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체험식 안전교육 이수 근로자 행동변화 연구 (Behavioral change of workers who completed experiential safety training)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23.03
12P 미리보기
체험식 안전교육 이수 근로자 행동변화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재난정보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19권 / 1호 / 161 ~ 172페이지
    · 저자명 : 조춘환

    초록

    [서론] 건설근로자에게 기존의 집체 강의식으로 전달하는 안전교육은 집중도와 몰입도에 한계가 있으므로 전달력과 흥미가 떨어진다. 교육을 통하여 건설근로자의 불안전한 행동을 개선하고,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지금의 교육방식에서 체험식 교육으로 패러다임을 전환할 필요가 있다. [연구목적] 기존 안전교육 방법보다 체험식 안전교육은 건설근로자가 위험을 더 빠르게 인지하고, 작업환경에 맞는 안전한 작업방법을 선택할 수 있고, 위험 상황 발생 시 응급대처 능력향상과 사전·사후 학습전이 효과성을 검증하므로 건설근로자 사고 예방에 기여(寄與)하고, 체험교육이 건설근로자 안전한 행동 유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가 목적이다. [연구방법] 실제 건설 현장과 동일 작업환경으로 구성된 체험시설은 추락, 낙하물체험, 장비협착체험, 화재 및 감전재해 등을 경험해 볼 수 있도록 만들어진 공간인 실물 체험학습과 가상(VR·AR) 체험교육 프로그램을 경험한 종사자들의 설문으로 안전체험교육 사전·사후에 대한 의견조사와 학습전이 성과에 대해서 조작적 정의와 변수측정도구를 계획하고,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다. [연구분석] 타당도와 신뢰도 분석을 통해 주요 변수인 체험식 안전교육과 비(非)체험식 안전교육이 건설근로자 의도된 안전과 불안전 행동에 미치는 영향의 유효성을 분석하고, 탐색적 요인 분석을 통하여 유의확률 적합성과 변인 상호 간에 독립적 조건임을 확인했다. [연구결과]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하여 경로분석 하였으며, 베이지안 이론과 MC 시뮬레이션 분석법으로 척도목표 기술통계량 및 척도입력 기술통계량에서 의도된 안전(A), 불안전(B)의 하위영역 비(非) 체험교육, 체험식 교육의 평균, 표준편차, 최소·최대 값을 통해서 건설근로자 행동 변화를 확인하고 가설을 증명하였다. [결론] 연구 결과로 증명되듯이 많은 시간을 투자하고 있는 안전교육의 성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건설근로자들에게 참여동기가 유발되어야 하고, 교육방법이 오락적, 일탈적, 심미적 요소가 더해진 ‘체험안전교육’은 그 학습의 효과로 작업장에서 안전한 행동(A)으로 변화되고, 중대재해도 감소되는 것이 분명히 나타난다.

    영어초록

    [Introduction] Safety education delivered to construction workers in the existing collective lecture style has limitations in concentration and immersion, so delivery power and interest are poor. In order to improve the unstable behavior of construction workers through education and prevent safety accidents,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paradigm from the current education method to experiential education. [Research Purpose] Experiential safety education aims to contribute to preventing accidents of construction workers and to induce safe behavior of construction workers as construction workers can recognize risks faster, choose safe working methods suitable for the working environment, and improve emergency response ability and pre- and post-learning effectiveness in case of danger. The experience facility, which consists of the same work environment as the actual construction site, is designed to experience falls, equipment constriction, fire, and electric shock. Through validity and reliability analysis, the effectiveness of experiential and non-experiential safety education on the intended safety and safety behavior of construction workers was analyzed, and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significance probability suitability and variables are independent. Based on Bayesian theory and MC simulation analysis, the change in the behavior of construction workers was confirmed and hypothesized through non-experience education, average, standard deviation, minimum and maximum values of safety (A) and anxiety (B). [Conclusion] In order to achieve the results of safety education, which has invested a lot of time, construction workers must be motivated to participate, and 'experience safety education' with recreational, deviant, and aesthetic experiences clearly shows the effect of learning and reduces serious acciden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0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