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대중음악시상식 심사단 유형에 따른 효과 차이 (The Effect of Types of Jury in Popular Music Award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1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10.12
17P 미리보기
대중음악시상식 심사단 유형에 따른 효과 차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소비자학회
    · 수록지 정보 : 소비자학연구 / 21권 / 4호 / 71 ~ 87페이지
    · 저자명 : 안성아, 고정민

    초록

    시상식은 모든 산업에서 보편적인 현상이 되었다. 시상식에서 성과를 거둔 상품은 소비자들에게 품질의 시그널이 되므로 중요한 마케팅 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 문화산업에서 시상식의 중요성은 더 크다. 이는 문화상품이 경험재라는 점과 소비자들의 품질 평가가 주관적이라는 점에 기인한다. 특히 전문가의 품질 평가는 일반인의 평가와 상이한 양상을 보이는데, 이는 전문가들이 성장배경이나 전문교육 등을 통해 다른 문화적 취향을 획득하게 되었기 때문으로 기존 문헌들은 설명하고 있다.
    본 연구는 대중음악 시상식에 초점을 맞추고, 대중음악시상식의 판정단이 전문가인가 일반인인가에 따라 시상식의 이미지와 수상곡에 대한 태도 및 구매의향이 차이가 있는지 실험을 통해 알아보았다. 결과적으로 전문가 심사단으로 구성된 시상식이 일반인 심사단으로 구성된 시상식보다 시상식 이미지 면에서 더 높은 평가를 받았다. 그러나 수상곡에 대한 태도에 있어서는 일반인 심사단으로 구성된 시상식이 전문가 심사단으로 평가되는 시상식보다 더 높은 점수를 받았다.
    위 연구결과는 시상식의 수상자 선정방식에 따라 시상식의 효과가 달라짐을 보여준다. 이는 시상식의 목표에 따라 수상방식이 달라져야 함을 의미하는데 즉, 대외적으로 공신력 있는 시상식 개최가 목표라면 전문가 심사단을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이고 수상곡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을 끌어 매출 증가가 목표라면 일반인 심사단이 더 효과적일 것이다. 본 연구는 한류의 확산을 위해 문화 관련 시상식 기획에 관심이 높아지는 시점에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한 의의가 있다

    영어초록

    Awards are general phenomenon in most industries. Awards provide the winners with money and fame or other benefits. More important, it may support a signal of quality which can be used as a marketing tool. Awards have an important role especially in the cultural industries, because cultural products are experiential goods and the quality of cultural products is evaluated subjectively. Experts and end consumers in cultural industries are known to make different evaluations on quality of cultural products, for their backgrounds and educational levels.
    We focus on popular music awards and build hypotheses that the composition of the jury is an important determinant of the effectiveness of awards. The hypotheses say that the image of awards will be greater when jury are composed of experts than the jury composed of general public, however, the attitude and purchase intension for winner songs will be higher when jury are composed of the public than the jury composed of expert.
    We design an experiment to test the hypotheses and 156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The experimental result shows that the image of award is more positive when the award winner is selected by a jury composed of experts than when the awards winner is selected by a jury composed of end consumers. On the other hand, the attitude to winner song is more positive when the judges are general consumers than when judges are experts but the hypothesis about the purchase intension to winner song is not supported.
    This study has following contributions. First, it provides useful implications to award managers. The effect of awards is different depending on judges. It means that managers have to compose the right judges by the objective of awards. If an award seeks public confidence,the jury consisted of experts will be more effective, while judges composed of general consumers are more effective if the objective of awards is for attracting the interest of the public. Second, today the number of researches on cultural product is increasing, but many of them focus on visible phenomena, not causality, for instance why consumers in cultural industries behave differently. This study tries to provide theoretical explanation on the difference of experts and general public in cultural industries by sociological studies. Also, it has a theoretical contribution to advertising research. Many advertising studies premise the assumption that advertisement has effects on brand image and the brand image relates to purchase intention.
    However, our experimental result implies the other possibility: brand image is not positively correlated to the purchase intension in cultural industries. If it is, the advertising strategy of popular music or motion picture must be reconsidered.
    This study has a limitation: the finding cannot be generalized to the whole cultural product for it focuses on popular music awards. Consumers of popular music can be different from them of classical music or ballet: the latter is more likely to depend on experts’ opinion for quality judgement. It is expected that further studies will test the hypotheses of this study in other cultural industries and identify the differe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소비자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