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해외 식생활교육 웹사이트 운영 사례 분석을 통한 국내 식생활교육 웹사이트 개발 방향 연구 (Development Direction for the Domestic Dietary Education Website through the Analysis of Foreign Websites)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18.12
21P 미리보기
해외 식생활교육 웹사이트 운영 사례 분석을 통한 국내 식생활교육 웹사이트 개발 방향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실과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실과교육학회지 / 31권 / 4호 / 113 ~ 133페이지
    · 저자명 : 이은주, 김정원

    초록

    교육용 웹사이트를 통해 다양한 교육자료들이 활용되고 있으나 식생활교육에 있어서는 국가기관 웹사이트를 통해 일부 자료는 얻을 수 있으나 교사들이 수업시간에 바로 활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해외 사례 분석을 통해 국내 식생활교육 웹사이트 개발 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교육용 웹사이트 평가기준을 정한 뒤, 해외 식생활교육용 웹사이트 중 대표적인 3개를 연구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반영하여 국내 식생활교육 웹사이트 개발 방향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메뉴 조직은 간단하게 구성하고 교사용 메뉴는 학생 대상별로 나누는 것이 편리하다. 게임, 퀴즈나 동영상, 진로 자료 등이 들어 있는 학생 메뉴를 제시하여 학생들이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검색은 통합 검색, 결과 내 재검색, 상세 검색 등 다양하게 제공하여 사용자들이 목적에 맞는 자료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한다. 둘째, 웹사이트의 목적 및 사용 대상자를 분명하게 제시하여야 하며 교육자료의 최신 업데이트 날짜 및 다음 갱신 날짜를 제공하여야 한다. 참고자료로는 프레젠테이션 자료, 활동지, 관련 동영상 및 심화학습 링크 등이 필요하며 온라인 교구몰이 운영된다면 교사들에게 더 편리할 것이다. 셋째, 관리자와의 상호작용을 위해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담당자 이름 등을 명시하고 식생활교육 전문가에게 질문하여 답변을 구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들 간의 의견 교환을 위해 social media를 활용하고, 연례 회의나 우수 교사 시상, 장학금 및 교부금 지급 등 정기적인 이벤트를 실시한다. e-매거진이나 전자레터 등으로 최신 자료를 정기적으로 전달하여야 한다. 넷째, 교육과정에 맞는 수업지도안을 제공하기 위해 국가교육과정에 적합한 식생활교육 성취기준이 체계적으로 만들어 지는 것이 우선되어야 한다. 각 수업지도안은 성취기준에 맞추어 일관적인 형식으로 구성하고 참고 자료를 다양하게 제공하여야 한다.
    앞으로 유치원부터 고등학교까지 국가교육과정에 적합한 식생활교육 성취기준이 마련되어 그 성취기준에 적합한 수업지도안 및 교육자료가 개발되어야 할 것이며, 이러한 자료들이 누적되어 활용될 수 있는 우수한 국내 식생활교육용 웹사이트가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Although various educational materials are available through educational websites, dietary education materials obtained through the websites of national institutions have limitations for teachers to use them directly in class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a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domestic dietary education web-site through case study of overseas educational web-sites. The evaluation criteria were determined by reviewing previous studies and three overseas dietary education websites were analyzed. Based on the results,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the domestic dietary education site was suggested as following: First, the menu structure of the website should be simplified so that users can use it easily. It is recommended that the teacher's menu has sub-category of students groups(kindergarten, elementary, middle, high school). Students' menu should be composed of games, quizzes, videos and career-related resources. Search menu needs to provide a variety of ways such as integrated search, re-search in results, and detailed search, so the users can easily find the right data for their purposes. Second, it should clearly state the purpose and subject of the site and provide the latest and next update date of the materials. Resources include lesson plans, presentations, activity papers, related videos, and links to further learning. If on-line store is operated, it will be more convenient to get resources. Third, the phone number, e-mail, address and contact person’s name need to be provided for interaction with the manager. It would be good for users to ask questions and get answers from dietary education experts, and to exchange opinions among them through social media. Regular events such as annual meetings, outstanding teacher awards, scholarships and grants should be conducted and announced. E-magazines or e-letters should periodically transmit the latest data. Fourth, the achievement standards for the dietary education curriculum and lesson plans from kindergartens to high schools need to be developed sequentially. Each lesson plan should be structured in a consistent format in accordance with achievement standards and provide a variety of reference educational materials. Based on these results, an excellent educational website should be developed to facilitate dietary educ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실과교육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00 오후