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제강점기의 조선 8도 식생활(끼니) 실태 (The Study of Foodway in korea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09.06
40P 미리보기
일제강점기의 조선 8도 식생활(끼니) 실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농업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농업사연구 / 8권 / 1호 / 127 ~ 166페이지
    · 저자명 : 구자옥

    초록

    한 세기 이전의 선조들이 영위하였던 식생활(끼니) 면모를 사실대로 밝혀 알아야 하는 것은, 특히 요즈음과 달리 농업이 대부분 백성의 생업이었던 당시로서, 모든 생활행위에 대한 역사적 발자취를 밝히는 일이다. 따라서 가감없는 진상을 밝히는 일이어야 역사를 바로 아는 일이다. 물론 일제강점기의 식생활에 대한 조사를 통하여 당시의 사정을 유추한 사례가 있다. 대체로는 지역의 촌로들을 찾아가 당시의 식생활 면모를 청취하고 유추하여 쓴 보고서들이다. 다만 내용이 편중되거나 기억의 오류를 포함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것들이다.
    본 보고는, 진상을 밝히기 위하여 일본학자였던 타카하시노보루[高橋昇]가 한국에 머물렀던 26년(1918∼1945년) 동안에 이룩하였던 수많은 농학적 업적을 집필하였던 『조선반도의 농법과 농민』가운데, 비록 작은 부분이긴 하지만, 당시의 우리나라 8도 식생활 및 음식(끼니) 실태조사 결과를 소개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그의 조사사업은 개인적 소신과 열의, 자금과 시간ㆍ노력을 바쳐서 개인적으로 이룩한 것이어서 더욱 귀중한 사료적(使料的) 가치를 지니다. 식민지 정책의 공적인 사정에 얽매어 내용을 가감하거나 미화한 것이 아니라 개인적인 현지방문조사를 겸한 자료로 엮어진 당시의 실정기록이기 때문에 다시 찾아보기 어려운 적나라한 자료라 할 수 있다.

    조사 결과를 요약하면 대략 다음과 같다.
    첫째, 쌀의 주요생산지인 전라도ㆍ경상도ㆍ충청도ㆍ경기도ㆍ황해도 가운데 전라도ㆍ경상도ㆍ경기도에서는 비록 양적이니 차이나 혼식비율의 차이는 있더라도 쌀을 취식하는 빈도가 높았던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황해도는 그 비율이 반반으로 나타났고, 충청도에서는, 조사대상지가 비록 극소하기는 하였지만, 쌀의 취식 사례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곡물 혼식의 대중은, 전라ㆍ경상ㆍ경기도의 경우, 쌀+보리이었지만 충청도는 보리+야채가 많았고 강원도는 옥수수ㆍ조ㆍ피ㆍ팥과 감자 사이의 혼식, 황해도는
    조+팥과 쌀 사이의 혼식이나 밀가루 조리의 설계가 많았다. 평안도는 황해도와 유사하지만 콩ㆍ피ㆍ메밀과 수수ㆍ옥수수ㆍ팥 사이의 혼식, 또는 감자ㆍ고구마의 이용률이 높았다. 함경도는 쌀의 이용사례가 거의 없는 대신에 피ㆍ조ㆍ팥ㆍ콩이나 감자ㆍ귀리ㆍ강낭콩ㆍ완두 사이의 혼식이 많았다. 또한 당시에 전라도로 행정구역이 속하였던 우리나라 최대의 섬지역이었던 제주도에서는 쌀ㆍ보리ㆍ조ㆍ메밀이나 콩ㆍ감자ㆍ고구마 사이의 혼식률이 높았고 산나물의 이용도가 높았던 것으로 조사 되었다.
    셋째, 전국적으로 혼식되는 두류로는 팥이 으뜸이었고, 콩은 혼식보다도 장류나 비지ㆍ콩나물 용도로 쓰였던 것으로 보였다. 북선에서는 강낭콩ㆍ완두의 혼반, 벼 또는 피나 서류(감자ㆍ고구마)ㆍ메밀ㆍ녹두가 자주 취식되었고, 밀가루로 쓰이는 밀은 주로 점심이나 보조식으로 많이 쓰이고 있었다.
    넷째, 황해도의 경우를 중심으로 광범위한 식생활은 물론 반찬의 체계나 특식ㆍ접객식ㆍ계절식 등이 소개된 것은, 황해도가 당시 가장 다채로운 농산물(쌀ㆍ보리ㆍ잡곡ㆍ채소ㆍ과일 등)을 생산성 높게 생산하는 최고의 농도(農道)이었던 탓으로 보인다.
    다섯째, 여관의 음식상을 중심으로 조사되었던 손님상 음식, 즉 객식은 지역마다 다양성에 차이를 보였다. 각 지역의 식료산출 특성을 반영한 탓이지만, 어느 곳에서도 팥의 혼반이나 감자ㆍ고구마 요리, 또는 산채류나 밀가루 음식이 제공되지는 않고 있었다.
    여섯째, 황해도 사례로서의 평상식 반찬구성은 아침중심으로 다양하였으며, 점심은 간편한 보조식으로 부엌의 부담을 줄이는 배려가 있었고, 저녁은 질보다 양적으로 충족할 수 있도록 관습화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일곱째, 계절식은 지방과 계절적에 따라 훨씬 다양하게 발달하였을 것으로 짐작되지만, 조사 당시의 결과는 극도로 식료자원에 제약이 있었기 때문에 배고픔을 달래기 위한 대체식으로 지역이나 계절적 변이도 적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주제어: 식생활(끼니), 타카하시노보루[高橋昇], 조선반도의 농법과 농민, 8도 식생활 및 음식(끼니), 특식ㆍ접객식ㆍ계절식

