continuing its cultural traditions by accepting external changes. Many researchers emphasize the changes which seem to totally change Korea's cultural traditions beginning from spatial change from fairly private space to public one. We however can still find fundamental continuation of Korea's cultural customs in the external changes. It seems that external changes made remain the central authenticity of cultural traditions in terms of a principle of continuity.
    This paper also deal with different cultural elements by exploring various items: Jungsang(double mourning due to losing both parents within three years); Sangbok (funeral garments); Munsanggaek Jeopdae(funeral reception); Bamsaem(staying up all night for condolence); Bunhyang(buring incense for the dead) and Jeol(mourning bow); Bugo(obituary notice) and Gamsapyeonji(appreciative letter); Hwajang(cremation) and Yeomseup(washing and clothing a corpse for burial); Chumosiseol(facility for cherishing the memory of the deceased); and finally Talsang(expiration of the mourning period). It is expected to provide a chance to analyse processes of orienting, changing, and also current situation of funeral customs. In other words these changes are measures to continue cultural values of funeral rite tradition. Accordingly the funeral custom can be concluded not as a fixed concept but as a changing and moving on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실천민속학 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7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