    영어초록

    We need to know the truth which of Ancestors’ diet before the century. Ancestors’ diet were related to the agriculture. It was the only people’s living at the time. Therefore to verify it was to appear in the footsteps of the historical act.
    In addition, there is a story modification should not reveal the truth of history know. In the other side there were case which analogize the those circumstance via investigation on the food situation in the time of Japanese colony. In that cases were such like only visiting to the region and listening aspects of the diet and wrote the reports from the usually elder. The error of those report including errors and preponderance of information or remember things is that they believes.
    This report were a parts of writing achievement made 『farming and farmers of the Korean』carriers of the in spite of a small portion, of the korea at the foodway and meals aimed to introduce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by Takaha-shinoboru who was Japanese scholars to uncover the truth in Korea 26 years(1918-1945) for a number of carriers. Especially, those investigation were passion, fund and more valuable and personal in his personal conviction
    This result’s summary are following as;
    The first, Jeollado, Gyeongsangdo, Chungcheongdo, Gyeonggido, Hwanghaedo were major production of rice in Korea. Even though there were between quantitative difference and the percentage of mixed diets, it was investigated the high frequency of eating rice in JeolladoㆍGyeongsangdoㆍGyeonggido. However, the percentage of eating rice showed the half in Hwanghaedo. Moreover, the percentage of eating rice showed very low in spite of the minimum site in Chungcheongdo.
    The second, the case of mixed diets was rice and barley in Jeollado, Gyeongsangdo, Gyeonggido. However, it was barley and vegetables in Chungcheongdo also it was mixed diets of the corn, millet, barnyard millet, red-bean or potatoes in Gangwon-do. The mixed diets was millet and red-bean, rice, cooked flour in Hwanghaedo. It was a very similar mixed diets type between Pyeongando and Hwanghaedo but Pyeongando was a high mixed grains such as bean, millet, buckwheat and african millet, mixed of corn and red beans, or potatoes and sweet potatoes. They rarely ate a rice while they ate a lots of mixed grains such like millet, barnyard millet, red-bean, bean or potatoes, oats, kidney beans and peas.
    In addition, the survey was showed that Jeju Island where had been included the administrative section in Jeollado was not only a high rate of mixed diets with barley, millet, buckwheat and beans. potatoes, sweet potatoes, but also there was used to be eating lots of wild vegetables.
    The third, the red bean was the best grain to mix the rice throughout the country. Otherwise, the bean was used with bean-curd and bean sprouts. In Bukseon, they mixed often ate kidney beans, peas with rice, or barnyard millet(potato, sweet potatoes), buckwheat and mung beans and wheat i.e. flour was mainly used for lunch or a secondary meal.
    The fourth, Hwanghaedo have not got only a wide range of especially delicious side dish, food for a guest, seasonal foods long time ago but also is very famous for their own foods. There were several reasons, Hwanghaedo was the best agricultural city, and there had producted the highest agricultural products(rice, barley, vegetable, fruits, etc.) and the most varied it at that time.
    The fifth, the food of the Inn was very difference in every area. Although, output characteristics of each region reflects food, mixed red-bean or sweet potato dish does not serve it such as vegetable and flour in anywhere.
    The sixth, as the case of Hwanghaedo, there was a variety of normal side dishes for breakfast and it was considerate of lifting a burden from lunch via light meal. In addition, It is customary for Hwanghaedo that they ate a plentiful foods for dinner. It means that they prefer quality to quantity.
    The seventh, according to local and seasonal factors, we believe that it has been developed the seasonal food much more diverse. Moreover,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was extremely limited in food resources at the time, therefore the seasonal food was the lack of local or seasonal variations as between meals for appeasing the hung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농업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2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